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센스문학과 유아기 독서의 중요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넌센스 문학의 정의
2. 음성학적 넌센스 (Phonological Nonsense)
3. 어휘와 의미적 측면에서 바라본 넌센스 문학의 특징과 이해
4. 넌센스의 정의
5. 유아기문학의 발전 방향과 넌센스 문학이 그에 미치는 영향
참고 자료

본문내용

문화센터에서 적지 않은 시간동안 일을 했던 기억을 떠올리면 더욱 확연해진다. 유아들이 듣는 문화강좌는 거의 전부가 프뢰벨이나, 몬테소리, 하바 등의 외국에서 들여온 유명한 프로그램들로 짜여있다. 물론 주요 교재들 또한 번역되어진, 우리의 것이 아닌 외국의 것이다. 이번 학기 유아기 문학에 대한 강의를 들으며 새삼 유아기 문학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우리 유아들에게도 그들만을 위한 문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간단한 예로 교재인 [A Book of nonsense] 를 들자면, 영문학과 생인 나조차도 교재에 대한 해석과 이해가 굉장히 힘들었다. 이것이 바로 모국어냐, 아니냐의 차이인데 바로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에도 유아기 문학이 구분되어진 하나의 장르로 정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보다 많은 지원을 약속하고 뛰어나 작가들을 꾸준히 양산한다면 머지않아 우리에게도 [A Book of nonsense]나,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처럼 시대를 지나서도 꾸준히 아이들에게 읽히는 명작이 탄생할 것이라 믿는다.
참고 자료 : [A Book Of Nonsense](교재) : Edward Lear
[유아를 위한 문학 활동] : 박선희, 이송은

키워드

넌센스,   유아기,   문학,   독서,   영문학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2.04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