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주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경주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성 생식주기의 해부학적 설명

2. 월경의 기간들

3. 월경주기와 신경내분비계통과의 관계

4. 월경주기의 조절

5. 난소주기와 자궁주기

6. 사춘기와 초경의 생리학

본문내용

길어짐(나선형 동맥과 정맥).
* 이때 성장하는 난포로부터의 비교적 적은 수준의 에스트로젼 농도는 negative feedback loop를 통해 LH, FSH의 추가적인 생산을 억제하고, 외피세포와 녹말당질세포의 활동이 활발해지면 에스트로젼의 농도가 급상승.
* 높은 에스트로젼의 농도는 LH와 FSH 분비의 positive feedback 효과를 가져오고, 뇌하수체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GnRH에 의한 LH 분비기능의 민감성을 향상시켜 더 많은 양이 분비되도록 함. 시상하부에도 작용하여 GnRH의 주파적인 분비 빈도를 증가시켜 급격한 LH 증가를 가져오며 몇 시간 이내에 LH는 난소와 난포에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켜서 배란을 초래.
* 녹말당질세포에 의한 프로제스테론 분비가 시작되며 에스트로젼 분비 감소.
2) 황체기(분비기)
* 난자는 나팔관 끝으로 들어가고, 파열된 난포의 세포들은 황체가 됨.
* 황체는 8일간 에스트로젼과 프로제스테론을 생산하며 왕성한 활동을 하는데 이때 자궁내막은 황체기로 들어감.
* 자궁내막은 프로제스테론에 반응하며 효소가 증가. 분비선 조직은 분비물 생산.
* 가장 높은 수준의 신진대사는 월경주기의 21일 또는 22일째에 일어나며, 자궁내막이 수정된 난자의 착상을 위해 푹신하고 영양분이 풍부한 장소를 제공.
* 황체로부터 분비된 높은 수준의 프로제스테론은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GnRH 분비 파동의 빈도를 감소시켜 LH 분비 감소를 초래.
* 황체기간 동안 LH와 FSH는 가장 낮은 수준이며, 에스트로젼과 특히 프로제스테론은 높은 수준.
* 수정된 난자의 착상이 일어나지 않고 성장하는 태아나 태반으로부터 아무런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으면 황체는 점차 퇴화.
* 임신이 되면 황체는 약4~6주 정도 유지되며 그 때가 되면 태반이 프로제스테론의 생산을 떠맡으면서 황체는 퇴화.
3) 월경기간
* 황체의 퇴화와 함께 에스트로젼과 프로제스테론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negative feedback의 효과가 감소.
* FSH와 LH가 다시 증가하면서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는데,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 일어나는 현상이 월경분비.
* 자궁내막의 표면조직이 퇴화하면 나선형의 동맥은 더욱 구부러져 혈액의 흐름을 둔화시키고 일부는 일시적으로 수축하여 내막조직으로의 모든 혈액의 흐름을 중단시키며 내막조직을 죽게 만듬.
* 동맥이 확장되면 약해진 표면층으로부터 혈액이 번져 나오고, 더 많은 내막조직이 분해되고, 조직이 서로 분리되며, 분비물과 혈액이 서서히 자궁강 속으로 스며나옴.
* 월경출혈과 분해되는 조직의 탈락은 혈관망의 재구성과 내막 기저층에서의 혈액순환 활동의 안정을 가져옴.
* 약 50ml의 혈액, 선의 분비물, 분해된 조직의 작은 덩어리들이 자궁강으로부터 질로 흐름.
* 유방조직도 난소호르몬의 분비 증가에 반응하여 분비조직의 수분 보유 때문에 배란때에는 약간의 압통이 있을수 있으나 월경분비의 시작과 함께 완화됨.
6. 사춘기와 초경의 생리학
1) 호르몬의 변화
* 사춘기의 시작과 함께 GnRH를 분비하는 시상하부의 신경세포는 성호르몬의 억제효과에 점차적으로 둔감해지며, 잠자는 동안의 간헐적인 GnRH의 분비 증가에 반응하여 파동적인 LH 분비가 뚜렷하게 증가함.
* 증가하는 스테로이드 수준은 사춘기 이전의 신체구조에 점차적으로 변화를 가져오며 이차성징이 발달하기 시작함.
* 사춘기 과정은 시상하부 수준에서의 negative feedback에 대한 감소된 민감성과 함께 시작하지만 보다 더 복잡한 positive feedback 기능이 작동하고, 배란이 일어날 때까지는 성숙이 완료된 것은 아님.
* 부신에서 분비되는 앤드로젼 농도는 사춘기 이전에는 낮음. 부신의 활동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들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androstenedione은 지방조직에서 estrone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증가된 수준의 에스트로젼은 성장하는 어린 소녀의 성적 성숙에 있어 필수적.
2) 결정적인 체중/신체지방 이론
* 1970년 Frisch와 Revelle는 사춘기의 각 변화가 일정한 평균 체중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발견.
* 1973년 신진대사의 속도 변화가 스테로이드에 대한 시상하부의 민감성 변화를 초래한다고 믿음.
* 조기에 성숙하거나 늦게 성숙하는 소녀들의 신체지방과 LBM의 차이를 조사하였는데, LBM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늦게 성숙하는 소녀(초경을 늦은 연령에 경험)는 조기에 성숙하는 소녀보다 신체지방이 적음을 발견.
⇒ 이러한 자료들로 하여금 결정적인 지방이론이라고 이름 붙여진 가설을 제안하도록 만들었고, 그들은 “여성에 있어 배란과 월경주기를 위해서는 쉽게 사용될 수 있는 최소한의 저장된 에너지가 필요하다”라고 제의.
* 비판적인 입장이 대부분이었으며, 초경의 시작을 설명하기에는 부적합.
〈표 1〉여성의 사춘기 발달 단계들
요 약
1. 골반 생식기관은 인체 해부적인 면에서 볼 때 아주 잘 보호를 받고 있다.
2. 월경주기의 호르몬 조절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 그리고 자궁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적절하게 조화시키기 위해 일련의 feedback 반응이 관련되어 있다.
3. GnRH의 파동적인 분비는 정상적 월경주기를 조절하고 초경의 시작을 촉진한다.
4. 유방과 음부 털의 발달로써 특징되는 성적인 성숙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난소에 이르는 연결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5. 결정적인 체중/신체지방 이론은 초경 시작의 부적합한 설명이다.
용어정리
LH(luteinizing hormone)
FSH(follicle-stimulating hormone)
⇒ 뇌하수체 전엽에서 생산되는 Gonadotropins호르몬의 일종
스테로이드
⇒ 여성의 생식기능과 관련되는 호르몬. 난소에 의해 생산되며 임신중에는 태반에 의해 생산되는데 에스트로젼, 프로제스테론, 앤드로젼 등이 여기에 속함
Gonadotropins
⇒ 생식선 자극 호르몬
Negative feedback
⇒ 어떠한 인자가 변화함으로 인해 다른 요인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피드백
Positive feedback
⇒ 어떠한 인자가 변화함으로 인해 다른 요인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피드백

키워드

월경,   여성,   호르몬,   주기,   내분비,   자궁,   생식기능,   배란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9.12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