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품의 줄거리
2. 작품의 이해
3. 불여세합(不與世合) 과 삶의 인식문제
4. 주체적 도교문화에 대한 관심
2. 작품의 이해
3. 불여세합(不與世合) 과 삶의 인식문제
4. 주체적 도교문화에 대한 관심
본문내용
다는 점을 알 수 있겠다.
3)<남궁선생전>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그 동안의 논의와 다른 논지들도 나오는데 조동일 교수는<남궁선생전>의 의미를 "허균이 쓰고자 한 것은 신선담이 아니고 세계를 거부하고자 하는 자아의 의지와 이것으로 인해서 생긴 자아와 세계의 완강한 대결"(조동일,<한국소설의 이론>,지식산업사,1977,240-241면)로 봄으로써 여타의 연구자들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4)박희병 교수는 인간이 일체의 욕념을 끊는다는 것, 또 그것을 참는다는 것이 얼마나 지난한일인가 하는 것을 <남궁선생전>의 주제의식이라 하였는데 (박희병, [한국고전인물전 연구],한길사,1992,208면),이러한 말은 욕념을 끊는다는 것이 꼭 선도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상적 인간의 삶 속에서도 필요한 것이라는 지적에 다름 아니라고 본다.
차충환,「남궁선생전」의 의미구조와 작가의식 ,경희대학교 인문학 연구소,2001.01
전상경,「남궁선생전의 형성과 작품구조 」,문학과 언어학회,1993.05
문범두,「남궁선생전」의 기술태도와 작가의식 」,한민족어문학회,1995.01
이종찬,「허균의 (許筠) 인간적 갈등과 남궁선생전 (南宮先生傳)」,한국한문학회, 1976.01
3)<남궁선생전>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그 동안의 논의와 다른 논지들도 나오는데 조동일 교수는<남궁선생전>의 의미를 "허균이 쓰고자 한 것은 신선담이 아니고 세계를 거부하고자 하는 자아의 의지와 이것으로 인해서 생긴 자아와 세계의 완강한 대결"(조동일,<한국소설의 이론>,지식산업사,1977,240-241면)로 봄으로써 여타의 연구자들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4)박희병 교수는 인간이 일체의 욕념을 끊는다는 것, 또 그것을 참는다는 것이 얼마나 지난한일인가 하는 것을 <남궁선생전>의 주제의식이라 하였는데 (박희병, [한국고전인물전 연구],한길사,1992,208면),이러한 말은 욕념을 끊는다는 것이 꼭 선도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상적 인간의 삶 속에서도 필요한 것이라는 지적에 다름 아니라고 본다.
차충환,「남궁선생전」의 의미구조와 작가의식 ,경희대학교 인문학 연구소,2001.01
전상경,「남궁선생전의 형성과 작품구조 」,문학과 언어학회,1993.05
문범두,「남궁선생전」의 기술태도와 작가의식 」,한민족어문학회,1995.01
이종찬,「허균의 (許筠) 인간적 갈등과 남궁선생전 (南宮先生傳)」,한국한문학회, 1976.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