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 실험절차
4.1 오실로스코프 작동방법(초기 조정)
4.2 오실로스코프 각종 단자의 이해
4.1 오실로스코프 작동방법(초기 조정)
4.2 오실로스코프 각종 단자의 이해
본문내용
실험 5. 오실로스코프
4. 실험절차
4.1 오실로스코프 작동방법(초기 조정)
여기서는 처음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할 때 파형을 화면에 잘 나타나게 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기술하였다. 이 순서를 따라가면서 사용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각 순서 끝에 있는 괄호 안의 내용은 각 순서의 조정목적이다.
① 전원을 넣기 전에 INTENSITY, FOCUS 단자를 좌우로 돌려보면서 가운데쯤에 위치시킨다. VOLTS/DIV, TIME/DIV에 VARIABLE단자가 있으면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려놓는다. TRACE ROTATION은 건드리지 말 것(눈금보정, 적당한 밝기, 초점확보)
② CH1, CH2의 POSITION 단자, TIME/DIV(horizontal)의 POSITION(DELAY)을 좌우로 돌려보면서 가운데쯤에 위치시킨다. (적당한 수직위치 확보).
③ CH1, CH2의 COUPLING 단자를 GND에 위치시킨다.(CH1, CH2의 수직편향전극에 0V 인가).
④ X-Y 모드를 선택한다.
⑤ 이제 전원을 켠다. (X = CH1 = 0V, Y = CH2 = 0V이므로 전원을 넣으면 화면의 중앙에 한 점이 나타나야 한다.) 점이 나타나면 CH2(=Y)의 POSITON 단자와 TIME/DIV의 POSITION(DELAY)(=X, 또는 CH1의 POSITION을 조정하여 화면 중앙에 점을 위치시킨다. 점의 밝기와 선명도를 INTENSITY와 FOCUS를 사용하여 보기 좋도록 조정한다. 너무 밝게 하면 화면의 그 위치가 타버리므로 조심한다. 점이 나타나지 않으면 먼저 INTENSITY 단자를 밝게 조정해본다. 또 앞의 ②, ③, ④를 다시 확인해본다. 그래도 나타나지 않으면 전면적인 고장이거나 X-Y 모드의 고장이다.
⑥ VERTICAL MODE에서 CH1와 CH2를 동시에 또는 DUAL을 선택한다.(두 개의 파형이 보이도록 미리 조정).
⑦ TRIGGER MODE에서 AUTO를 선택한다.(자동 트리거).
⑧ TIME/DIV를 0.5ms/DIV로 하고, x5 MAG가 OFF인지 반드시 확인한다. X-Y모드를 제거한다.(이 순간 화면의 점이 두 개의 선으로 바뀌어야 한다. 선이 보이지 않으면 INTENSITY를 조절한다. 이 선의 위치가 각 채널의 접지 =0V인 위치이다).
⑨ CH1, CH2의 POSITION 단자를 조절하여 적당한 위치를 정한다. TIME/DIV를 50ms/DIV로 조정하고 화면을 관찰한다.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 밝은 점이 좌에서 우로 움직여야 한다.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적어도 한 대의 아날로그 방식 오실로스코프를 가져와서 먼저 보여주어야 한다.
4. 실험절차
4.1 오실로스코프 작동방법(초기 조정)
여기서는 처음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할 때 파형을 화면에 잘 나타나게 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기술하였다. 이 순서를 따라가면서 사용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각 순서 끝에 있는 괄호 안의 내용은 각 순서의 조정목적이다.
① 전원을 넣기 전에 INTENSITY, FOCUS 단자를 좌우로 돌려보면서 가운데쯤에 위치시킨다. VOLTS/DIV, TIME/DIV에 VARIABLE단자가 있으면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려놓는다. TRACE ROTATION은 건드리지 말 것(눈금보정, 적당한 밝기, 초점확보)
② CH1, CH2의 POSITION 단자, TIME/DIV(horizontal)의 POSITION(DELAY)을 좌우로 돌려보면서 가운데쯤에 위치시킨다. (적당한 수직위치 확보).
③ CH1, CH2의 COUPLING 단자를 GND에 위치시킨다.(CH1, CH2의 수직편향전극에 0V 인가).
④ X-Y 모드를 선택한다.
⑤ 이제 전원을 켠다. (X = CH1 = 0V, Y = CH2 = 0V이므로 전원을 넣으면 화면의 중앙에 한 점이 나타나야 한다.) 점이 나타나면 CH2(=Y)의 POSITON 단자와 TIME/DIV의 POSITION(DELAY)(=X, 또는 CH1의 POSITION을 조정하여 화면 중앙에 점을 위치시킨다. 점의 밝기와 선명도를 INTENSITY와 FOCUS를 사용하여 보기 좋도록 조정한다. 너무 밝게 하면 화면의 그 위치가 타버리므로 조심한다. 점이 나타나지 않으면 먼저 INTENSITY 단자를 밝게 조정해본다. 또 앞의 ②, ③, ④를 다시 확인해본다. 그래도 나타나지 않으면 전면적인 고장이거나 X-Y 모드의 고장이다.
⑥ VERTICAL MODE에서 CH1와 CH2를 동시에 또는 DUAL을 선택한다.(두 개의 파형이 보이도록 미리 조정).
⑦ TRIGGER MODE에서 AUTO를 선택한다.(자동 트리거).
⑧ TIME/DIV를 0.5ms/DIV로 하고, x5 MAG가 OFF인지 반드시 확인한다. X-Y모드를 제거한다.(이 순간 화면의 점이 두 개의 선으로 바뀌어야 한다. 선이 보이지 않으면 INTENSITY를 조절한다. 이 선의 위치가 각 채널의 접지 =0V인 위치이다).
⑨ CH1, CH2의 POSITION 단자를 조절하여 적당한 위치를 정한다. TIME/DIV를 50ms/DIV로 조정하고 화면을 관찰한다.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 밝은 점이 좌에서 우로 움직여야 한다.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적어도 한 대의 아날로그 방식 오실로스코프를 가져와서 먼저 보여주어야 한다.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전기분해와 도금
[전자공학실험] 신호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사용법- 결과리포트
전기회로_시험회로_연구_실험_보고서
전기전자기초실습_중첩의 원리
전기전자기초실습_캐패시터
[A+받은] [전기 전자 기초] (결과) 제2강. 이차회로 특성실험
전기전자공학개론 실습
[전기전자] 단일코일에서의 자기장 측정 - 여러 종류의 코일에서의 축 방향의 자기장을 측정
기초전기전자 - 파형측정
전자공학실험 - 오실로스코프와 신호발생기
[일반화학실험] 화학 전지 실험 보고서[다니엘 전지를 기본으로 전지의 기전력, 전기 전도도,...
전기전자 - 트랜지스터의 발명, 트랜지스터의 구조, 트랜지스터의 종류, 트랜지스터의 기호와...
[전자전기공학] 쿨롱의 법칙 : 평행판 극판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쿨롱의 힘을 측정하여 쿨...
전기전자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