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줄거리
◎ 인물의 형상화 (개성) 방식
◎ 서술 방식의 특성
◎ 소설사적 의의
◎ 맺음말
◎ 인물의 형상화 (개성) 방식
◎ 서술 방식의 특성
◎ 소설사적 의의
◎ 맺음말
본문내용
것은 필연적이라 할 수 밖에 없다. <청화선생전>의 진관과 임춘의 사이엔 대략 100년 정도의 연령적인 거리가 있고, 아울러 진관의 사후에도 최소한 반세기 뒤에서 임춘은 탄생한 셈이 되므로 그 사이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하지만, 임춘이 전적으로 <청화선생전>을 모방했다는 것은 아니다. 위의 6개 항목 이외의 어휘나 나머지 부분에 한해서는 더 이상 <청화선생전>의 맥락에 의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영향을 받았다는 측면에서의 논의가 더 의의 있을 것이다.
◎ 맺음말
<국순전>은 술을 의인화하여 당대 간사한 벼슬아치들을 풍자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청화선생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았고, 이규보의 <국선생전>에 영향을 주었으며, 현존하는 가전체의 효시이다. 의인화 기법, 일대기 형식, 사평, 우의적인 표현으로 국순의 모습과 담고자 하는 의도를 잘 표현해 내고 있다. 임춘이 당대 현실에 처해있던 상황에서 세상을 보는 눈이 <국순전>을 통해서 잘 드러내고 있다. 가전체로서 의인화한 “술”의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고, 작자가 보는 당대 시각이 잘 드러났다는 점 그리고 고소설에 있어서 여러 가지 의의는 우리가 <국순전>을 연구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입증해 준다고 생각된다.
◎ 참고 문헌
김창룡 『가전산책』한성대학교 출판부, 2004
김창룡 『가전문학의 이론』박이정, 2001
조희웅 『고전 소설 작품연구 총람』, 집문당, 2000
인권환 외 공편 『한국고전산문선』, 태학사, 1995
성호경 「가전의 우의성」, 한국학대학원 석사논문, 1982
조희웅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집문당, 2002
◎ 맺음말
<국순전>은 술을 의인화하여 당대 간사한 벼슬아치들을 풍자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청화선생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았고, 이규보의 <국선생전>에 영향을 주었으며, 현존하는 가전체의 효시이다. 의인화 기법, 일대기 형식, 사평, 우의적인 표현으로 국순의 모습과 담고자 하는 의도를 잘 표현해 내고 있다. 임춘이 당대 현실에 처해있던 상황에서 세상을 보는 눈이 <국순전>을 통해서 잘 드러내고 있다. 가전체로서 의인화한 “술”의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고, 작자가 보는 당대 시각이 잘 드러났다는 점 그리고 고소설에 있어서 여러 가지 의의는 우리가 <국순전>을 연구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입증해 준다고 생각된다.
◎ 참고 문헌
김창룡 『가전산책』한성대학교 출판부, 2004
김창룡 『가전문학의 이론』박이정, 2001
조희웅 『고전 소설 작품연구 총람』, 집문당, 2000
인권환 외 공편 『한국고전산문선』, 태학사, 1995
성호경 「가전의 우의성」, 한국학대학원 석사논문, 1982
조희웅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집문당, 2002
추천자료
고전문학의 이해 제석본 풀이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홍길동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영웅좌절담류 비극소설의 특징과 계보파악을 위한 시론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 방한림전 ; 작품론 중심으로 논하기
고전문학속의 한국의 여성-홍계월전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고전문학강독-세상속의 삶의 방향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