목차
3. 문헌고찰
1. 정의
1] 원인과 역학
2] 형태
3]병태생리
4]임상증상
5]진단 검사
6]치료 및 관리
7] 합병증
8] 간호진단
9] 간호중재
1. 정의
1] 원인과 역학
2] 형태
3]병태생리
4]임상증상
5]진단 검사
6]치료 및 관리
7] 합병증
8] 간호진단
9] 간호중재
본문내용
키는 요인
①위장관의 암모니아 : 위장관 출혈로 인해 장내의 오래된 혈액
②고단백 섭취
③변비
④수혈, 특히 오래 저장되었던 혈액에 암모니아 함유량이 많다.
⑤저칼륨혈증 : thiazide 이뇨제로 인함. 장에서 칼륨이 소실되기 때문임
⑥과다호흡 혹은 저칼륨혈증에 의한 알칼리증
⑦간의 측부순환 : 정동맥을 지나지 않고 전신순환으로 혈액이 직접 유입됨.
간의 외과적 문합(bypass)
8] 간호진단
모든 환자들의 경우 :
간의 기능부전과 관련된 영양부족
오심,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식욕부진, 간기능부전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전염성 질환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B형 간염 환자의 경우:
간기능 손상으로 인한 응고질환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간기능 부전으로 인한 뇌증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9] 간호중재
(1) 활동내성 증진
1. 휴식과 운동을 교대로 하도록 권장한다.
2. 부종과 복수의 이동을 위해 다리를 올려놓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3. 점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돕는다.
(2) 영양상태의 증진
1. 고칼로리, 중정도의 단백질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2. 소량씩 자주 음식을 제공하고, 환자가 선호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3. 식사 전에 구강간호를 해준다.
4. 오심, 구토, 설사 EH는 변비 등에 관한 약을 투여하거나 자가 투여를 지도한다.
(3) 피부 통합성 증진
1. 신체에 긁어서 생긴 자국들을 따라 피부의 황달정도를 기록한다.
2. 자주 피부관리를 해주고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목욕을 하도록 하고 보습제로 마사지를 해주도록 한다.
3. 손톱을 짧게 깍도록 한다.
(4) 출혈로부터의 손상방지
1. 대변과 토물의 색깔, 농도, 양을 살피고 잠혈 검사를 한다.
2. 불안, 식도 팽만감, 쇠약, 안절부절 못흠 등 위장관 출혈을 의미하는 증상들에 대해 주의해야 관찰한다.
3. 외부 출혈을 관찰한다; 충혈, 바늘자국으로의 누출, 비출혈, 출혈성 반점, 잇몸 출혈
4. 출혈 징후가 보일 경우 환자를 조용하게 유지하고 활동을 제한한다.
5. 처방대로 비타민 K를 투여한다.
6. 출혈이 있을 때는 옆에 계속 있어준다.
7. 손상 예방법을 교육한다. =>안전한 환경 유지, 부드럽게 코풀기, 부드러운 칫솔 사용
8. 비타민 C함유량이 많은 음식섭취를 권장한다.
9. 가는 주사바늘을 사용하고, 주사 후 출혈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계속 압력을 가한다.
(5) 사고과정의 증진
1. 간성 뇌증의 발현방지를 위해 혈중 암모니아치가 높을 동안은 고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도록 한다.
2. 손을 잘 씻고 감염에 대한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패혈증을 방지한다.
3. 탈수와 저칼륨혈증은 간성혼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분섭취와 혈중 전해질 농도를 모니터한다.
4. 환경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방문자를 제한한다.
5. 환자의 안전강화를 위해 침상 사이드 레일에 패드를 적용한다.
6. 의식수준을 사정하고 필요시마다 재점검한다.
7. 정체관장이나 위장관 튜브를 통해 상승된 암모니아치를 완화시키고 의식수준의 향상을 위해 laculose(Cephulac)나 neomycin(Myciguent)을 투여한다.
(6) 환자교육
1. 완전 금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2. 약물 중독자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격력한다.
3. 식이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4. 수분 정체나 감소의 자가모니터를 위해 몸무게를 매일 측정하도록 한다.
5. 이뇨제 치료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6. 휴식, 균형잡힌 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7. 회복이 쉽지 않고 재발이 흔하므로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을 치료에 가담시킨다.
8. 계속적인 추후 관리와 임상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①위장관의 암모니아 : 위장관 출혈로 인해 장내의 오래된 혈액
②고단백 섭취
③변비
④수혈, 특히 오래 저장되었던 혈액에 암모니아 함유량이 많다.
⑤저칼륨혈증 : thiazide 이뇨제로 인함. 장에서 칼륨이 소실되기 때문임
⑥과다호흡 혹은 저칼륨혈증에 의한 알칼리증
⑦간의 측부순환 : 정동맥을 지나지 않고 전신순환으로 혈액이 직접 유입됨.
간의 외과적 문합(bypass)
8] 간호진단
모든 환자들의 경우 :
간의 기능부전과 관련된 영양부족
오심,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식욕부진, 간기능부전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전염성 질환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B형 간염 환자의 경우:
간기능 손상으로 인한 응고질환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간기능 부전으로 인한 뇌증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9] 간호중재
(1) 활동내성 증진
1. 휴식과 운동을 교대로 하도록 권장한다.
2. 부종과 복수의 이동을 위해 다리를 올려놓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3. 점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돕는다.
(2) 영양상태의 증진
1. 고칼로리, 중정도의 단백질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2. 소량씩 자주 음식을 제공하고, 환자가 선호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3. 식사 전에 구강간호를 해준다.
4. 오심, 구토, 설사 EH는 변비 등에 관한 약을 투여하거나 자가 투여를 지도한다.
(3) 피부 통합성 증진
1. 신체에 긁어서 생긴 자국들을 따라 피부의 황달정도를 기록한다.
2. 자주 피부관리를 해주고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목욕을 하도록 하고 보습제로 마사지를 해주도록 한다.
3. 손톱을 짧게 깍도록 한다.
(4) 출혈로부터의 손상방지
1. 대변과 토물의 색깔, 농도, 양을 살피고 잠혈 검사를 한다.
2. 불안, 식도 팽만감, 쇠약, 안절부절 못흠 등 위장관 출혈을 의미하는 증상들에 대해 주의해야 관찰한다.
3. 외부 출혈을 관찰한다; 충혈, 바늘자국으로의 누출, 비출혈, 출혈성 반점, 잇몸 출혈
4. 출혈 징후가 보일 경우 환자를 조용하게 유지하고 활동을 제한한다.
5. 처방대로 비타민 K를 투여한다.
6. 출혈이 있을 때는 옆에 계속 있어준다.
7. 손상 예방법을 교육한다. =>안전한 환경 유지, 부드럽게 코풀기, 부드러운 칫솔 사용
8. 비타민 C함유량이 많은 음식섭취를 권장한다.
9. 가는 주사바늘을 사용하고, 주사 후 출혈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계속 압력을 가한다.
(5) 사고과정의 증진
1. 간성 뇌증의 발현방지를 위해 혈중 암모니아치가 높을 동안은 고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도록 한다.
2. 손을 잘 씻고 감염에 대한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패혈증을 방지한다.
3. 탈수와 저칼륨혈증은 간성혼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분섭취와 혈중 전해질 농도를 모니터한다.
4. 환경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방문자를 제한한다.
5. 환자의 안전강화를 위해 침상 사이드 레일에 패드를 적용한다.
6. 의식수준을 사정하고 필요시마다 재점검한다.
7. 정체관장이나 위장관 튜브를 통해 상승된 암모니아치를 완화시키고 의식수준의 향상을 위해 laculose(Cephulac)나 neomycin(Myciguent)을 투여한다.
(6) 환자교육
1. 완전 금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2. 약물 중독자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격력한다.
3. 식이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4. 수분 정체나 감소의 자가모니터를 위해 몸무게를 매일 측정하도록 한다.
5. 이뇨제 치료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6. 휴식, 균형잡힌 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7. 회복이 쉽지 않고 재발이 흔하므로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을 치료에 가담시킨다.
8. 계속적인 추후 관리와 임상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