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분석 관점
Ⅱ. 분석의 실제
1. 1학년
2. 2학년
3. 3학년
4. 4학년
5. 5학년
6. 6학년
7. 7학년
8. 8학년
9. 9학년
10. 10학년
Ⅲ. 듣기 영역 내용 선정에 대한 평가
Ⅱ. 분석의 실제
1. 1학년
2. 2학년
3. 3학년
4. 4학년
5. 5학년
6. 6학년
7. 7학년
8. 8학년
9. 9학년
10. 10학년
Ⅲ. 듣기 영역 내용 선정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본질은 문제점이 있다. (1)은 듣기 본질에서 특성에 해당한다고 볼 수있는데 그 내용이 매우 축소된 구체적인 사항이라 생각된다. 듣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반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뿐만이 아니라, 주변 상황과 상대의 태도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듣기가 다른 외부적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을 듣기의 특성으로 삼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2), (3)은 서로 연장선상에 있는 듣기의 원리로 10학년의 읽기영역 교육내용과 관련 있다. (4) 또한 10학년 읽기영역 교육내용과 연관되어 있으나, (2)와 (3)과는 연관성이 떨어진다. 또 (4)의 경우에는 (1)의 본질을 원리로 바꾸는 정도로 기본·심화 활동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연관성은 있으나, 실제의 범주에서 본다면 중복되는 활동을 해야 하는 것이 된다. (5)는 능동적이면서도 종합적으로 자신의 듣기 태도를 재인식 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다.
Ⅲ. 듣기 영역 내용 선정에 대한 평가
지금까지 듣기 영역의 교육내용을 살펴보면서, 교육과정 문서가 만들어지는 체계적인 순서가 과연 있는가에 의문이 들었다. 학년별로 제시되는 ‘본질’, ‘원리’와 ‘태도’가 학년 내의 유기성을 따르고자 한 것인지, 범주 별로 학년간의 유기성을 띄고자 한 것인지 아니면 학년 내 다른 영역과 유기성을 띄고자 한 것인지 기준을 세우기가 힘들었다. 이 세 가지의 경우가 서로 얽혀서 듣기 영역 내에서는 - 나선형식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것처럼- 교육과정이 충분히 심화·확대 되고 있다고는 보기 힘들었다. 듣기영역은 듣기영역 나름의 독창성이 있기에 독립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영역에서 내용이 반복되고 심화·확대되는 것을 두고 나선형식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다른 영역을 통해 반복을 꾀한다고 한다면, 교육 내용 선정의 기준이 체계적이고 논리적이어야 마땅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문서는 교육 과정의 개편을 알리는 하나의 공문서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학생을 가르치는 학교와 학생의 지침서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서술 할 때 반드시 잃지 말아야 할 점은 - 모든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지만 - 듣기영역이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학년 간 내용이 정해지고, 그 내용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심화·확대되고 있는가를 명시해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해설(Ⅱ), 1999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 2000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국어과 교육과정, 1998
Ⅲ. 듣기 영역 내용 선정에 대한 평가
지금까지 듣기 영역의 교육내용을 살펴보면서, 교육과정 문서가 만들어지는 체계적인 순서가 과연 있는가에 의문이 들었다. 학년별로 제시되는 ‘본질’, ‘원리’와 ‘태도’가 학년 내의 유기성을 따르고자 한 것인지, 범주 별로 학년간의 유기성을 띄고자 한 것인지 아니면 학년 내 다른 영역과 유기성을 띄고자 한 것인지 기준을 세우기가 힘들었다. 이 세 가지의 경우가 서로 얽혀서 듣기 영역 내에서는 - 나선형식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것처럼- 교육과정이 충분히 심화·확대 되고 있다고는 보기 힘들었다. 듣기영역은 듣기영역 나름의 독창성이 있기에 독립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영역에서 내용이 반복되고 심화·확대되는 것을 두고 나선형식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다른 영역을 통해 반복을 꾀한다고 한다면, 교육 내용 선정의 기준이 체계적이고 논리적이어야 마땅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문서는 교육 과정의 개편을 알리는 하나의 공문서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학생을 가르치는 학교와 학생의 지침서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서술 할 때 반드시 잃지 말아야 할 점은 - 모든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지만 - 듣기영역이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학년 간 내용이 정해지고, 그 내용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심화·확대되고 있는가를 명시해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해설(Ⅱ), 1999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 2000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국어과 교육과정, 1998
추천자료
국어과 수행평가의 특성, 국어과 수행평가의 원리, 국어과 수행평가의 필요성, 국어과 수행평...
소집단학습(소집단토의학습) 의의와 유형, 소집단학습(소집단토의학습) 특성과 영역, 소집단...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특징과 배경,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내용체계와 영역별내용, 고등학교 이...
[학습도구][교구]수학교육 그래픽계산기의 활용의의, 수학교육 그래픽계산기의 적용영역과 가...
블룸 교수학습이론(완전학습이론) 정의와 배경, 블룸 교수학습이론(완전학습이론) 목표와 인...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정의와 설정배경,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영역과 운영내용, 초등학교 재량...
특별활동의 정의와 목적, 특별활동의 활동별 목표, 특별활동의 영역구분과 시간배당, 특별활...
특별활동 봉사활동의 목적, 특별활동 봉사활동의 동향, 특별활동 봉사활동의 영역별 내용, 특...
[미디어교육]미디어교육의 개념, 미디어교육의 중요성, 미디어교육의 현실, 미디어교육의 변...
비정규직 근로자와 고용보험제도의 개념 및 특징, 관련성, 특수성, 현황, 사업별 영역, 문제...
스포츠 산업과 골프산업의 정의, 개념, 형태, 영역, 현황, 전망, 필요성, 특징, 마케팅, 경영...
스포츠 관광의 특징, 개념, 영역, 효과, 사회 문화적 효과, 골프 관광, 국내 골프관광 활성화...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교실 실내환경 구성에 대한 사진을 인터넷검색을 통해 스크랩하여 제시...
★ 부산원아시아 페스티벌 - 이벤트실무론, 문화·공연이벤트영역의 기획과정, 기본계획,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