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Ⅱ. 교육의 다양한 정의들
Ⅲ. 교육을 보는 철학적 관점들
Ⅳ. 교육의 본질
Ⅱ. 교육의 다양한 정의들
Ⅲ. 교육을 보는 철학적 관점들
Ⅳ. 교육의 본질
본문내용
> 상편에 처음으로 나타남 *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 중 세 번째 즐거움이 바로 천하에서 뛰어난 인재를 얻어 교육 하는 즐거움
* 敎는 “위에서 베풀고, 아래에서는 본받는다(上所施, 下所效也).”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 育은 “자녀를 길러 착하게 만든다(養子使作善也).”
* 종합 :교육은 아동에게 모범을 보이고 지도하면서 아동이 타고난 소질, 흥미, 능력 등 을발휘하도록 보살핀다는 뜻
▶ 우리말, ‘가르치다’ : “갈다”와 “치다”의 합성어
* 나쁘고 거친 것을 가려내고 다듬어서 착하고 아름답게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 ‘e’ : “밖으로”라는 전치사적 접두사
* ‘ducare’ : “이끌어 내다”라는 동사
* 종합 : 아동의 타고난 소질과 능력의 계발을 꾀하는 목적
▶ 영어, ‘education’ : 라틴어 동사 ‘educare’가 그 어원.
2) 선현들이 내린 교육의 정의들
▶ 오류를 없애고 진리를 발견하는 것 (Socrates)
▶ 육체와 정신에 완전성을 부여해 주는 것 (Platon)
▶ 완전한 덕을 계발하여 궁극적인 행복에 도달하게 하는 활동 (Aristoteles)
▶ 인간의 영혼을 계발하는 것 (Augustinus)
▶ 전인적 인간의 계발이며 신과 더불어 영원한 행복을 누리도록 하는 것 (Comenius)
▶ 자연에 따르는 습관의 형성 (Rousseau)
▶ 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의 조성작용 (Pestalozzi)
▶ 도덕적 품성의 도야 (Herbart)
▶ 신성의 실현과정 (Frobel)
▶ 완전한 생활을 위한 준비 (Spencer)
▶ 성인세대가 미성인세대에게 미치는 방법적인 사회화 (Durkheim)
▶ 문화의 전파작용 (Spranger)
▶ 경험의 재구성 (Dewey)
▶ 무엇인가 가치있는 것을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법으로 의도적으로 전달하는 과정 또는 전 달받은 상태 (Peters)
▶ 도덕적 실천인의 양성 (孔子)
▶ 물욕을 제거하여 선성(善性)을 회복하는 것 (孟子)
▶ 양지양능(良知良能)의 회복 (王陽明)
3) 각기 다른 입장에서의 내린 교육의 정의들
▶ 인격주의적 입장 : 교육은 인간의 의식에 내재하는 정신작용에 의하여 자연 상태에서 이상의 상태로 지향해 가는 과정에 스스로의 인격을 완성하고 문화관, 가치관을 형성해 가는 것이다.
▶ 자연주의적 입장 : 교육은 자연처럼 선한 인간의 본성이 외적인 영향에 의해 악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인간성 자체 안에 잠재해 있는 자연성을 계발시키는 것이다. 즉, 자연의 이법에 따라 순리적으로 미성숙한 자연인을 성숙한 자연인으로 육성하는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 사회주의적 입장 : 교육을 사회의 존속과 발전을 위한다는 필요에 따라 개인을 유능한 사회적 인간으로 형성해 가는 행위로 본다. 교육은 적당한 사회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 종교주의적 입장 : 교육을 인간영혼의 완성을 위하여 참여하고 공헌해야 하며 미래를 위한 준비를 시키는 것으로 본다.
▶ 조작적 입장 : 교육을 실천적 과제로 보면서 실제적이며 실천적인 것으로 결과가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의 결과를 의미한다.
4) 교육의 본질
이렇게 교육의 개념에 대한 정의들이 다양한데도 불구하고 이 속에서 공통적인 내용영역을 찾아볼 수 있다. 바로 ‘교육은 그 무엇인가가 어떤 무엇인가가 되도록 도와주는 행위’라는 것이다. 칸트(I, Kant)는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만 인간이 되며, 따라서 교육이란 현실적 존재(Sein)를 이상적 당위(Sollen)로 화하게 하는 기능”이라고 정의했는데 여기서 첫 번째 사용된 인간은 현실적 존재, 두 번째 사용된 인간은 이상적 당위라는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다. 즉, “현실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만 이상적 당위로서의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은 그 무엇인가가 어떤 무엇인가가 되도록 도와주는 행위’라는 말에서 그 무엇인가는 인간이며 어떤 무엇인가도 역시 인간을 뜻하므로 교육의 본질은 “인간이 인간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현실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이상적 당위로서의 인간이 되어지는 과정”이라는 말로 정리된다.
<참고문헌>
정영근 외, <교육학개론>, 서울, 문음사.
손경란, <교육학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박의수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서울, 동문사.
윤정일 외, <신 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노은호 외, <교육과 삶>, 서울, 동문사.
김두범 외, <교육학의 이해>, 서울, 학이당.
* 敎는 “위에서 베풀고, 아래에서는 본받는다(上所施, 下所效也).”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 育은 “자녀를 길러 착하게 만든다(養子使作善也).”
* 종합 :교육은 아동에게 모범을 보이고 지도하면서 아동이 타고난 소질, 흥미, 능력 등 을발휘하도록 보살핀다는 뜻
▶ 우리말, ‘가르치다’ : “갈다”와 “치다”의 합성어
* 나쁘고 거친 것을 가려내고 다듬어서 착하고 아름답게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 ‘e’ : “밖으로”라는 전치사적 접두사
* ‘ducare’ : “이끌어 내다”라는 동사
* 종합 : 아동의 타고난 소질과 능력의 계발을 꾀하는 목적
▶ 영어, ‘education’ : 라틴어 동사 ‘educare’가 그 어원.
2) 선현들이 내린 교육의 정의들
▶ 오류를 없애고 진리를 발견하는 것 (Socrates)
▶ 육체와 정신에 완전성을 부여해 주는 것 (Platon)
▶ 완전한 덕을 계발하여 궁극적인 행복에 도달하게 하는 활동 (Aristoteles)
▶ 인간의 영혼을 계발하는 것 (Augustinus)
▶ 전인적 인간의 계발이며 신과 더불어 영원한 행복을 누리도록 하는 것 (Comenius)
▶ 자연에 따르는 습관의 형성 (Rousseau)
▶ 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의 조성작용 (Pestalozzi)
▶ 도덕적 품성의 도야 (Herbart)
▶ 신성의 실현과정 (Frobel)
▶ 완전한 생활을 위한 준비 (Spencer)
▶ 성인세대가 미성인세대에게 미치는 방법적인 사회화 (Durkheim)
▶ 문화의 전파작용 (Spranger)
▶ 경험의 재구성 (Dewey)
▶ 무엇인가 가치있는 것을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법으로 의도적으로 전달하는 과정 또는 전 달받은 상태 (Peters)
▶ 도덕적 실천인의 양성 (孔子)
▶ 물욕을 제거하여 선성(善性)을 회복하는 것 (孟子)
▶ 양지양능(良知良能)의 회복 (王陽明)
3) 각기 다른 입장에서의 내린 교육의 정의들
▶ 인격주의적 입장 : 교육은 인간의 의식에 내재하는 정신작용에 의하여 자연 상태에서 이상의 상태로 지향해 가는 과정에 스스로의 인격을 완성하고 문화관, 가치관을 형성해 가는 것이다.
▶ 자연주의적 입장 : 교육은 자연처럼 선한 인간의 본성이 외적인 영향에 의해 악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인간성 자체 안에 잠재해 있는 자연성을 계발시키는 것이다. 즉, 자연의 이법에 따라 순리적으로 미성숙한 자연인을 성숙한 자연인으로 육성하는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 사회주의적 입장 : 교육을 사회의 존속과 발전을 위한다는 필요에 따라 개인을 유능한 사회적 인간으로 형성해 가는 행위로 본다. 교육은 적당한 사회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 종교주의적 입장 : 교육을 인간영혼의 완성을 위하여 참여하고 공헌해야 하며 미래를 위한 준비를 시키는 것으로 본다.
▶ 조작적 입장 : 교육을 실천적 과제로 보면서 실제적이며 실천적인 것으로 결과가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의 결과를 의미한다.
4) 교육의 본질
이렇게 교육의 개념에 대한 정의들이 다양한데도 불구하고 이 속에서 공통적인 내용영역을 찾아볼 수 있다. 바로 ‘교육은 그 무엇인가가 어떤 무엇인가가 되도록 도와주는 행위’라는 것이다. 칸트(I, Kant)는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만 인간이 되며, 따라서 교육이란 현실적 존재(Sein)를 이상적 당위(Sollen)로 화하게 하는 기능”이라고 정의했는데 여기서 첫 번째 사용된 인간은 현실적 존재, 두 번째 사용된 인간은 이상적 당위라는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다. 즉, “현실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만 이상적 당위로서의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은 그 무엇인가가 어떤 무엇인가가 되도록 도와주는 행위’라는 말에서 그 무엇인가는 인간이며 어떤 무엇인가도 역시 인간을 뜻하므로 교육의 본질은 “인간이 인간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현실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이상적 당위로서의 인간이 되어지는 과정”이라는 말로 정리된다.
<참고문헌>
정영근 외, <교육학개론>, 서울, 문음사.
손경란, <교육학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박의수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서울, 동문사.
윤정일 외, <신 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노은호 외, <교육과 삶>, 서울, 동문사.
김두범 외, <교육학의 이해>, 서울, 학이당.
추천자료
초등학교교육과정(초등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교육과정(초등교육과정)의 개정 배...
초등학교수학교육(초등수학)의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수학교육(초등수학)의 중점, 초등학교수...
학교교육(공교육)의 역할, 학교교육(공교육)의 목표, 학교교육(공교육)과 학업부실, 학교교육...
학교교육(공교육)의 중요성과 기능, 학교교육(공교육)과 학습권, 학교평가제도, 교육예산, 학...
실업계고등학교교육과정의 성격과 방향, 실업계고등학교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실업계고등학...
학교교육(공교육)의 역할, 학교교육(공교육)의 문제점, 학교교육(공교육)의 불신, 학교교육(...
초등학교영어과교육(초등영어)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영어과교육(초등영어)의 개정중점, 초...
학교교육(공교육)의 교육이론, 학교교육(공교육)의 역할, 학교교육(공교육)과 교원정책, 학교...
학교교육(공교육)의 정의, 학교교육(공교육)의 만족도, 학교교육(공교육)과 유능감, 성인교육...
초등학교교육 영어과 열린학습지도, 수학과 수량학습지도, 초등학교교육 국어과 협동학습지도...
초등학교체육과교육(초등체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체육과교육(초등체육)의 수업방향과 ...
학교교육(공교육)의 특징, 학교교육(공교육)의 공공성과 다양화, 학교교육(공교육)의 만족도,...
학교교육(공교육)의 의의와 불공정성, 학교교육(공교육)의 질, 학교교육(공교육)과 교육복지,...
학교교육(공교육)의 의미, 학교교육(공교육)의 교육이론, 학교교육(공교육)의 인간화, 학교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