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건축에서 금속재료의 기원
2.금속래요의 원료
3.금속재료의 이용현황및 실례
4.결론
2.금속래요의 원료
3.금속재료의 이용현황및 실례
4.결론
본문내용
규정되어 있다.
(2) 경량 형강
경량 형강은 구조재의 무게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단면이 작은 얇은 강판을 냉강, 형성하여 가장 유효한 단면 형상으로 만든 형강으로서, 보통의 열간압연 형강에 비하여 단위 중량에 대한 2차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주로 일반 구조재, 가설 구조물 등에 사용한다. 경량 형강이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3) 철근(steel bar, reinforcing bar, reinforcing steel)
철근 콘크리트 속에 묻어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강재이다. 철근의 종류에는 원형 철근, 고강도 철근, 피아노선, 용접철망, 철선, 강선 등이 있다. 보통 건축 공사에 쓰이는 철근은 원형 철근 또는 이형철근이고, 근래에는 고강도 철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① 원형 철근
원형 철근은 표면이 미끈한 원형 단면의 봉강이다. 이형철근이 제조되면서부터 벼로 쓰이지 않고 있다. 원형 철근의 종류에는 SBC24, SBC30이 있고 지름은 6, 9, 12, 13, 16, 19, 22, 25, 28, 32mm 가 있으며∮로 표시한다.
② 이형철근
이형철근은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을 좁기 위해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를 붙인 봉강이다. 이형 철근은 표면에 돌기가 있으므로 지름을 공치지름으로 대신하고 있다. 이형철근의 공칭 지름은 단위 길이당 무게가 이형철근과 동일한 원형 철근의 지름을 말하며 공치 지름은 D로 표시하고 mm 단위로 치수를 기입한다. 철근 정척물의 길이는 6, 6.5, 7, 7.5, 8, 9m 등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음을 적게 하고 토막 내지 않고 길게 사용 할 것은 장척물로 주문할 수도 있지만 운반 관계상 9m까지로 하고 있다. 이형 철근의 규격은 한국 산업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이형 철근의 표면 상태
③ 고강도 철근
고강도 철근은 보통 철근보다 인장력이 크고 일반적으로 항복점 강도가 3,500㎏f/㎠이상인 철근으로 보통 하이바(high tensile bar)라고도 한다. 이 철근은 탄소강에 소량의 니켈, 망간, 규소 등을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 고강도철근을 사용할 때는 콘크리트의 강도도 큰 것으로 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4) 용접철망
용접 철망은 철선을 사용하여 세로선과 가로선을 직각으로 배열시키고, 각 교차된 점을 전기 저항 용접하여 만든 것으로서 주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넓은 바닥판 또는 도로포장에 많이 사용된다. 용접철망이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있어서 철근선 조립공법에 의하여 철근 대신 구조용 용접철망을 사용한 경우의 용접철망은 철선 대신 지름 6mm정도의 철근 또는 이형 철근으로 한다. 이는 철근 공사에 있어서 가공이 쉽고 생산성 향상 및 자재절감과 시공의 완벽성을 괴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철근선 조립공법이 연구되어 왔고, 현재는 실용화 단계에까지 와 있다.
용접 철망
(5) 봉강(steel bar), 평강(flat bar, flat steel)
봉강은 압연에 의한 봉상의 강재h서 단면형에 따라 원형강, 반원형강, 각강, 평강, 육각강, 팔각강이 있으며 건축에서는 구조재 또는 부품재로 사용된다. 평강은 비교적 얇고 띠 모양의 형강으로 타이플레이트나 래티스 등에 많이 사용된다.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강판
강판은 강괴를 압연하여 얇고 넓게 만든 철판으로서 보통 판상강재의 총칭이다. 강판은 두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건축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아연 도강판, 착색 아연 도강판, 비닐피복강판, 무늬강판, 스테인리스강판 등이 있다.
(1)아연도강판
아연도강판은철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아연도금한 강판으로서 아연도철판 또는 함석판이라고도 한다.
형상에 따라 평판과 골판 등으로 구분하고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아연도강판, 즉 함석판은 녹이 슬지 않고 외관미가 있고, 땜질이 잘 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건축용으로는 지붕재 또는 설비재로 많이 사용된다.
(2) 착색 아연도강판
착색아연도강판은 아연도강판에 착색 도장한 강판으로서 지붕 및 외벽제등에 사용한다. 형상에 따라 평판과 골판으로 나누고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착색아연 도강판
(3) 무늬 강판, 비닐피복강판
①무늬 강판은 철판 표면에 무늬 (보통은 마름모 또는 격자창형 무늬)를 만들어 미끄러지지 않게 한 강판으로서 공장, 창고, 선박등의 바닥, 계단의 디딤판, 고랑이나 피트의 덮개로 사용한다.
②비닐피복강도는 강판에 여화 비닐수지를 피복하여 만든 강판으로서 아름다운 색채와 다양한 무늬를 낼 수 있고, 내식성이 우수하므로 천장 및 내 외벽재 등에 사용된다.
무늬강판 비닐피복강판
(4) 스테인리스강판
스테인리스 강판은 내식성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장식적으로 광택이 미려하여 창호재, 외장재, 주방용 가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스테인리스강판
-강관
강관은 강철제로 된 관을 말하며 강철관이라고 한다. 강관은 건축, 토목의 구조용 또는 배관용 등으로 많이 사용한다.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일반 구조용 각형강관, 배관용 강관으로 구분한다.
-선재제품
선재는 연강선재, 견강선재, 피아노선재 아크용접봉시선재로 분류되며 이들 선재를 이용하여 각종의 선재제품을 만들어 건축, 토목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종류로는 철선, 가시철선, 와이어라스, 와이어매시, 와이어로프, 용접봉이 있다.
-금속 성형 가공 제품
(1) 메탈라스, 익스팬디드 메탈
①메탈라스는 두께 0.4~0.8㎟ 연강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눈을 내고 늘여 철망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서 천장, 벽 등의 모르타르 바름 바탕용으로 쓰이고 편평라스, 봉우리라스, 파형라스, 리브라스 등이 있는데. 구 중 편평라스가 많이 쓰인다. 보통 메탈라스라고 하면 이 편평라스를 말하며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②익스팬디메탈은 두께 6~13mm의 연강판을 망상으로 만든 것으로서 주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쓰인다. 익스펜디드메탈이 메탈리스와 다른 것은 그 원판의 두께와 용도이다.
(2)데크플레이트 및 키스톤플레이트
①데크플레이트는
(2) 경량 형강
경량 형강은 구조재의 무게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단면이 작은 얇은 강판을 냉강, 형성하여 가장 유효한 단면 형상으로 만든 형강으로서, 보통의 열간압연 형강에 비하여 단위 중량에 대한 2차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주로 일반 구조재, 가설 구조물 등에 사용한다. 경량 형강이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3) 철근(steel bar, reinforcing bar, reinforcing steel)
철근 콘크리트 속에 묻어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강재이다. 철근의 종류에는 원형 철근, 고강도 철근, 피아노선, 용접철망, 철선, 강선 등이 있다. 보통 건축 공사에 쓰이는 철근은 원형 철근 또는 이형철근이고, 근래에는 고강도 철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① 원형 철근
원형 철근은 표면이 미끈한 원형 단면의 봉강이다. 이형철근이 제조되면서부터 벼로 쓰이지 않고 있다. 원형 철근의 종류에는 SBC24, SBC30이 있고 지름은 6, 9, 12, 13, 16, 19, 22, 25, 28, 32mm 가 있으며∮로 표시한다.
② 이형철근
이형철근은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을 좁기 위해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를 붙인 봉강이다. 이형 철근은 표면에 돌기가 있으므로 지름을 공치지름으로 대신하고 있다. 이형철근의 공칭 지름은 단위 길이당 무게가 이형철근과 동일한 원형 철근의 지름을 말하며 공치 지름은 D로 표시하고 mm 단위로 치수를 기입한다. 철근 정척물의 길이는 6, 6.5, 7, 7.5, 8, 9m 등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음을 적게 하고 토막 내지 않고 길게 사용 할 것은 장척물로 주문할 수도 있지만 운반 관계상 9m까지로 하고 있다. 이형 철근의 규격은 한국 산업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이형 철근의 표면 상태
③ 고강도 철근
고강도 철근은 보통 철근보다 인장력이 크고 일반적으로 항복점 강도가 3,500㎏f/㎠이상인 철근으로 보통 하이바(high tensile bar)라고도 한다. 이 철근은 탄소강에 소량의 니켈, 망간, 규소 등을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 고강도철근을 사용할 때는 콘크리트의 강도도 큰 것으로 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4) 용접철망
용접 철망은 철선을 사용하여 세로선과 가로선을 직각으로 배열시키고, 각 교차된 점을 전기 저항 용접하여 만든 것으로서 주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넓은 바닥판 또는 도로포장에 많이 사용된다. 용접철망이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있어서 철근선 조립공법에 의하여 철근 대신 구조용 용접철망을 사용한 경우의 용접철망은 철선 대신 지름 6mm정도의 철근 또는 이형 철근으로 한다. 이는 철근 공사에 있어서 가공이 쉽고 생산성 향상 및 자재절감과 시공의 완벽성을 괴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철근선 조립공법이 연구되어 왔고, 현재는 실용화 단계에까지 와 있다.
용접 철망
(5) 봉강(steel bar), 평강(flat bar, flat steel)
봉강은 압연에 의한 봉상의 강재h서 단면형에 따라 원형강, 반원형강, 각강, 평강, 육각강, 팔각강이 있으며 건축에서는 구조재 또는 부품재로 사용된다. 평강은 비교적 얇고 띠 모양의 형강으로 타이플레이트나 래티스 등에 많이 사용된다.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강판
강판은 강괴를 압연하여 얇고 넓게 만든 철판으로서 보통 판상강재의 총칭이다. 강판은 두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건축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아연 도강판, 착색 아연 도강판, 비닐피복강판, 무늬강판, 스테인리스강판 등이 있다.
(1)아연도강판
아연도강판은철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아연도금한 강판으로서 아연도철판 또는 함석판이라고도 한다.
형상에 따라 평판과 골판 등으로 구분하고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아연도강판, 즉 함석판은 녹이 슬지 않고 외관미가 있고, 땜질이 잘 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건축용으로는 지붕재 또는 설비재로 많이 사용된다.
(2) 착색 아연도강판
착색아연도강판은 아연도강판에 착색 도장한 강판으로서 지붕 및 외벽제등에 사용한다. 형상에 따라 평판과 골판으로 나누고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착색아연 도강판
(3) 무늬 강판, 비닐피복강판
①무늬 강판은 철판 표면에 무늬 (보통은 마름모 또는 격자창형 무늬)를 만들어 미끄러지지 않게 한 강판으로서 공장, 창고, 선박등의 바닥, 계단의 디딤판, 고랑이나 피트의 덮개로 사용한다.
②비닐피복강도는 강판에 여화 비닐수지를 피복하여 만든 강판으로서 아름다운 색채와 다양한 무늬를 낼 수 있고, 내식성이 우수하므로 천장 및 내 외벽재 등에 사용된다.
무늬강판 비닐피복강판
(4) 스테인리스강판
스테인리스 강판은 내식성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장식적으로 광택이 미려하여 창호재, 외장재, 주방용 가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스테인리스강판
-강관
강관은 강철제로 된 관을 말하며 강철관이라고 한다. 강관은 건축, 토목의 구조용 또는 배관용 등으로 많이 사용한다.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일반 구조용 각형강관, 배관용 강관으로 구분한다.
-선재제품
선재는 연강선재, 견강선재, 피아노선재 아크용접봉시선재로 분류되며 이들 선재를 이용하여 각종의 선재제품을 만들어 건축, 토목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종류로는 철선, 가시철선, 와이어라스, 와이어매시, 와이어로프, 용접봉이 있다.
-금속 성형 가공 제품
(1) 메탈라스, 익스팬디드 메탈
①메탈라스는 두께 0.4~0.8㎟ 연강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눈을 내고 늘여 철망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서 천장, 벽 등의 모르타르 바름 바탕용으로 쓰이고 편평라스, 봉우리라스, 파형라스, 리브라스 등이 있는데. 구 중 편평라스가 많이 쓰인다. 보통 메탈라스라고 하면 이 편평라스를 말하며 규격은 한국 산업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②익스팬디메탈은 두께 6~13mm의 연강판을 망상으로 만든 것으로서 주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쓰인다. 익스펜디드메탈이 메탈리스와 다른 것은 그 원판의 두께와 용도이다.
(2)데크플레이트 및 키스톤플레이트
①데크플레이트는
추천자료
철강의 부식과 방식법
산업폐기물의 재활용
[비철재료학]알루미늄에 대해
Microstructural Analysis (미시구조 분석)
건설공학개론(건축구조의 역사)
[과외]중학 기술 3-09 건설 공업 02 객관식 01
[과외]중학 기술 3-09 건설 공업 02 객관식 02
[과외]중학 기술 3-09 건설 공업 02 객관식 03
토질역학 1장 연습문제
건축, 공학, 구조시스템, 구조물 건설에 사용되는 구조시스템의 발전 단계와 이를 설계에 적...
[재료공학] 제철법 - COREX법, FINEX법 - 에 대하여
급식경영(b)형 -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사업(지역아동센터 등에서의 급식, 도시락 배달, 음식...
[건축] 신재료 - 철에 대해서
[건축학] 철골구조 (鐵骨構造 / steel structure) (철골구조의 정의, 철골구조의 장단점, 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