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의 ‘삼봉집’중 “불씨잡변”을 읽고 독후감을 쓰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도전의 ‘삼봉집’중 “불씨잡변”을 읽고 독후감을 쓰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 론
1.『삼봉집』중에서 「불씨잡변」을 읽고

Ⅲ.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금까지도 우리의 사상속에 스며들어 큰 기둥을 이루고 있음을 볼 때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가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그가 남긴 많은 저서를 통해 일부분이나마 그에 대한 모습을 추적해 볼 수 있음을 생각할 때 가슴이 울렁거린다. 그는 진정한 시대적 영웅이요, 학자요, 예술가였다. 삼봉이 <불씨잡 변>을 지어 대불승유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고 불교사에서 유교사회로 나아가는 큰 계기를 만드는 종교적 입장 (불교 교리적)에서 무조건 삼봉에 독단과 편견에 의해 만들어진 억측이라고 치부해 버리기 전에 당대 불교사회에 만연된 여러 모순과 페단을 지적해 냄으로 삼국시대이래 지속되던 불교사회를 종식시키고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수립하여 새로운 사회를 세우는데 결정적 이론의 논리를 제공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삼봉은 <불씨 잡변>을 통해 논박한 여러 가지 병패를 기억하며 자신들에 대해서도 도덕적 규범을 만들어 스스로를 규제하며 규범적 윤리세계를 꿈꾸웠던 듯 하다. 모든 이치에는 음양이 있어 고려조에 대하여는 분명 삼봉이 변절자였으나 조선왕조 확립에 있어서는 여러 문물제도를 확립하고 성리학의 이론을 수립한 공로는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으며 그의 높은 학식은 모든 사람이 우러러 보기에 부족함이 없음을 확신한다. 이 후에 그에 대한 재조명이 있어 우리 민족사에 귀중한 역사적 인물로 우리들의 가슴속에 추대되어 지기를간절히 바래본다.
♣참고문헌
책제목 : 『삼 봉 집』 , 정 도 전 지음, 역 자 ; 조 준 하
출판사 : 재단법인민족문화추진회 출판연도 : 1984년
과제작성범위 : 306 쪽 - 356 쪽, 「불씨잡변」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8.29
  • 저작시기200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