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계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참여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고, 고 학년으로 갈수록 학교에 나오는 시간과 참여율 저조로 인하여 낮게 나왔다고 할 수 있다.
4. 기존사회대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입니까?
<도표 해석>
사회대 학우들은 기존에도 교수님 부족이 문제였고 노후된 건물로 인한 강의여건이 부실하였음을 할 수 있다.
5. 기존 사회대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도표 해석>
노후된 건물로 인한 강의 환경의 부실과 교수님 부족으로 인한 문제로 인해 불만족 한다는 의견이 41%로 나타났다.
6. 사회대 환경개선 후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도표 해석>
사회대 환경개선 후에 가장 큰 변화는 E-강의실이라고 불리는 스튜디오식 강의실로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책걸상의 교체, 정수기 교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7. 사회대 환경개선 전과 비교했을 때 지금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도표 해석>
기존 사회대 환경에 25%가 만족했던데 비해 환경개선 후에는 만족한다는 의견이 36%로써
사회대 환경개선이 학생들에게 큰 만족감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왔다.
8. 사회대 환경개선 후 가장 불만족 적인 사항은 무엇입니까?
<도표 해석>
사회대 환경개선 후 가장 불만족 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교수님의 절대적 부족이 30%, 강의실관련
문제(칠판, 책걸상문제, 마이크등..)가 30%로 나타났고, 환경개선으로 인하여 학우들의 학습
및 휴식공간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25%로 나타남에 따라 환경개선의 효율성이 의심이 된다.
9. 불만족 사항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십니까?
<도표 해석>
사회대 환경개선 후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그냥 참는 다는 의견이 72%로 절대적으로 많았고, 학생회나 학교측에 건의한다는 학우는 극히 적은 수임을 알 수 있다.
10. 학우님이 원하는 추가 환경개선사항은 무엇입니까?
<도표 해석>
앞으로 추가개선 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교수님 충원이 33%, 도서실설치(학습공간)가 30%로 조사되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우들의 교수님 충원에 대한 문제는 가장 중요한 환경개선사항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지금까지 사회과학대학 환경개선 후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 해보았다. 설문에 응답자는 100명으로 하였으며 남자와 여자의 생각의 정도를 없애기 위해 인원을 50:50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년 분포를 보면 2학년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2학년이 가장 활발하게 학교생활을 한다고 판단되었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취업문제 등으로 인하여 학교생활보다는 사회에 나갈 준비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존에 사회대 환경에 가장 큰 문제점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교수님의 수와 노후된 건물, 강의실환경 부실로 인한 교육환경의 부실로 조사되었다. 그래서 기존의 만족도는 41%가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했는데 기존에도 학우들의 불만점이 많았다고 생각된다.
사회대 환경개선 후에는 스튜디오식 강의실로의 변화가 가장 큰 변화라고 응답했으며 책걸상의 교체와 정수기교체가 다음 많은 응답으로 나온 것으로 봐서 사회대에서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은 좋아졌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환경개선 후 만족도가 기존의 만족도 보다 크게 상승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점은 주위 환경은 좋아졌으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은 변화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환경개선이 이루어 졌지만 교수님이 충원되지 않은 문제와 환경개선으로 인한 학생 휴식공간 및 학습공간의 부족은 아직도 큰 불만사항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불만사항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우들이 그냥 참는다고 응답하여 불만족하긴 하나, 적극적으로 불만족을 표현하지 않음으로써 우리의 학습권을 되찾기 위한 노력이 미비함을 볼 수 있다.
앞으로 사회대에 추가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조속한 시일 내에 교수님이 충원 되야 할 것이고, 학우들이 학습할 수 있는 도서실이나 스터디룸의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사회과학대학은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많은 문제를 끼고 가고 있으며, 사회대 환경개선은 학우들의 학습권을 위한 개선이 아닌 학우들의 편의시설에 맞추고, 보여주기 식의 개선 이였다고 생각된다. 기존의 만족도가 낮아서 환경개선을 하였으면 당연히 환경개선 후에는 만족도가 높아져야 하는데 만족도가 크게 높아지지 않은 것을 봐서는 분명히 무언가가 잘못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만족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보여주기 식의 땜질 처방이 아닌 제대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 과제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9.06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