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주사의 합병증과 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혈종(Hematoma)
2. 침윤(Infiltration)
3. 일혈(Extravasation)
4. 정맥염(Phlebitis)
5. 조직염(Cellulitis)
6. 카테터 폐색(Occlusion)
7. 주사부위의 혈관자극과 통증
8. 신경, 건, 인대의 손상
9. 혈관경련(Venous spasm)
10. 혈전성 정맥염(Thrombophlebitis)
11. 혈전증(Thrombosis)
12. 순환과다(Circulatory overload)
13. 패혈증(Septicemia)
14. 폐색전(Pulmonary embolism)
15. 카테터 색전(Catheter embolism)
16. 공기색전(Air embolism)
17. 알래르기 반응(Allergic reaction)
18. 속도 쇼크(Speed shock)

본문내용

흡곤란.
(4) 거친숨.
(5) I/O의 불균형.
3) 간호중재
(1) 침대머리를 올릴 것.
(2) 필요시 산소투여.
(3) 의사에게 알림.
(4)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
(5) 사지의 부종을 확인한다.
(6)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사용하다.
(7) 예방적으로 수액주입을 주의깊게 관찰.
13. 패혈증(Septicemia)
1) 원인
(1) 무균술을 지키지 않음.
(2) 캐뉼라가 감염의 원인.
(3) 오염된 기구.
(4) 환자의 상태가 나쁨.
(5) 피부통합성 장애.
2) 증상과 징후
(1) 열, 오한, 두통.
(2) 약하고 빠른 맥박.
(3) 오심과 구토.
(4) 쇽.
3) 간호중재
(1) 의사에게 알림.
(2) 쇽치료.
(3) 수액요법.
(4) 혈압유지.
(5) 산소공급.
(6) 항생제요법.
(7) 활력징후 관찰.
(8) 카테터 삽입부위주변의 피부와 카테터 끝에 대한 세균배양을 시행.
(9) I.V.필터 사용.
(10) 무균술 적용.
14. 폐색전(Pulmonary embolism)
1) 원인
(1) 하지 정맥을 사용했을 경우.
(2) 수액병에 이물질이 존재했을 경우.
(3) 약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을 경우.
(4) 카테터의 혈괴를 제거하기위해 양압을 사용했을 경우.
2) 증상과 징후
(1) 흉통.
(2) 호흡곤란.
(3) 기침.
(4) 불안.
(5) 빠르고 약한 맥박.
3) 간호중재
(1) 환자를 안심시킨다.
(2)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3) I.V.를 확보한다.
(4)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정제,진통제,항응고제를 투여.
(5) 하지정맥 사용금지.
(6) 카테터의 혈괴를 irrigation하지 말것.
(7) 혈괴는 항상 뽑아내도록 할것.
(8) 약물은 완전히 용해 시킬것.
(9) 혈액제재는 적절한 필터를 사용한다.
15. 카테터 색전(Catheter embolism)
카테터의 일부분이 정맥내에 남아 있어 색전형성.
1) 원인
(1) stylet을 통해 카테터를 심하게 당기거나 밀어 넣은 경우.
(2) 카테터를 부주의하게 가위로 자른 경우.
2) 증상과 징후
(1) 카테터를 제거했을 때 카테터 일부가 없다.
(2) 카테터 조각이 남아 있는 부위 근처의 통증.
(3) 혈압저하.
(4) 약하고 빠른 맥박.
(5) 청색증.
(6) 의식상실.
3) 간호중재
(1) 만약 캐뉼라 tip이 혈관에 있다면 이 조각이 혈류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 해 즉각 삽입부보다 위에 토니켓으로 묶는다. 의사에게 알리고 x-ray로 확인한다.
(2) fluoroscopy를 보며 외과적 절개.
(3) 카테터를 안전하게 잘 고정.
(4) 정맥내에 카테터를 바늘을 통해 끌어 당기지 말것.
(5) 카테터 제거 후 카테터 길이를 확인.
16. 공기색전(Air embolism)
1) 원인
(1) 주사병이 비었을 때.
(2) 주사줄에 공기가 들어갔을 때.
(3) 연결이 불량할 때.
2) 증상과 징후
(1) 약하고 빠른 맥박.
(2) 혈압저하.
(3) 청색증.
(4) 의식상실.
3) 간호중재
(1) 즉시 좌측으로 눕히기.
(2) 침대머리를 낮추기.
(3) 의사에게 알림.
(4) 산소투여.
(5) 연결은 안전하게 고정한다.
(6) 근무번당 한번씩 전체 I.V. system을 살피기.
17. 알래르기 반응(Allergic reaction)
1) 원인
(1) 약물
(2) I.V. cathter에 의해.
2) 증상과 징후
(1) 가려움, 따가움, 열감.
(2) 삽입부위 부종.
(3) 홍조, 오한, 불안, 오심, 구토, 두드러기, 저혈압, 전신적 소양감, 귀가 멍한 느낌, 두 근거림, 마비증상, 호흡곤란, 기침,심정지.
3) 간호중재
(1) 약물주입을 중단.
(2) 기도유지.
(3) 의사에게 알림.
(4) 처방에 따른 적절한 약물을 투여.
(5) 기본적 심폐소생에 대한 조처를 취한다.
(6) 환자를 안심시킨다.
(7) 새로운 약물투여시 첫 15분동안은 환자를 주의깊게 관찰한다.
(8) 테스트 용량 사용.
18. 속도 쇼크(Speed shock)
1) 원인
수액이나 약물을 빠르게 준 경우.
2) 증상과 징후
(1) 혈압저하.
(2) 청색증.
(3) 호흡곤란.
(4) 의식저하.
(5) 심정지.
3) 간호중재
(1) 주입중단.
(2) 의사에게 알림.
(3) 활력징후 측정.
(4) 쇽치료.
(5) 주입 조절 기구를 이용하여 주입 속도를 조절한다.
(6) I.V.를 수행하기 전에 환자를 사정한다.
(7) I.V. pump, microdrop set를 사용한다.
(8) 수액주입을 자주 관찰.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9.0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