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서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사진상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과학기술분야의 사진 응용에는 천문사진 현미경사진 전자현미경사진 분광사진 고속도사진 및 고속도영화 오토 라디오 그래피 입자빔 사진 등이 있다. 사진기술적 관점에서는 자외선사진 적외선사진 사진측광 입체사진 등을 들 수 있다. 비은염 감광재료시스템은 복사 마이크로복사 사진제판 X선사진 포토레지스트 등에 응용된다.
☆컬러의 화상 형성 원리
① 컬러네거티브필름의 현상은 발색현상, 표백, 정착 등의 과정을 거친다. 컬러네거티브필름이 발색 현상되면 각 유제층 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색소네거티브상이 만들어진다. 즉, 청감 유제층 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황 색소 네거티브상, 녹감 유제층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마젠타 색소 네거티브상, 적감 유제층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시안색소네거티브상이 형성되는데, 각 층의 은 네거티브상은 표백액에 의해 할로겐화은이 되고, 정착액에 따라 미현상 할로겐화은과 함께 용해 제거된다. 결국 네거티브상이 각층에 남아 피사체의 보색인 컬러 네거티브상을 완성한다. 특히 컬러네거티브필름에서는 발색현상 때 색소상의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미발색 커플러(발색제)가 존재하므로 화면전체가 오렌지 계통의 색을 띤다. ② 컬러리버설필름의 현상은 흑백현상, 포그시킨 발색현상 표백 정착 등의 과정을 거친다. 피사체를 촬영한 후 바로 발색현상을 하면 컬러 네거티브상을 얻을 수 있으나, 처음부터 흑백현상을 한 뒤에 발색현상을 하면 피사체의 색과 같은 상을 얻을 수 있다. 흑백현상에 이어서 포그시키고 발색현상하면 각 층에는 은 포지티브상과 색소포지티브상이 발생한다. 즉, 청감 유제층에는 은 포지티브상과 황 색소 포지티브상, 녹감 유제층에는 포지티브상과 마젠타 색소 포지티브상, 적감 유제층에는 은 포지티브상과 시안색소포지티브상이 형성된다. 각층의 은 포지티브상은 표백액에서 할로겐화은이 되고, 정착액에서 용해 제거된다. 결국 황 마젠타 시안의 색소포지티브상이 남아, 피사체와 같은 색인 컬러포지티브상이 만들어진다. 〕 컬러리버설필름은 노출량의 증가와 함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간다. 청감 녹감 적감의 3유제곡선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나 실제로는 일치하는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 필름의 유효노출영역은 3유제곡선이 비교적 잘 일치하는 부분이다 컬러네거티브필름은 왼쪽이 낮고 오른쪽이 올라간다. 즉, 노출량이 가장 적은 부분이 최소농도가 되고, 노출량의 증가와 함께 오른쪽으로 올라간다. 청감 녹감 적감의 3유제 곡선이 확실하게 분리 평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현상 필름은 직사광선이나 열에 닿지 않아야 하며 냉장고에 보관하여야 한다. 특수한 컬러필름은 -18 23 로 보존하여야 하는 것도 있다. 특히 냉장 보관하였던 필름은 표면에 온기가 응축하는 수가 있으므로 실온에 가까워질 때까지 방치한 뒤 사용한다. 현상을 마친 필름은 열 빛 습도 등에 주의, 온도 21 이하, 상대습도 15 40%의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또한 컬러슬라이드필름은 와트수가 큰 램프에서 오랜 시간 투영하면 변색된다.
☆컬러의 화상 형성 원리
① 컬러네거티브필름의 현상은 발색현상, 표백, 정착 등의 과정을 거친다. 컬러네거티브필름이 발색 현상되면 각 유제층 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색소네거티브상이 만들어진다. 즉, 청감 유제층 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황 색소 네거티브상, 녹감 유제층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마젠타 색소 네거티브상, 적감 유제층에는 은 네거티브상과 시안색소네거티브상이 형성되는데, 각 층의 은 네거티브상은 표백액에 의해 할로겐화은이 되고, 정착액에 따라 미현상 할로겐화은과 함께 용해 제거된다. 결국 네거티브상이 각층에 남아 피사체의 보색인 컬러 네거티브상을 완성한다. 특히 컬러네거티브필름에서는 발색현상 때 색소상의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미발색 커플러(발색제)가 존재하므로 화면전체가 오렌지 계통의 색을 띤다. ② 컬러리버설필름의 현상은 흑백현상, 포그시킨 발색현상 표백 정착 등의 과정을 거친다. 피사체를 촬영한 후 바로 발색현상을 하면 컬러 네거티브상을 얻을 수 있으나, 처음부터 흑백현상을 한 뒤에 발색현상을 하면 피사체의 색과 같은 상을 얻을 수 있다. 흑백현상에 이어서 포그시키고 발색현상하면 각 층에는 은 포지티브상과 색소포지티브상이 발생한다. 즉, 청감 유제층에는 은 포지티브상과 황 색소 포지티브상, 녹감 유제층에는 포지티브상과 마젠타 색소 포지티브상, 적감 유제층에는 은 포지티브상과 시안색소포지티브상이 형성된다. 각층의 은 포지티브상은 표백액에서 할로겐화은이 되고, 정착액에서 용해 제거된다. 결국 황 마젠타 시안의 색소포지티브상이 남아, 피사체와 같은 색인 컬러포지티브상이 만들어진다. 〕 컬러리버설필름은 노출량의 증가와 함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간다. 청감 녹감 적감의 3유제곡선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나 실제로는 일치하는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 필름의 유효노출영역은 3유제곡선이 비교적 잘 일치하는 부분이다 컬러네거티브필름은 왼쪽이 낮고 오른쪽이 올라간다. 즉, 노출량이 가장 적은 부분이 최소농도가 되고, 노출량의 증가와 함께 오른쪽으로 올라간다. 청감 녹감 적감의 3유제 곡선이 확실하게 분리 평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현상 필름은 직사광선이나 열에 닿지 않아야 하며 냉장고에 보관하여야 한다. 특수한 컬러필름은 -18 23 로 보존하여야 하는 것도 있다. 특히 냉장 보관하였던 필름은 표면에 온기가 응축하는 수가 있으므로 실온에 가까워질 때까지 방치한 뒤 사용한다. 현상을 마친 필름은 열 빛 습도 등에 주의, 온도 21 이하, 상대습도 15 40%의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또한 컬러슬라이드필름은 와트수가 큰 램프에서 오랜 시간 투영하면 변색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