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소개 - 장애령의 인생
2. 장애령 문학에 대한 연구와 평가
3. 장애령의 문학관 - 비주류 / 여성주의 / 결혼관
1) 비주류적 문학관
2) 여성주의와 결혼관
4. 《倾城之恋》작품 분석
1) 제목《倾城之恋》
2) 호금의 의미
3) 전기(傳奇)에 관하여
4) 가족 , 집의 의미
5) 여성주의적 시각과 결혼관
5. 결론
*참고문헌
2. 장애령 문학에 대한 연구와 평가
3. 장애령의 문학관 - 비주류 / 여성주의 / 결혼관
1) 비주류적 문학관
2) 여성주의와 결혼관
4. 《倾城之恋》작품 분석
1) 제목《倾城之恋》
2) 호금의 의미
3) 전기(傳奇)에 관하여
4) 가족 , 집의 의미
5) 여성주의적 시각과 결혼관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白永吉의 논문에서 그는 장애령 소설 속의 특이한 가족관계의 갈등
구조를 가리켜
실질적인 종법제도의 붕괴 과정과 함께, 근대적 자아의 미성숙이라는 전환기적 문화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그녀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은 기존의 종법적 가족제도로부터 사실상 이탈되어 있으며, 바로 그러한 기존 가족 관계의 해체 과정을 통해 자아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방황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셈인 것이다. 백영길, 『장애령 소설의 정욕과 허무의식』, 《동아문화》제 34집,1996. 32쪽
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 소설이 쓰여진 시간적 공간적 배경을 고려할 때 ‘혼란한 사회 속에서 자아 정체를 찾기 위한 방황’이란 분석은 충분히 일리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에서 그녀가 바라보는 ‘결혼’ 과 ‘가족’ 그 속에서 소외받은 개인의 모습을 장애령의 여성주의적 문학관과 연관 지어 조명해 보고자 한다.
5) 여성주의적 시각과 결혼관
위에서 언급하였다시피 장애령은 분명히 ‘여성주의적 문학관’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의 페미니스트와 비교하자면, 여성주의 작가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을지 모르나, 그녀의 문학 작품 속에는 분명 ‘여성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이나 ‘사회와 제도 속에서 여성이 자리하고 있는 위치’ 에 대한 그녀만의 날카로운 비판적 시선이 존재한다.
“여섯째 아가씨 돈은 재수 없는 돈이니까 금이나 증권은 사고 파는데 갖다 쓰면 안 된다구요....... 아가씨가 시집간 뒤로는 그 남편이 재산 까먹어 집안 망치고, 친정으로 들어온 후에는 또 친정집이 금세 거덜나게 생겼잖아요. 그러니 재수없는 혜성같지 뭐냐구요!”
여기에서 이혼녀 리우쑤를 바라보는 주위의 시선이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이혼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재수없는 여자’가 되고, ‘재수없는 여자’가 됨으로써 전혀 근거없는 비난까지 달게 들어야 하는 처지가 된 것이다.
하지만 이 여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벗어나 그녀만의 행복을 찾아 나가는 과정에서 이 여자의 모습은 그 초라함을 더해간다. 그녀는 자신을 억압하는 ‘가족’이란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서 ‘결혼’이란 방법을 선택하고, ‘결혼’에 도달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계산하고 타협해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녀는 재빨리 셈을 해 보았다. ........ 만약 이긴다면 그녀는 숱한 사람들이 얻지 못해 안달하는 판리우위엔을 얻게되고 그녀의 응어리진 한을 깨끗이 풀 수 있을게 아닌가”
“원래 판이우위엔은 육체적인 것보다는 정신적인 사람을 중시하는 사람인가 보다고 리우쑤는 혼자 생각했다. 그건 그녀도 찬성이다. 왜냐하면 정신적인 연애의 결과는 언제나 결혼이지만 육체적인 사랑은 왕왕 어느 단계에서 멈추기 마련이고 결혼까지 이를 희망이 적기 때문이다.”
“아침저녁으로 내내 퉁명하게 잘 버티다가 이제 와서 이렇게 쉽게 화해해 버리다니. 그동안 공연히 자기만 헛고생한 셈이지 뭔가. 그런데도 그는 은혜도 모르고 분명히 그녀가 자기 꾀에 넘어온 줄로만 알 것이다. 이제 그녀는 그가 정식으로 결혼해 줄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꿈꾸지 말아야 하는 것인지....”
인용한 부분 외에도 그녀의 타산적이고 소극적인 모습의 묘사는 수없이 많다. 이러한 묘사를 통하여 작가는 중국 근대 여성을 바라보는 부정적 사회인식을 꼬집어 내고 있다.
또한 ‘결혼 제도에 대한 부정’ 역시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겠다. 결혼이란 울타리를 얻기위해 발버둥치지만 결국은 그 울타리 안에서 억압과 구속에 고통 받는 존재가 바로 그녀가 바라보는 여성인 것이다.
믿을 수 있는 것이라곤 자기 몸 속의 이 숨결과 그리고 지금 그녀 옆에서 곤히 자고 있는 이 사람 하나뿐이었다....... 이 격동하는 세상에서 재물도 부동산도, 하늘과 땅처럼 영원한 듯한 그 모든 것도 다 믿을 수 없었다. 믿을 수 있는 것이라곤 자기 몸 속의 이 숨결과 그리고 지금 그녀 옆에서 곤히 자고 있는 이 사람 하나 뿐이었다........ 이 순간 그들은 너무나 완전하게 서로를 느낄 수 있었다.
이 부분을 보면 작가가 ‘사랑’이란 감정에 대해서는 일단 긍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긍정함에서 더 나아가 소외되고 외로운 영혼이 위로받을 수 있는 유일한 통로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은 결혼이란 제도 속에서는 더 이상 양립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인간은, 특히 여성은 다시 소외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5. 우리의 평가
작가와 작품에 대한 평가는 개개인의 잣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 어떠한 하나의 기준을 강요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장애령과 그녀의 작품에 대한 평가 역시 작가를 이해하고 작품을 읽는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우리가 보고 이해한 장애령은 그녀가 인기를 끌던 때에 받았던 평가만큼 사회적인 문제의식이 부족하지 않았다. 다만, 그녀는 자신만의 글쓰기 방식으로 그 시대 사람들을 어루만지고, 자신만의 글쓰기 방식으로 그 시대 사람들을 작품 속에 투영시킨 것 뿐이다. 이러한 면에서 90년대부터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령에 대한 재평가 작업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되며, 현재 장애령에 대한 연구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보다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참고 문헌
손예철(孫叡徹) <張愛玲의 人間과 文學>,《秧歌》, 학지사, 1987년.
소진희, 〈장애령의 『金鎖記』연구 -새로운 페미니즘의 가능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玲,〈自己的文章〉,《流言》
백영길, 〈장애령 소설의 정욕과 허무의식〉, 《동아문화》제 34집,1996.
,《中代小史》,人民文出版社,1989.
선정규, 〈장애령의 남성본위와 여성본위〉,《국제문화연구》제 2집, 1985
중국소설사 연구회 편, 《중국 소설사의 이해》, 학고방, 1997
*목 차
1. 작가소개 - 장애령의 인생
2. 장애령 문학에 대한 연구와 평가
3. 장애령의 문학관 - 비주류 / 여성주의 / 결혼관
1) 비주류적 문학관
2) 여성주의와 결혼관
4. 《城之》작품 분석
1) 제목《城之》
2) 호금의 의미
3) 전기(傳奇)에 관하여
4) 가족 , 집의 의미
5) 여성주의적 시각과 결혼관
5. 결론
*참고문헌
구조를 가리켜
실질적인 종법제도의 붕괴 과정과 함께, 근대적 자아의 미성숙이라는 전환기적 문화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그녀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은 기존의 종법적 가족제도로부터 사실상 이탈되어 있으며, 바로 그러한 기존 가족 관계의 해체 과정을 통해 자아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방황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셈인 것이다. 백영길, 『장애령 소설의 정욕과 허무의식』, 《동아문화》제 34집,1996. 32쪽
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 소설이 쓰여진 시간적 공간적 배경을 고려할 때 ‘혼란한 사회 속에서 자아 정체를 찾기 위한 방황’이란 분석은 충분히 일리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에서 그녀가 바라보는 ‘결혼’ 과 ‘가족’ 그 속에서 소외받은 개인의 모습을 장애령의 여성주의적 문학관과 연관 지어 조명해 보고자 한다.
5) 여성주의적 시각과 결혼관
위에서 언급하였다시피 장애령은 분명히 ‘여성주의적 문학관’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의 페미니스트와 비교하자면, 여성주의 작가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을지 모르나, 그녀의 문학 작품 속에는 분명 ‘여성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이나 ‘사회와 제도 속에서 여성이 자리하고 있는 위치’ 에 대한 그녀만의 날카로운 비판적 시선이 존재한다.
“여섯째 아가씨 돈은 재수 없는 돈이니까 금이나 증권은 사고 파는데 갖다 쓰면 안 된다구요....... 아가씨가 시집간 뒤로는 그 남편이 재산 까먹어 집안 망치고, 친정으로 들어온 후에는 또 친정집이 금세 거덜나게 생겼잖아요. 그러니 재수없는 혜성같지 뭐냐구요!”
여기에서 이혼녀 리우쑤를 바라보는 주위의 시선이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이혼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재수없는 여자’가 되고, ‘재수없는 여자’가 됨으로써 전혀 근거없는 비난까지 달게 들어야 하는 처지가 된 것이다.
하지만 이 여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벗어나 그녀만의 행복을 찾아 나가는 과정에서 이 여자의 모습은 그 초라함을 더해간다. 그녀는 자신을 억압하는 ‘가족’이란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서 ‘결혼’이란 방법을 선택하고, ‘결혼’에 도달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계산하고 타협해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녀는 재빨리 셈을 해 보았다. ........ 만약 이긴다면 그녀는 숱한 사람들이 얻지 못해 안달하는 판리우위엔을 얻게되고 그녀의 응어리진 한을 깨끗이 풀 수 있을게 아닌가”
“원래 판이우위엔은 육체적인 것보다는 정신적인 사람을 중시하는 사람인가 보다고 리우쑤는 혼자 생각했다. 그건 그녀도 찬성이다. 왜냐하면 정신적인 연애의 결과는 언제나 결혼이지만 육체적인 사랑은 왕왕 어느 단계에서 멈추기 마련이고 결혼까지 이를 희망이 적기 때문이다.”
“아침저녁으로 내내 퉁명하게 잘 버티다가 이제 와서 이렇게 쉽게 화해해 버리다니. 그동안 공연히 자기만 헛고생한 셈이지 뭔가. 그런데도 그는 은혜도 모르고 분명히 그녀가 자기 꾀에 넘어온 줄로만 알 것이다. 이제 그녀는 그가 정식으로 결혼해 줄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꿈꾸지 말아야 하는 것인지....”
인용한 부분 외에도 그녀의 타산적이고 소극적인 모습의 묘사는 수없이 많다. 이러한 묘사를 통하여 작가는 중국 근대 여성을 바라보는 부정적 사회인식을 꼬집어 내고 있다.
또한 ‘결혼 제도에 대한 부정’ 역시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겠다. 결혼이란 울타리를 얻기위해 발버둥치지만 결국은 그 울타리 안에서 억압과 구속에 고통 받는 존재가 바로 그녀가 바라보는 여성인 것이다.
믿을 수 있는 것이라곤 자기 몸 속의 이 숨결과 그리고 지금 그녀 옆에서 곤히 자고 있는 이 사람 하나뿐이었다....... 이 격동하는 세상에서 재물도 부동산도, 하늘과 땅처럼 영원한 듯한 그 모든 것도 다 믿을 수 없었다. 믿을 수 있는 것이라곤 자기 몸 속의 이 숨결과 그리고 지금 그녀 옆에서 곤히 자고 있는 이 사람 하나 뿐이었다........ 이 순간 그들은 너무나 완전하게 서로를 느낄 수 있었다.
이 부분을 보면 작가가 ‘사랑’이란 감정에 대해서는 일단 긍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긍정함에서 더 나아가 소외되고 외로운 영혼이 위로받을 수 있는 유일한 통로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은 결혼이란 제도 속에서는 더 이상 양립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인간은, 특히 여성은 다시 소외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5. 우리의 평가
작가와 작품에 대한 평가는 개개인의 잣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 어떠한 하나의 기준을 강요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장애령과 그녀의 작품에 대한 평가 역시 작가를 이해하고 작품을 읽는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우리가 보고 이해한 장애령은 그녀가 인기를 끌던 때에 받았던 평가만큼 사회적인 문제의식이 부족하지 않았다. 다만, 그녀는 자신만의 글쓰기 방식으로 그 시대 사람들을 어루만지고, 자신만의 글쓰기 방식으로 그 시대 사람들을 작품 속에 투영시킨 것 뿐이다. 이러한 면에서 90년대부터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령에 대한 재평가 작업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되며, 현재 장애령에 대한 연구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보다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참고 문헌
손예철(孫叡徹) <張愛玲의 人間과 文學>,《秧歌》, 학지사, 1987년.
소진희, 〈장애령의 『金鎖記』연구 -새로운 페미니즘의 가능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玲,〈自己的文章〉,《流言》
백영길, 〈장애령 소설의 정욕과 허무의식〉, 《동아문화》제 34집,1996.
,《中代小史》,人民文出版社,1989.
선정규, 〈장애령의 남성본위와 여성본위〉,《국제문화연구》제 2집, 1985
중국소설사 연구회 편, 《중국 소설사의 이해》, 학고방, 1997
*목 차
1. 작가소개 - 장애령의 인생
2. 장애령 문학에 대한 연구와 평가
3. 장애령의 문학관 - 비주류 / 여성주의 / 결혼관
1) 비주류적 문학관
2) 여성주의와 결혼관
4. 《城之》작품 분석
1) 제목《城之》
2) 호금의 의미
3) 전기(傳奇)에 관하여
4) 가족 , 집의 의미
5) 여성주의적 시각과 결혼관
5. 결론
*참고문헌
추천자료
한국의 가족제도와 가족정책의 미래
[가족복지] 입양가족복지
(가족복지) 우리나라 아동학대가족복지의 현황과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
[가족]에 관한 고찰(정의,특성,이론,기능,가족생활주기 등)
[이혼가족]이혼가족의 사회적 현상과 문제점 및 서비스대책
(가족치료)나지(Ivan Boszermenyi-Nagy)의 상황적 가족치료 이론에 대한 고찰
1.관료제주의의특성과문제점 2.가족의정의와사회변화에따른가족의특성 3.아동의권리중가장시...
사티어 경험적가족치료 이론, 주요개념 및 역기능가족 치료기법 보고서
다문화 가족과 가족복지
치매노인과 가족복지 (치매 정의, 치매환자증상, 치매노인서비스, 치매노인가족, 예방) 보고서
복지천국 스웨덴의 가족복지 분석과 한국과의 가족복지 비교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상담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상담.ppt
현대 한국가족의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문제점과 대안을 논하시오 [가족상담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