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인위생의 개념
개인위생의 필요성
개인위생의 목적
개인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시간별 위생 간호
-종류-
목욕 간호
손, 발, 발톱 간호
모발 간호
눈, 귀, 코 간호
구강 간호
회음부 간호
피부 간호
등 간호
개인위생의 필요성
개인위생의 목적
개인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시간별 위생 간호
-종류-
목욕 간호
손, 발, 발톱 간호
모발 간호
눈, 귀, 코 간호
구강 간호
회음부 간호
피부 간호
등 간호
본문내용
. 충치, 빠진치아 구취가 있는지 검사한다.
ⅱ) 발달적 변화
대상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치아, 잇몸의 정상적인 변화를 사정한다.
ⅲ) 위생에 대한 기호
대상자에게 구강위생에 관한 질문을 한다.
ⅳ) 구강위생문제에 대한 위험요인
자가간호를 할 수 없는 요인을 사정한다. 구강조직의 변화를 일으키는 상황을 밝힌다.
중재
ⅰ) 구강청결
이닦기: 최소한 하루 3회~4회 철저하게 이를 닦는 것이 효과적인 구강위생을 위해 필수적이다. 칫솔질로 인해 음식찌거기를 제거하며, 잇몸의 순환을 증진시켜서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다.
(유아의 이닦기)
1세 전후: 가볍게 적신 깨끗한 가제나 약솜으로 이의 표면을 훔치기도 하고 부드러운 칫솔로 점막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가볍게 문질러 이의 표면에 묻은 더러운 것을 없애도록 한다.
2세: 자기 스스로 칫솔을 쥐고 이를 닦는 연습을 시작한다. 치약은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6세 전후가 되면 최초의 영구치가 뒤쪽에 솟아난다. 이 영구치는 솟아나는 도중 그 바로 앞에 있는 젖니보다는 높이가 한결 낮고 더러운 것이 묻기 쉬워 충치가 되기 쉽다. 따라서 6세가 되기 이전에 스스로 양치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치실사용: 이닦기 만으로는 프라그와 치석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치실사용을 병행한다.
ⅱ) 식이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식후 30분 이내에 이를 닦아 프라그를 제거하도록 한다. 사과 같은 산성과일과 불소가 들어있는 음식을 먹는 것은 세균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ⅲ) 불소화합물 사용
치약이나 수돗물에 불소를 함유시킴으로써 충치를 예방할 수 있다.
ⅳ) 의치간호
의치를 닦을 때는 싱크대 바닥에 물수건이나 거즈를 깐다.
치약 묻힌 칫솔로 안쪽, 바깥쪽, 씹는면, 의치판까지 닦고 물로 헹군다.
의치를 끼우기 전 대상자의 잇몸, 혀를 조심스럽게 칫솔질하고 구강은 물로 헹군다.
의치를 보관할 때는 찬물에 보관한다.
ⅴ) 특별 구강간호
무의식 환자, 편마비 환자, 산소요법을 받는 환자, 안면마비가 있는 사람, 비위관을 삽입하고 있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구강 간호에 요쿠르트 효과적
경관영양을 하고 있는 환자의 구강간호에 요구르트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이형란 간호사는 석사논문(경희대 대학원) `요구르트를 이용한 구강간호가 경관영양 환자의 설태 제거와 구강안위에 미치는 효과'에서 요구르트가 경관 영양 환자의 구강상태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중추신경계질환자로서 비위관이나 경피적 위관을 이용한 경관영양을 시행중인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유산간균이 함유된 액상 요구르트가 구강간호에 사용됐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산간균이 분비하는 과산화수소는 항균성질을 가지고 있어 세균 내독소 활성을 억제하고 치주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실험군에 속한 환자들에게는 유산간균이 함유된 요구르트에 적신 거즈로 혀, 윗니, 아랫니, 잇몸, 구강점막을 차례로 닦아내는 방법으로 구강간호를 실시했다. 요구르트로 인한 치아우식을 예방하기 위해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다시 닦아냈다.
대조군인 환자들에게는 거즈를 0.02%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액에 적신 후 똑같은 방법으로 구강간호를 실시했으며, 생리식염수는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환자 모두에게 구강간호를 매일 2회 1주일간 실시했다.
연구결과 요구르트를 이용해 구강간호를 한 경우 0.02%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액을 이용했을 때보다 더 효과적으로 설태가 제거되고, 구강건조상태가 개선됐으며, 구강안위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르트를 이용해 구강간호를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설태정도와 구강건조정도 측정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통증과 악취 등 구강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들을 체크하도록 한 구강안위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도 낮아 구강안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간호사는 “요구르트를 이용한 구강간호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간호중재의 실증적 근거를 찾고자 했다”면서 “요구르트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하기 쉬워 환자간호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실험군에서 생리식염수의 보습효과를 완전히 통제했다고 볼 수 없으므로 구강간호시 생리식염수만을 이용하는 대조군과 비교하는 추후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6. 회음부 간호
대상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경우, 직장 또는 회음부 수술 후, 분만후 산모
회음부 사정
배뇨시 통증
회음부위의 국소적 쓰라림
질이나 요도의 배설물
좋지 못한 냄새
중재
회음부 간호시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며 회음 간호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대야에 물(약 41~43℃)과 수건을 준비한다.
대상자의 무릎을 굽힌 채로 벌리게 한다.
한 손으로 음순을 벌리고 회음부위에서 항문쪽으로 양쪽 다 깨끗이 닦는다.
이때 사용하는 스폰지는 한 번만 사용하도록 한다.
항문주위 실금된 변은 휴지로 깨끗이 닦은 후 물로 청결히 하고 잘 건조시킨다.
회음부 냉온요법(좌욕)
효과: 좌욕은 회음절개 부위의 염증을 방지, 상처부위가 따끔거리는 통증을 감소, 회음부 상처의 빠른 회복뿐만 아니라 많은 산모들이 겪는 치질 예방에도 효과가 높다.
방법: 엉덩이가 잠길 정도로 충분히 넓은 대야 두 개와, 배꼽까지 잠길 정도의 뜨거운 물(섭씨 41-43도 정도), 찬물(섭씨 14-24도 정도)을 준비한다.
대야에 뜨거운 물과 찬물을 가득 채우고 뜨거운 물에 3분, 찬물에 15초 동안 엉덩이를 담구는 일을 5-8회 반복한다.
끝낼 때는 언제나 찬물로 끝내어서 혈관을 수축하여 체온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주의: 출산 후에는 여러 가지 균들이 침입할 수 있으므로 대야나 수건 등을 깨끗한 것으로 사용하고 특히 물은 가급적 끓인 후 식힌 것을 이용한다. 10분 이상 지속하지 않는다.
(간호 위생) 개인위생의 개념과 필요성 및 목적, 영향, 간호 방법
<<목 차>>
개인위생의 개념
개인위생의 필요성
개인위생의 목적
개인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시간별 위생 간호
-종류-
목욕 간호
손, 발, 발톱 간호
모발 간호
눈, 귀, 코 간호
구강 간호
회음부 간호
피부 간호
등 간호
ⅱ) 발달적 변화
대상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치아, 잇몸의 정상적인 변화를 사정한다.
ⅲ) 위생에 대한 기호
대상자에게 구강위생에 관한 질문을 한다.
ⅳ) 구강위생문제에 대한 위험요인
자가간호를 할 수 없는 요인을 사정한다. 구강조직의 변화를 일으키는 상황을 밝힌다.
중재
ⅰ) 구강청결
이닦기: 최소한 하루 3회~4회 철저하게 이를 닦는 것이 효과적인 구강위생을 위해 필수적이다. 칫솔질로 인해 음식찌거기를 제거하며, 잇몸의 순환을 증진시켜서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다.
(유아의 이닦기)
1세 전후: 가볍게 적신 깨끗한 가제나 약솜으로 이의 표면을 훔치기도 하고 부드러운 칫솔로 점막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가볍게 문질러 이의 표면에 묻은 더러운 것을 없애도록 한다.
2세: 자기 스스로 칫솔을 쥐고 이를 닦는 연습을 시작한다. 치약은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6세 전후가 되면 최초의 영구치가 뒤쪽에 솟아난다. 이 영구치는 솟아나는 도중 그 바로 앞에 있는 젖니보다는 높이가 한결 낮고 더러운 것이 묻기 쉬워 충치가 되기 쉽다. 따라서 6세가 되기 이전에 스스로 양치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치실사용: 이닦기 만으로는 프라그와 치석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치실사용을 병행한다.
ⅱ) 식이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식후 30분 이내에 이를 닦아 프라그를 제거하도록 한다. 사과 같은 산성과일과 불소가 들어있는 음식을 먹는 것은 세균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ⅲ) 불소화합물 사용
치약이나 수돗물에 불소를 함유시킴으로써 충치를 예방할 수 있다.
ⅳ) 의치간호
의치를 닦을 때는 싱크대 바닥에 물수건이나 거즈를 깐다.
치약 묻힌 칫솔로 안쪽, 바깥쪽, 씹는면, 의치판까지 닦고 물로 헹군다.
의치를 끼우기 전 대상자의 잇몸, 혀를 조심스럽게 칫솔질하고 구강은 물로 헹군다.
의치를 보관할 때는 찬물에 보관한다.
ⅴ) 특별 구강간호
무의식 환자, 편마비 환자, 산소요법을 받는 환자, 안면마비가 있는 사람, 비위관을 삽입하고 있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구강 간호에 요쿠르트 효과적
경관영양을 하고 있는 환자의 구강간호에 요구르트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이형란 간호사는 석사논문(경희대 대학원) `요구르트를 이용한 구강간호가 경관영양 환자의 설태 제거와 구강안위에 미치는 효과'에서 요구르트가 경관 영양 환자의 구강상태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중추신경계질환자로서 비위관이나 경피적 위관을 이용한 경관영양을 시행중인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유산간균이 함유된 액상 요구르트가 구강간호에 사용됐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산간균이 분비하는 과산화수소는 항균성질을 가지고 있어 세균 내독소 활성을 억제하고 치주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실험군에 속한 환자들에게는 유산간균이 함유된 요구르트에 적신 거즈로 혀, 윗니, 아랫니, 잇몸, 구강점막을 차례로 닦아내는 방법으로 구강간호를 실시했다. 요구르트로 인한 치아우식을 예방하기 위해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다시 닦아냈다.
대조군인 환자들에게는 거즈를 0.02%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액에 적신 후 똑같은 방법으로 구강간호를 실시했으며, 생리식염수는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환자 모두에게 구강간호를 매일 2회 1주일간 실시했다.
연구결과 요구르트를 이용해 구강간호를 한 경우 0.02%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액을 이용했을 때보다 더 효과적으로 설태가 제거되고, 구강건조상태가 개선됐으며, 구강안위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르트를 이용해 구강간호를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설태정도와 구강건조정도 측정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통증과 악취 등 구강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들을 체크하도록 한 구강안위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도 낮아 구강안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간호사는 “요구르트를 이용한 구강간호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간호중재의 실증적 근거를 찾고자 했다”면서 “요구르트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하기 쉬워 환자간호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실험군에서 생리식염수의 보습효과를 완전히 통제했다고 볼 수 없으므로 구강간호시 생리식염수만을 이용하는 대조군과 비교하는 추후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6. 회음부 간호
대상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경우, 직장 또는 회음부 수술 후, 분만후 산모
회음부 사정
배뇨시 통증
회음부위의 국소적 쓰라림
질이나 요도의 배설물
좋지 못한 냄새
중재
회음부 간호시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며 회음 간호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대야에 물(약 41~43℃)과 수건을 준비한다.
대상자의 무릎을 굽힌 채로 벌리게 한다.
한 손으로 음순을 벌리고 회음부위에서 항문쪽으로 양쪽 다 깨끗이 닦는다.
이때 사용하는 스폰지는 한 번만 사용하도록 한다.
항문주위 실금된 변은 휴지로 깨끗이 닦은 후 물로 청결히 하고 잘 건조시킨다.
회음부 냉온요법(좌욕)
효과: 좌욕은 회음절개 부위의 염증을 방지, 상처부위가 따끔거리는 통증을 감소, 회음부 상처의 빠른 회복뿐만 아니라 많은 산모들이 겪는 치질 예방에도 효과가 높다.
방법: 엉덩이가 잠길 정도로 충분히 넓은 대야 두 개와, 배꼽까지 잠길 정도의 뜨거운 물(섭씨 41-43도 정도), 찬물(섭씨 14-24도 정도)을 준비한다.
대야에 뜨거운 물과 찬물을 가득 채우고 뜨거운 물에 3분, 찬물에 15초 동안 엉덩이를 담구는 일을 5-8회 반복한다.
끝낼 때는 언제나 찬물로 끝내어서 혈관을 수축하여 체온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주의: 출산 후에는 여러 가지 균들이 침입할 수 있으므로 대야나 수건 등을 깨끗한 것으로 사용하고 특히 물은 가급적 끓인 후 식힌 것을 이용한다. 10분 이상 지속하지 않는다.
(간호 위생) 개인위생의 개념과 필요성 및 목적, 영향, 간호 방법
<<목 차>>
개인위생의 개념
개인위생의 필요성
개인위생의 목적
개인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시간별 위생 간호
-종류-
목욕 간호
손, 발, 발톱 간호
모발 간호
눈, 귀, 코 간호
구강 간호
회음부 간호
피부 간호
등 간호
추천자료
간호학개론 - <세계간호역사> 간호역사, 고대 간호, 초기 기독교 간호, 중세 간호
간호교육-간호정보교육의 개념,간호정보교육의 중요성,간호정보교육의 발전과제
간호 리더십 (리더십 슈퍼리더십 셀프리더십) 간호 관리자의 유형, 간호 관리자 사례 및 분석...
가족간호 A+ (ⅰ. 가족의 상호작용 1. 가족 역할 2. 가족의 권력 3. 가족의 의사소통 ⅱ. 가족...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과정, 가족 케이스 스터디, 가정 간호과정, 가정 케이스스터디, 지...
학교간호과정, 학교간호계획, 학교간호목표설정, 학교간호계획, 학교간호수행, 학교간호평가,...
가족간호, 가족역할, 가족건강, 가족간호정의, 가족간호실무, 가족간호교육, 가족간호간호사,...
전략적간호관리 2017 과학적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하...
고위험모아간호학) 아동간호시 고려해야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입원환아 놀이의 예통...
고위험모아간호학] 아동간호시 고려해야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 통제감상실 아동의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