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교가 지능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교가 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태교의 정의

(2) 태교의 방법
1. 태담태교
2. 음악태교
3. 음식태고
4. 운동태교
5. 시각태교
6.탄산 호흡법
7.뇌호흡 태교 방법

(3) 태교의 효과

(4) 태교가 지능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보자.
(4) 태교가 지능에 미치는 영향
사람은 태어날 때 1백 40억 개의 완전히 성숙한 뇌세포를 가지고 세상에 나올 뿐만 아니라 우수한 뇌를 결정짓는 뇌신경 배선의 엇물림, 즉 뇌신경세포를 연결시키는 축삭돌기와 수상돌기의 결합이 근본적으로 짜여져 태어난다. 따라서 사람은 일단 태어난 후에는 뇌가 실제로 성장하거나 발달하는 일이 거의 없다. 또한 세포분열도 하지 않으므로 천재의 두뇌든 둔재의 두뇌든 가지고 태어난 머리로 평생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아기가 태어난 후에 두뇌를 개발시킨다는 것은 이미 늦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의 장래를 위한 지능개발은 태아 때가 가장 적절한 절호의 기회이다. 그러면 어떻게 태아의 뇌를 우수하게 만들 수 있는지 살펴보자.
1. 뇌발육을 위한 산소공급
태아의 뇌는 왕성한 세포분열을 하고 있을 때 많은 양의 산소를 필요로 한다. 이때 뇌조직의 발육을 위해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 주면 천재형의 뇌조직이 이루어지고 산소가 결핍될 경우에는 태아의 뇌발육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되어 뇌성마비, 정신발달 지체 등의 선천이상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공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태아의 호흡은 모체의 혈액순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엄마의 혈액은 태아의 신체발육과 두뇌성장을 위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태아는 엄마의 혈액 속에 있는 산소를 태반을 거쳐 탯줄을 통해서 공급받고 탄산가스와 그 밖의 노폐물은 탯줄을 거쳐 태반을 통해서 엄마의 혈액 속으로 내보낸다. 이렇게 내보내진 이산화탄소는 엄마의 폐에서 밖으로 배출되고 다른 노폐물은 신장을 거쳐 소변으로 배설된다. 그래서 임신중 임신부의 혈액량은 임신 8주 후부터 약 40퍼센트 증가하고 임신초기에 증가된 혈액량은 대부분 모체의 신장으로 1분당 50밀리리터 정도씩 보내진다. 태아의 성장에 따라 자궁의 혈액량은 10배 정도까지 늘어나 임신초기에 1분당 50밀리리터이던 것이 산월(産月)이 되면 1분당 5백 밀리리터에 달하게 된다. 특히 허파와 유방, 말초모세혈관에서도 혈액의 증가현상이 보인다. 그러므로 임신부는 자신의 건강과 태아의 두뇌발육을 위해 보다 충분한 산소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런데 임신부의 폐, 신장, 간장 등이 태아를 위해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없거나 임신부의 산소흡입력이 저하되어 혈중 산소농도가 미약하거나 산소를 공급하는 태반의 기능이 약할 경우 태아의 신체성장은 물론 두뇌발육에 악영향을 가져올 우려가 높다. 따라서 다음으로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해주는 호흡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2. 천재아를 만드는 호흡법
앞의 태교의 방법에서도 언급했듯이 탄산호흡법, 뇌호흡법 등 다양한 호흡법이 있다. 여기서는 태아의 두뇌개발을 위해 임신 중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를 원활히 공급해주는 호흡법으로서 혈중 산소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겠다.
먼저 다음의 표를 보자. 표에서는 태아의 뇌 발달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표> 태아의 뇌 발달과정
0 ~ 4주 ; 3주째부터 뇌기관이 분화 발육한다.
5 ~ 8주 ; 뇌발육의 첫 번째 중요한 시기로 뇌가 급속하게 발달하기 때문에 머리가 몸통보다 크다.
9 ~ 12주 ; 뇌세포가 완성되어 간다. 이때 의식이 싹트기 시작하며, 기억한 흔적이 있다고 주 장하는 학자도 있다.
13 ~ 16주 ; 빛에 대한 조건반사가 시작되는 시기로서 3~4개월째가 가장 중요한 뇌발육시기 이다. 이때는 대뇌피질이 부쩍 자라며, 의식이 싹트고 소위 배냇짓이라고 하는 웃 거나 찡그리는 얼굴 모양을 한다.
17 ~ 20주 ; 대뇌피질이 더욱 무럭무럭 자란다.
21 ~ 24주 ; 뇌세포 발육의 두 번째 중요한 시기로, 뇌신경세포에서 축삭돌기와 수상돌기의 성장, 신경세포의 증식이 급격하게 일어난다. 6개월부터는 확실히 기억할 수 있 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많으며, 이 시기에 음악에 민감하고 엄마의 소리도 듣는다.
25 ~ 28주 ; 뇌가 크게 발육하여 몸의 기능을 조절하며 의식이 더욱 싹튼다. 신경세포는 성인 의 수에 거의 가까워진다.
29 ~ 32주 ; 더욱 성숙한 뇌가 되며, 뇌파 테스트에 수면이 나타난다.
33 ~ 36주 ; 뇌, 신경기관이 고도로 발달한 고등동물로서 복잡한 감정정서를 잠재적으로 기억 하게 된다.
37 ~ 40주 ; 완전한 인격체가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임신초기, 중기, 후기, 말기에 적합한 호흡법을 제시하겠다.
① 임신초기의 호흡법
ⅰ. 먼저 몸과 마음의 긴장을 완전히 풀고 입은 자연스럽게 다문다. 그리고 아래 윗니는 가볍게 맞대고 혀는 자연스럽게 입천장에 붙인다. 자세는 자연스럽게 취하고 절대 무리한 힘이 주지 않는다.
ⅱ. 조용히 눈을 감고 의식을 배꼽 밑 5센티미터 정도의 아랫배에 집중한다. 그리고 숨을 내쉬는데 이때 입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숨을 길게 토해낸다. 숨을 내쉴 때 아랫배를 천천히 안으로 당기면서 마음속으로 하나, 둘 , 셋, 넷, 다섯 하고 5초 동안 조용히 고르게 내쉰다. 이때 몸속에 있는 나쁜 가스가 입을 통해 빠져나간다고 생각한다.
ⅲ. 5초 동안 숨을 내쉰 후 다시 들이마시는데 이때도 역시 눈을 감은 채로 입을 조용히 다물고 혀는 입천장에 가볍게 댄다. 이때 마음속으로 다섯까지 숫자를 세면서 가늘게 숨을 들이마신다. 이때도 뱃속의 태아에게 산소가 들어간다고 생각하면서 서서히 들이마신다.
ⅳ. 서서 할 때는 어깨넓이로 양발을 벌린 상태에서 한다. 이때 눈은 감은 채로 해야 뇌파가 안정적이게 된다. 이 호흡법을 처음 시작할 때에는 누어서 하는 것이 좋고 베개는 베지 않는다. 단, 옆으로 누울 때는 베개를 사용해도 좋다.
② 임신중기(4개월~6개월)의 호흡법
임신중기에는 천재의 두뇌가 되는 뇌의 배선 즉 축삭돌기와 수상돌기의 엇물림이 진행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므로 태아의 뇌발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중기의 호흡법은 산모의 배가 많이 불러지기 때문에 숨의 내쉬기와 들이쉬기의 시간을 임신초기보다 1초 빠른 4초로 단축한다. 이때도 역시 무리하지 말고 숨이 끊어지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한다. 숨을 들이마실 때는 코로 들이마시며 내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7.06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