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골고루 갖추어져 있어도 한 가지 영양분이 부족하면, 그 때문에 식물의 성장아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이 결핍된 영양분을 주면 이에 비례하여 식물은 자라게 된다. 즉, 선형적이다. 그러나 그 영양분만 계속 공급한다고 해서 식물이 잘 자라는 것은 아니다. 어느 한계, 즉 다른 영양분의 한계까지만 선형성이 나타나고, 그 이상은 다른 영양분의 양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선형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비선형이라고 하지만, 이 현상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거기에는 두 가지 양상이 나타난다. 즉, 비선형계의 각 요소의 변화의 합이 전체의 변화보다 작을 때가 있고, 클 때가 있는 것이다. 이것을 각각 '양의 비선형성', '음의 비선형성' 이라고 부른다. 특히 양의 비선형성은 생명현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한 마디로 비선형이라고 하지만, 이 현상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거기에는 두 가지 양상이 나타난다. 즉, 비선형계의 각 요소의 변화의 합이 전체의 변화보다 작을 때가 있고, 클 때가 있는 것이다. 이것을 각각 '양의 비선형성', '음의 비선형성' 이라고 부른다. 특히 양의 비선형성은 생명현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