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emulsifier의 정의
유화제의 종류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특성
구조에 의한 분류
음이온 계면활성제
CMC
유화제의 종류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특성
구조에 의한 분류
음이온 계면활성제
CMC
본문내용
-COOR -Cl(-X) -CH=CH- >CO
-SH -CN -SCN -NO2 >NH -COOH
-OSO3H -OPO(OH)2
표 1. 계면활성제의 친수기 유형별 분류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역사는 바로 계면활성제의 역사로 볼 수 있다. 오래 전 잿물 세탁으로부터 발달하여 비누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계면활성제 공업이 형성되었다. 그 후 turkey-red oil(sulfated castor oil)이 합성 계면활성제의 선두 제품이 되었으며 이 상품이 가정용 세제로는 부적당하지만 섬유의 염색과 마무리 공정에서의 유용성은 오랫동안 높이 평가되었다. 그 후 고급 알콜의 sulfuric ester염, IGEPONT, alkylbenzene sulfonate와 같은 합성 계면활성제가 속속 개발되어 현재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표 2.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분류
■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지면 표면흡착이 포화되어, 과잉의 계면활성제 분자가 수중에 존재하게 되며, 분자집합체인 Micelle을 형성하게 된다.
- Micelle이 생성하기 시작할 때의 농도를 임계미셀농도(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 이온성계면활성제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그리고 소수기가 클수록 큰 Micelle이 형성된다.
<화학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surfactant의 상품명>
Tween-20, -40, -60, -80 [poly(ethylene oxide) (20) sorbitan monolaurate, monopalmitate,
monostearate, and monooleate]
SDS(sodium dodecyl sulfate)
DTAB(do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Pluronic L-35, L-44, P-65
Triton
Tergitol NP-9,
Span-20, -80, 85(sorbitan monolaurate, monooleate, and trioleate)
decalin
Disperbyk (BYK-Chemie, Germany)
< 참고 문헌 >
‘콜로이드와 계면활성제’ - 대광서림
http://my.netian.com/~hjhjm/
http://www.youngwootrade.co.kr/index.html
-SH -CN -SCN -NO2 >NH -COOH
-OSO3H -OPO(OH)2
표 1. 계면활성제의 친수기 유형별 분류
Ⅲ. 음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역사는 바로 계면활성제의 역사로 볼 수 있다. 오래 전 잿물 세탁으로부터 발달하여 비누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계면활성제 공업이 형성되었다. 그 후 turkey-red oil(sulfated castor oil)이 합성 계면활성제의 선두 제품이 되었으며 이 상품이 가정용 세제로는 부적당하지만 섬유의 염색과 마무리 공정에서의 유용성은 오랫동안 높이 평가되었다. 그 후 고급 알콜의 sulfuric ester염, IGEPONT, alkylbenzene sulfonate와 같은 합성 계면활성제가 속속 개발되어 현재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표 2.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분류
■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지면 표면흡착이 포화되어, 과잉의 계면활성제 분자가 수중에 존재하게 되며, 분자집합체인 Micelle을 형성하게 된다.
- Micelle이 생성하기 시작할 때의 농도를 임계미셀농도(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 이온성계면활성제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그리고 소수기가 클수록 큰 Micelle이 형성된다.
<화학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surfactant의 상품명>
Tween-20, -40, -60, -80 [poly(ethylene oxide) (20) sorbitan monolaurate, monopalmitate,
monostearate, and monooleate]
SDS(sodium dodecyl sulfate)
DTAB(do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Pluronic L-35, L-44, P-65
Triton
Tergitol NP-9,
Span-20, -80, 85(sorbitan monolaurate, monooleate, and trioleate)
decalin
Disperbyk (BYK-Chemie, Germany)
< 참고 문헌 >
‘콜로이드와 계면활성제’ - 대광서림
http://my.netian.com/~hjhjm/
http://www.youngwootrade.co.kr/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