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뇨의 정성 검사-
1) 잠혈반응
2) 빌리루빈
3) 우로빌리노겐
4) 케톤체
5) 단백질
6) 아질산염
7) 포도당
8) PH
9) 뇨비중
10) 백혈구
★ 뇨실험 ★
실험 결과
고찰
★뇨 크레아티닌 정량★
◈ 실험결과
1) 잠혈반응
2) 빌리루빈
3) 우로빌리노겐
4) 케톤체
5) 단백질
6) 아질산염
7) 포도당
8) PH
9) 뇨비중
10) 백혈구
★ 뇨실험 ★
실험 결과
고찰
★뇨 크레아티닌 정량★
◈ 실험결과
본문내용
때문에 재검을 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실험 과정 중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정확한 소변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소변검사가 비정상이 나왔다고 해서 질병이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정상범위수치에 너무 신경 쓸 필요는 없는 것 같다.
★뇨 크레아티닌 정량★
실습재료: urine sample, creatinine kit, Micropipette, cuvette, test tube, 증류수
1) 표준곡선 작성을 위한 용액 만들기 (단위: ml)
맹검
시험관 1
시험관 2
시험관 3
시험관 4
기준액
0.1
0.25
0.5
원액그대로사용
1.0
증류수
0.9
0.75
0.5
크레아티닌
(mg/dl)
1
2.5
5.0
10
위의 각 희석 기준액을 0.1씩 취하고 피크린산 시약 3.0ml씩 혼합하고, 37˚C에서 20분간 (waterbath 사용) 방치 후 피크린산시약을 대조로하여 각관의 흡광도를 읽고 모눈종이에 표준곡선을 작성한다.
2)흡광도 측정
①다음과 같이 한사람당 검체시험관 1개, 한조당 맹검시험관 2개, 표준시험관 1개를 만든다.
맹검
검체
표준
소변
넣지않음
0.1ml
기준액 0.1ml
피크린산시약
3.0ml
3.0ml
3.0ml
37˚C, 20분간 (waterbath 사용)방치 후 맹검을 대조로 하여 검체, 표준의 흡광도(파장515mm)를 읽는다. (A1)
에시드시약
2방울
2방울
넣지않음
37˚C, 5분간 (waterbath 사용)방치 후 맹검을 대조로 하여 검체, 표준의 흡광도 (파장515mm)를 읽는다. (A2)
②계산법
소변의 흡광도 = A1- A2
크레아티닌 (ml/dl) = 검체의 흡광도/표준의 흡광도 ×10
※ CHI(%) = 24시간 소변중의 크레아티닌의 양/ 신장과 부합되는 이상적인 24시간 크레아 티닌 배설량 ×100
> 80% : 정상
60~80 % : 중정도의 근육량 부족
< 60% : 심한정도의 근육량 부족
◈ 실험결과
1)표준곡선 흡광도
B
시험관1
시험관2
시험관3
시험관4
0.0000
0.0314
0.0668
0.1356
0.2856
2)흡광도 측정
맹검
김부자
표준
0.000
1.8296
0.2850
0.000
0.0179
0.3029
*소변의 흡광도:1.8296-0.0179= 1.8117
*크레아티닌(mg/dl)= 1.18117/0.3029 ×10= 59.81
* CHI(%)=59.81/1006×100= 5.95
★뇨 크레아티닌 정량★
실습재료: urine sample, creatinine kit, Micropipette, cuvette, test tube, 증류수
1) 표준곡선 작성을 위한 용액 만들기 (단위: ml)
맹검
시험관 1
시험관 2
시험관 3
시험관 4
기준액
0.1
0.25
0.5
원액그대로사용
1.0
증류수
0.9
0.75
0.5
크레아티닌
(mg/dl)
1
2.5
5.0
10
위의 각 희석 기준액을 0.1씩 취하고 피크린산 시약 3.0ml씩 혼합하고, 37˚C에서 20분간 (waterbath 사용) 방치 후 피크린산시약을 대조로하여 각관의 흡광도를 읽고 모눈종이에 표준곡선을 작성한다.
2)흡광도 측정
①다음과 같이 한사람당 검체시험관 1개, 한조당 맹검시험관 2개, 표준시험관 1개를 만든다.
맹검
검체
표준
소변
넣지않음
0.1ml
기준액 0.1ml
피크린산시약
3.0ml
3.0ml
3.0ml
37˚C, 20분간 (waterbath 사용)방치 후 맹검을 대조로 하여 검체, 표준의 흡광도(파장515mm)를 읽는다. (A1)
에시드시약
2방울
2방울
넣지않음
37˚C, 5분간 (waterbath 사용)방치 후 맹검을 대조로 하여 검체, 표준의 흡광도 (파장515mm)를 읽는다. (A2)
②계산법
소변의 흡광도 = A1- A2
크레아티닌 (ml/dl) = 검체의 흡광도/표준의 흡광도 ×10
※ CHI(%) = 24시간 소변중의 크레아티닌의 양/ 신장과 부합되는 이상적인 24시간 크레아 티닌 배설량 ×100
> 80% : 정상
60~80 % : 중정도의 근육량 부족
< 60% : 심한정도의 근육량 부족
◈ 실험결과
1)표준곡선 흡광도
B
시험관1
시험관2
시험관3
시험관4
0.0000
0.0314
0.0668
0.1356
0.2856
2)흡광도 측정
맹검
김부자
표준
0.000
1.8296
0.2850
0.000
0.0179
0.3029
*소변의 흡광도:1.8296-0.0179= 1.8117
*크레아티닌(mg/dl)= 1.18117/0.3029 ×10= 59.81
* CHI(%)=59.81/1006×100= 5.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