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화에 대한 이해와 패스트푸드 문화와 교육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 왜 ‘맥도날드화’에 주목하는가?

[본론]
1. ‘맥도날드화(Mcdonaldization)'란?
2. ‘맥도날드화’가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측면
3. ‘맥도날드화’를 잘 드러내는 두 가지 사례 : 패스트푸드 문화와 교육 문화

[결론]

본문내용

에서 예문을 사용하면서 학식, 추진력, 돈, 용모, 여자친구, 젊음, 야망 등의 단어를 계속 집어넣음 : 이것은 바로 자본주의 미국에서 한 인간의 성공 조건들을 제시하는 것. “소유하라, 소유하라, 기업가여 소유하라” 라는 것이 이 학습의 주제.
(d) 미국식 개성의 끊임없는 강요
-영어회화를 배우면서 사람들은 개성을 상실함.
ex) ‘정’ ‘효도’ ‘여백의 미’ ‘기백’ 등 한국적 문화 표현 양식을 쉽게 전달할 수 없게 됨.
-영어회화 속에 감추어져 있는 이데올로기를 자각하고 그것을 의식적으로 거부하면서 영어를 공부한 사람들의 경우는 훨씬 더 자연스럽고 원활한 형태의 영어를 사용함.
ex) 외국인과 접촉이 별로 없는 지역의 사람이 영어회화 세계에 있는 사람보다 외국인을 대하는 태도가 더 자연스럽고 개방적이며 당당함.
(e) 아시아와 제 3세계 연대를 위한 언어로
-세계의 거의 모든 나라의 사람들과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언어, 각국 수준에서 국제적 교류와 연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언어가 바로 영어.
- 영어를 문화 지배의 언어로서가 아니라 아시아와 제3세계의 연대를 위한 언어로 변화시키기 시작해야 함.
-영어공부가 미국문화에 대한 추종적인 목적 → 국제적 의사소통의 도구로 바뀌어야 함.
-한국의 문화, 역사와 정치 그리고 아시아적 표현을 반영하는 새로운 한국판 영어를 창출 →미국인이 한국에 왔을 때, 그들이 영어를 배워야 함.
[결론]
지금까지 패스트푸드 문화와 교육 문화라는 두 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 사회가 어떠한 측면에서 맥도날드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우리 자신들이 일상 속에서 각 분야에 걸쳐 알게 모르게 미국 문화에 의해 지배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처럼 권력이란 스스로를 통제하는 사고가 우리들 안에 자리 잡아 무의식중에 우리를 지배하는 다양한 방식을 의미한다. 우리가 우리 자신도 모르게 내부에 존재하는 이 미국식 사고방식과 문화에 대한 우월적, 추종적 사고를 발견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노력할 때, 우리는 비로소 미국 문화에 대한 종속을 의미하는 맥도날드화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 목 차 -
[서론]
◈ 왜 ‘맥도날드화’에 주목하는가?
[본론]
1. ‘맥도날드화(Mcdonaldization)'란?
2. ‘맥도날드화’가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측면
3. ‘맥도날드화’를 잘 드러내는 두 가지 사례 : 패스트푸드 문화와 교육 문화
[결론]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30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0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