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장애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력 손실의 정의

2) 청각학

3) 소리

4) 우리는 어떻게 듣나?

5) 귀의 구조

6) 청력손실(hearing loss)의 유형

7) 청각장애의 발병시기와 원인

8) 청력검사

9) 청력 손실의 영향

10) 청각재활

본문내용

4) 청력 손실의 정도
① 경도손실(41~55 dB)
약간 어려움 있지만 얼굴 마주보고 대화 가능, 교실에서 벌어지는 토론의 많은 부분 듣지 못함. 청각장애 깨닫지 못하는 급우 有, 보청기 착용하면 이득 본다. 멀-언어 치료사로부터 가끔씩 말과 언어지도
② 중등도 손실(56~70dB)
보청기 없이는 분명하고 큰 소리의 대화밖에 듣지 못함, 남자 목소리 더 잘들음(저주파수대 청력 손실 덜 심함), 앞에 앉아도 토론 이해 힘듬, 장애 있지만 알아들을 수 있는 말 함, 특수학급에 출석
③ 중도(71~90dB)
귀로부터 30cm 이내 나는 큰 소리만 들음, 보청기 이득 보는지 확실치 않음, 대부분 모음들은 식별 가능하지만 몇 명 자음은 듣지 못함, 문이 꽝 닫히는 소리, 진공 청소리 작동 소리, 머리 위로 비행기 날아가는 소리, 말과 수화로 의사소통, 말하는 화자의 얼굴에 항상 시각적 주의, 특수학급과 수화 통역사 있는 정규 학습 번갈아 수업
④ 최중도(91dB 이상)
대화 말소리 전혀 들을 수 없음, 화재 경보 소리나 자동차 경적 소리와 같은 큰 소리 알아듣기 위해 보청기 착용, 시각적 학습 주양식, 의사소통 주요 수단으로 수화 사용, 알아들을 수 있는 말 발달 안 됨, 농아인 위한 기숙제 학교에 출석
9) 청력 손실의 영향
(1) 읽기 및 학업 성취
① 국어 습득하는데 아주 불리, 말과 언어 자발적 학습 어려움 有, 읽기와 쓰기가 음운론적 언어의 문자 표현과 관련되므로 조금밖에 이해하지 못하거나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로 해독, 대부분 정상적 지적능력 갖고 있음
(2) 사회 및 심리적 요인들
아동의 행동과 사회정서적 발달에 영향 →위축감, 우울, 고립감 호소
10) 청각재활
(1) 구어/청각 접근법
① 구화 강조 프로그램 - 청능 훈련, 독화, 보청기 및 증폭기 사용, 말하는 것에 주의
② 단서 구화(cued speech) - 구화 의사소통 방법 보충하기 위한 방법, 독화로 구별하기 어려운 음소들을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 시각적 표현을 제공
(2) 토탈 커뮤니케이션
① 수화나 지문자와 같은 손으로 하는 의사소통과 독화와 잔존 청력을 통한 구어적 의사소통 동시 사용
(3) 보청기와 보조공학
① 증폭기(보청기), 청능 훈련/학습(잔존청력 사용0, 독화(화자의 얼굴 관찰함으로 구어 메시지 이해), 수화통역사, 문자 전화(타이프, 디지털 형태의 메시지 송신), 텔레비전 자막 서비스, 경보기(음성인식 system)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1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