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배우자 인공수정
* 비 배우자 인공수정
자궁내 인공 수정 (IUI : intrauterine insemination)
시험관 아기
나팔관 수정(GIFT)
* 비 배우자 인공수정
자궁내 인공 수정 (IUI : intrauterine insemination)
시험관 아기
나팔관 수정(GIFT)
본문내용
나팔관 끝부분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입니다.
나팔관 수정의 방법도 시험관 아기의 경우와 같이 배란유도로 시작하며 나팔관 수정의 기본적인 단계는 배란유도, 난자채취, 난자와 정자의 나팔관 이식단계가 있습니다.
정자는 수음에 의해 사정된 정액을 얻게 되며 정자와 난자를 합친 후 10분 정도 지난 후에 나팔관 수정을 시행합니다.
나팔관으로 넣는 이식관은 매우 부드러우며 복강경하에서 시행하게 되는데 난자의 숫자는 약 4개정도 이식하게 되는데 불임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수정란의 숫자를 증가시킵니다.
나팔관 수정은 나팔관이 정상일 때 시행하게 되는데 원인미상의 불임이나 자궁내막증일 때 그리고 남성불임, 면역학적 불임 등에서 시술합니다.
나팔관 수정의 단점은 수정을 확인하지 못하는 것이지만 임신 성공률이 시험관아기보다 5~7%더 높습니다. 또한 난자 채취 시 난자가 많이 나오면 잉여난자로 수정을 확인하고 냉동을 시킬 수 있습니다.
수정란 나팔관 이식(PROST,ZIFT,TET)
나팔관 수정(GIFT)은 원인미상 불임, 자궁내막증, 자궁경부 원인의 불임 등이 원인일 때 임신률이 높으나 남성불임인 경우에는 그 성공률이 낮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정란 나팔관 이식방법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수정을 확인한 후 수정란을 나팔관에 넣어주는 방법입니다. 수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현미경하에서 미세 유리침으로 정자를 난자속에 넣는 미세 수정방법을 이용하여 수정을 돕게 됩니다.
수정만 확인하여 이식하는 경우가 PROST입니다.
수정 후 2~4세포기의 수정란을 나팔관에 넣어주는 방법이 ZIFT입니다.
ZIFT인 경우 질식 초음파로 난자를 채취한 후 배양기 안에서 정자와 수정을 시킨 후 다음날 수정란을 복강경하에 나팔관으로 이식합니다.
TET는 ZIFT와 유사한 방법인데 TET는 자궁경부를 통해 긴 관을 나팔관까지 넣어 수정란을 이식하고 ZIFT는 복강경으로 나팔관 끝으로 수정란을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시험관아기"와 "나팔관 수정" 차이점
시험관 아기IVF
나팔관 수정GIFT
모든 불임환자에게 시술
나팔관이 건강한 불임환자에게 시술
복강경 시술이 필요 없음.
복강경 수술이 필요
질식 초음파에 의한 난자 채취
질식초음파, 복강경으로 난자채취
난자 채취 후에 정액을 받음
난자 채취 전에 정액을 받음
수정을 확인할 수 있음.
수정을 확인할 수 없음
성공률이 나팔관 수정보다 약간 낮다.
성공률이 시험관아기보다 높다.
나팔관 수정의 방법도 시험관 아기의 경우와 같이 배란유도로 시작하며 나팔관 수정의 기본적인 단계는 배란유도, 난자채취, 난자와 정자의 나팔관 이식단계가 있습니다.
정자는 수음에 의해 사정된 정액을 얻게 되며 정자와 난자를 합친 후 10분 정도 지난 후에 나팔관 수정을 시행합니다.
나팔관으로 넣는 이식관은 매우 부드러우며 복강경하에서 시행하게 되는데 난자의 숫자는 약 4개정도 이식하게 되는데 불임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수정란의 숫자를 증가시킵니다.
나팔관 수정은 나팔관이 정상일 때 시행하게 되는데 원인미상의 불임이나 자궁내막증일 때 그리고 남성불임, 면역학적 불임 등에서 시술합니다.
나팔관 수정의 단점은 수정을 확인하지 못하는 것이지만 임신 성공률이 시험관아기보다 5~7%더 높습니다. 또한 난자 채취 시 난자가 많이 나오면 잉여난자로 수정을 확인하고 냉동을 시킬 수 있습니다.
수정란 나팔관 이식(PROST,ZIFT,TET)
나팔관 수정(GIFT)은 원인미상 불임, 자궁내막증, 자궁경부 원인의 불임 등이 원인일 때 임신률이 높으나 남성불임인 경우에는 그 성공률이 낮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정란 나팔관 이식방법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수정을 확인한 후 수정란을 나팔관에 넣어주는 방법입니다. 수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현미경하에서 미세 유리침으로 정자를 난자속에 넣는 미세 수정방법을 이용하여 수정을 돕게 됩니다.
수정만 확인하여 이식하는 경우가 PROST입니다.
수정 후 2~4세포기의 수정란을 나팔관에 넣어주는 방법이 ZIFT입니다.
ZIFT인 경우 질식 초음파로 난자를 채취한 후 배양기 안에서 정자와 수정을 시킨 후 다음날 수정란을 복강경하에 나팔관으로 이식합니다.
TET는 ZIFT와 유사한 방법인데 TET는 자궁경부를 통해 긴 관을 나팔관까지 넣어 수정란을 이식하고 ZIFT는 복강경으로 나팔관 끝으로 수정란을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시험관아기"와 "나팔관 수정" 차이점
시험관 아기IVF
나팔관 수정GIFT
모든 불임환자에게 시술
나팔관이 건강한 불임환자에게 시술
복강경 시술이 필요 없음.
복강경 수술이 필요
질식 초음파에 의한 난자 채취
질식초음파, 복강경으로 난자채취
난자 채취 후에 정액을 받음
난자 채취 전에 정액을 받음
수정을 확인할 수 있음.
수정을 확인할 수 없음
성공률이 나팔관 수정보다 약간 낮다.
성공률이 시험관아기보다 높다.
추천자료
인간복제 : 21세기 판도라의 상자
[해양생물학] 서해산 돌가자미의 초기발생시 수온과 염분의 영향에 대해서
인간복제
시각장애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다산농장의 365일
[독후감]멋진신세계를 읽고
줄기세포(stem cell)
학습지도안 약안-과학,생식단원
첨단공학기술과 생명윤리 - 배아복제
★★불임의 원인, 불임의 진단, 불임 치료법, 불임의 문제점 및 정부의 정책 방안★★
<불임(infertility)> (불임이란?, 불임의 원인, 불임 진단, 불임 치료, 문제점, 정부의 정책)...
[가족계획] 피임법(피임법의 조건, 피임방법과 원리), 불임과 임신(불임의 원인, 임신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