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 의
2. 신뢰보호의 근거
(1) 이론적 근거
(2) 실정법상 근거
(3) 판례 및 헌법재판소의 태도
3. 신뢰보호의 요건
4. 신뢰보호원칙의 적용범위
5. 신뢰보호의 한계
6. 신뢰보호원칙 위반의 효과
2. 신뢰보호의 근거
(1) 이론적 근거
(2) 실정법상 근거
(3) 판례 및 헌법재판소의 태도
3. 신뢰보호의 요건
4. 신뢰보호원칙의 적용범위
5. 신뢰보호의 한계
6. 신뢰보호원칙 위반의 효과
본문내용
표명을 신뢰한 개인이 그 행정처분으로 인하여 입게 되는 이익의 침해를 정당화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경우에는 신뢰보호의 원칙을 들어 그 행정처분이 위법하다고는 할 수 없다(대판 1998. 11. 13. 98두7343).
○ 판례 3 : 건축주가 건축허가 내용대로 공사를 상당한 정도로 진행하였는데, 나중에 건축법이나 도시계획법에 위반되는 하자가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그 일부분의 철거를 명할 수 있기 위하여는 그 건축허가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 사실관계 및 법률관계를 고려하여 건축주가 입게 될 불이익과 건축행정이나 도시계획행정상의 공익, 제3자의 이익, 건축법이나 도시계획법 위반의 정도를 비교교량하여 건축주의 이익을 희생시켜도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라야 한다(대판 2002. 11. 8. 2001두1512).
6. 신뢰보호원칙 위반의 효과
신뢰보호의 원칙을 위반한 행정청의 행위는 원칙적으로는 취소사유가 될 것이다. 이에 관하여 판례도 비과세의 실행을 무시한 과세처분은 위법하다 할 것이나, 당연무효라고는 볼 수 없다고 한다. 한편, 신뢰보호의 원칙에 위반되는 공무원의 행위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인은 국가배상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도 있다.
○ 판례 3 : 건축주가 건축허가 내용대로 공사를 상당한 정도로 진행하였는데, 나중에 건축법이나 도시계획법에 위반되는 하자가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그 일부분의 철거를 명할 수 있기 위하여는 그 건축허가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 사실관계 및 법률관계를 고려하여 건축주가 입게 될 불이익과 건축행정이나 도시계획행정상의 공익, 제3자의 이익, 건축법이나 도시계획법 위반의 정도를 비교교량하여 건축주의 이익을 희생시켜도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라야 한다(대판 2002. 11. 8. 2001두1512).
6. 신뢰보호원칙 위반의 효과
신뢰보호의 원칙을 위반한 행정청의 행위는 원칙적으로는 취소사유가 될 것이다. 이에 관하여 판례도 비과세의 실행을 무시한 과세처분은 위법하다 할 것이나, 당연무효라고는 볼 수 없다고 한다. 한편, 신뢰보호의 원칙에 위반되는 공무원의 행위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인은 국가배상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도 있다.
추천자료
미국 행정부 공무원 연구 - 윤리행동 중심
각종 회사의 비교
(주)풀무원 - 사회지향적 마케팅 사례분석!!!
국민연금의 의의와 내실화 방안
[민법]민법상의 무권대리의 이론과 관련판례
[국민연금][국민연금제도]국민연금, 국민연금제도의 현황, 문제점과 개혁 및 향후 개선방안 ...
[국민연금][국민연금제도][국민연금 개혁]국민연금의 현황과 국민연금제도 개편안의 문제점 ...
자본시장통합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전자상거래 기본 법규
실천딜레마(dilemma)와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교육정보공시]교육정보공시제도의 특징과 장단점, 교육정보공개의 문제점과 논란 분석,교육...
청주대학교 상법총론 과제 (민법상법특칙비교)
상법총론 - 상법(상행위편) 규정 중 민법 총칙 편에 대한 특칙, 물권 편에 대한 특칙, 채권 ...
[사회복지정책론] 직업재활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