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2. 목적
3. 이론
4. 방법
5. 결과
6. 분석
2. 목적
3. 이론
4. 방법
5. 결과
6. 분석
본문내용
야하지만, 이 또한 타겟의 위치가 발사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평사정거리가 최대가 되지 못하였다. 2단발사시에는 우리의 데이터 중에서는 45일때 최대가 나왔지만 44도나 46도 등은 실험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45일때 최대의 수평사정거리가 나온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2. 공기의 저항
- 쇠구슬이 발사되어 낙하될 때 미세하지만 공기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이론치와 실제값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
3. 줄자의 부정확성
- 발사지점에서부터 쇠구슬의 낙하지점까지 줄자로 측정을 하였기 때문에, 줄을 삐뚤게 잡아당기는 등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
√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공기의 저항이 없는 진공상태에서 발사대의 높이와 타겟의 높이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일치한 후, 발사대에서 쇠구슬의 낙하지점까지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한다면, 쇠구슬은 45도에서 일정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최대의 수평사정거리를 가질 것이다.
주의사항
- 쇠구슬이 장전되어 있을 때, 타겟을 만진다고 혹은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테이블 위에서 머리를 숙이는 경우, 총구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쇠구슬이 오발 등으로 인한 발사로 위험하니, 항상 조심하여야 한다.
2. 공기의 저항
- 쇠구슬이 발사되어 낙하될 때 미세하지만 공기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이론치와 실제값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
3. 줄자의 부정확성
- 발사지점에서부터 쇠구슬의 낙하지점까지 줄자로 측정을 하였기 때문에, 줄을 삐뚤게 잡아당기는 등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
√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공기의 저항이 없는 진공상태에서 발사대의 높이와 타겟의 높이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일치한 후, 발사대에서 쇠구슬의 낙하지점까지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한다면, 쇠구슬은 45도에서 일정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최대의 수평사정거리를 가질 것이다.
주의사항
- 쇠구슬이 장전되어 있을 때, 타겟을 만진다고 혹은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테이블 위에서 머리를 숙이는 경우, 총구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쇠구슬이 오발 등으로 인한 발사로 위험하니, 항상 조심하여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