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종대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학자적 군왕 세종
2. 세종의 통치형태
3. 세종의 인재등용
4. 세종의 업적
5. 세종의 애환(哀歡)

III. 결론

본문내용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두 아들을 잃고, 사랑하는 아내와 사별하는 충격 속에서도 세종의 국정수행은 그대로 이어지면서 한글의 반포와 육진개척 등 중요한 치적이 마무리되어 갔던 것이다.
세종은 생애 후반부를 질병 때문에 고통스럽게 보냈다. 그의 건강상 이상 징후가 보이는 것은 30세 무렵부터이고, 40세에 들어서 심각한 상태에 접어들어 경연을 중단하기까지 이른다. 여러 잔병들이 있었지만, 고혈압과 당뇨병이 발병하면서 고통이 커지게 되었고, 부종과 견비통 증세도 자주 나타났다. 그러나가 시력의 쇠퇴와 통증을 나타내는 안질이 발병하면서 그의 건강은 크게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또한 세종은 죽기 전에 큰 고충이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단종이었다. 단종은 세종의 세손으로 조부와 부모의 슬기와 덕을 함께 물려받아서 옥과 같이 귀엽게 생긴데다, 다섯 살 때부터 글을 배우는데, 한번 들으면 잊어버리지 않을 뿐 아니라 뜻을 능히 통하여 조부 세종이 지극히 그를 사랑하였다. 하지만 세종의 맏아들이자 단종의 아버지인 문종은 기질이 허약하여 오래 살 것 같지는 않았다. 손자가 비록 총명하나 너무도 어린데다가, 수양대군을 비롯한 영특한 아들들이 많아서 세종의 걱정이 적지 않았다. 세종이 승하하던 날, 세자 문종을 불러 “세손은 밝고 영민하여 능히 위를 이을 만하거니와, 그래도 너무 어리니 보필하는 신하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김종서, 성삼문에게 잘 부탁하여라.”라고 하고 세손을 어루만지며 긴 한숨을 지었다 한다.
III. 결론
세종은 당대는 물론 후대에도 높이 평가받는 왕으로 자리매김한다. 그 이유는 그가 빛나는 업적과 더불어 그가 지닌 훌륭한 군주상 때문이다. 세종은 뛰어난 학문적 자질과 도덕성, 그리고 정성을 다해 힘껏 다스리는 성실한 자세로 이룩된 것이다. 그는 심오한 학문의 연마를 통해 깊은 식견과 통찰력을 기르고, 그에 수반하는 인격 도야로 순정한 도덕성을 갖출 수 있었다. 군왕으로서 인재의 등용과 대신들과의 공치(共治)에 유의하면서 온유와 강단이 겸비된 모습으로 국정에 임하여 온 힘을 기울였다. 또한 그는 인간적 애환을 겪으면서도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고, 절제하는 자세를 보여 주었다. 세종은 당시의 조선사회를 안정되고 윤택하게 만들고 문화를 발전시키는데 아주 큰 기여를 하였다.
세종은 우리에게 있어서 성군이 다스린 모범의 시대로서 존경과 선망을 받은 가운데 역사 속의 이상시대의 성군으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세종의 훌륭한 군주상과 그의 찬란한 업적이 한국사에 이상시대를 세워 주었고 세종의 존재는 한국 역사에 있어서 우리에게 자부심을 키워주고 역사의식을 고양시킬 뿐 아니라 민족의 단결에 큰 힘이 되었다.
세종은 자신의 이상 세계를 추구하기 몸소 실천을 하며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 발전에 힘쓰는 사람이었고, 또한 왕으로써 권력에 의지하여 정치하지 않고 설득과 이해 그리고 여론 수렴을 통해 정치를 한 사람이었다.
-끝-
*참고자료
한국인물사연구소,『한국인물사연구』1-2, 2004
이근호『조선왕조사』청아출판사
김영기『세종대왕』신구문화사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9.18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