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란 무엇인가?
2. OSI 7 LAYER의 구조
3. OSI의 내용
4. 각 층의 특성과 기능
2. OSI 7 LAYER의 구조
3. OSI의 내용
4. 각 층의 특성과 기능
본문내용
적경로를 찾아준다. 그리고 게이트웨이는 OSI 7 Layer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을 한다.
각 계층별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기능을 알아보면 OSI 7 Layer의 물리계층에서 동작을 하는 리피터는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서로 다른 미디어를 연결시켜 주기도 한다. 리피터는 0과 1만을 재생하므로 데이터전송 중에 생긴 잡음 증폭에 대해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다. 브리지는 OSI 7 Layer의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동작을 하며 네트워크를 세그먼트화 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켜주며 다른 네트워크 세그먼트와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세그먼트(segment)란 일종의 컴퓨터의 집합체라는 의미로 브리지나 라우터에 의해 분할되는 LAN의 논리적인 부분이다. 이더넷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부서 등에 설치하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단위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브리지가 있는 네트워크에서는 한쪽의 세그먼트에서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브리지에 의해 다른 세그먼트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지만 브리지가 없게 되면 이쪽의 세그먼트의 트래픽은 다른 쪽의 세그먼트들로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브리지는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고 규모가 커지게 되면 라우터를 사용한다. 라우터는 네트워크계층에서 동작을 하며 원하는 정보가 목적지에 도달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브리지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점은 브리지가 트래픽조정을 위해 하드웨어 주소를 사용하는 반면, 라우터는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여 브리지보다 커다란 네트워크를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라우터는 사용할 수 없는 프로토콜이 있는데 NetBEUI와 같은 내부네트워크 전용 프로토콜은 라우팅이 안 되므로 사용할 수가 없다. 게이트웨이는 OSI 7 Layer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을 하며, 서로 다른 구성의 네트워크 정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각의 프로토콜들은 OSI 7 Layer의 각각의 계층별로 동작하는 층들이 다른데, 거기에 대해 알아보면 SLIP는 물리계층에서, PPP는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에서 동작을 한다. 네트워크계층에는 IP, IPX, NWLink, NetBEUI, ARP, ICMP와 같은 프로토콜이 있으며 전송계층에서는 TCP, UDP, SPX같은 프로토콜들이 동작을 한다. 그리고 FTP, SMTP, NFS, Telnet과 같은 프로토콜들은 세션, 표현, 응용계층에서 동작을 한다.
각 계층별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기능을 알아보면 OSI 7 Layer의 물리계층에서 동작을 하는 리피터는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서로 다른 미디어를 연결시켜 주기도 한다. 리피터는 0과 1만을 재생하므로 데이터전송 중에 생긴 잡음 증폭에 대해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다. 브리지는 OSI 7 Layer의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동작을 하며 네트워크를 세그먼트화 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켜주며 다른 네트워크 세그먼트와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세그먼트(segment)란 일종의 컴퓨터의 집합체라는 의미로 브리지나 라우터에 의해 분할되는 LAN의 논리적인 부분이다. 이더넷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부서 등에 설치하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단위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브리지가 있는 네트워크에서는 한쪽의 세그먼트에서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브리지에 의해 다른 세그먼트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지만 브리지가 없게 되면 이쪽의 세그먼트의 트래픽은 다른 쪽의 세그먼트들로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브리지는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고 규모가 커지게 되면 라우터를 사용한다. 라우터는 네트워크계층에서 동작을 하며 원하는 정보가 목적지에 도달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브리지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점은 브리지가 트래픽조정을 위해 하드웨어 주소를 사용하는 반면, 라우터는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여 브리지보다 커다란 네트워크를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라우터는 사용할 수 없는 프로토콜이 있는데 NetBEUI와 같은 내부네트워크 전용 프로토콜은 라우팅이 안 되므로 사용할 수가 없다. 게이트웨이는 OSI 7 Layer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을 하며, 서로 다른 구성의 네트워크 정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각의 프로토콜들은 OSI 7 Layer의 각각의 계층별로 동작하는 층들이 다른데, 거기에 대해 알아보면 SLIP는 물리계층에서, PPP는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에서 동작을 한다. 네트워크계층에는 IP, IPX, NWLink, NetBEUI, ARP, ICMP와 같은 프로토콜이 있으며 전송계층에서는 TCP, UDP, SPX같은 프로토콜들이 동작을 한다. 그리고 FTP, SMTP, NFS, Telnet과 같은 프로토콜들은 세션, 표현, 응용계층에서 동작을 한다.
추천자료
[TCP/IP프로토콜]TCP/IP프로토콜의 개념, TCP/IP프로토콜의 물리적 네트워크 구현, TCP/IP프...
OSI 참조모델-ISO의 표준 프로토콜 모델
OSI 참조모델과 TCP IP 프로토콜의 비교와 DNS
통신 프로토콜와 OSI
(e-비즈니스)1. 규범적인 프로토콜인 OSI7-Layer 프로토콜의 7개 계층을 제시하고 각 계층이 ...
(A+, 경영학과, e-비즈니스) 규범적인 프로토콜인 OSI 7-Layer 프로토콜의 7개 계층을 제시 ...
(A+, 경영학과, e-비즈니스) 규범적인 프로토콜인 OSI 7-Layer 프로토콜의 7개 계층을 제시 ...
통신프로토콜과 osi참조모델
OSI7-Layer 프로토콜의 7개 계층을 제시하고 각 계층이 수행하는 역할을 설명하고, 실제 인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