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일반 윤리와의 일반적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와 일반 윤리와의 일반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1. 들어가기
1.2. 기독교 윤리의 정의
1.3. 아가페사랑
1.4. 중용의 도
1.5. 행복의 조건
1.6. 공리론자의 윤리와 행복의 개념
1.7. 동양의 윤리-삼강오륜
1.8. 기독교윤리 운동사
1.9. 기독교 윤리와 윤리철학의 접목
1.10. 결론

본문내용

호 이해(mutual understanding)와 비판적 수용(critical appropriation)이다. 이것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른 세계에 대한 긍정적이면서도 비판적인 연구를 한 후 기독교신앙에 위배되지 않는 한 과감하게 채택해야 한다.
기독교 윤리와 윤리철학의 접목
위에서 언급한 서양 윤리의 기초가 된 다양한 윤리철학들을 부분적으로 기독교윤리 운동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로스와 아가페를 혼동해서는 안 되며 스토아학파에서 보이는 인내는 하나님께 복종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또한 에피큐러스의 자아 중심적 쾌락주의는 아가페와 정면적으로 대립되는 것이다. 칸트의 의무윤리, 벤탐과 밀의 공리주의, 죤 듀이의 사회적 적응윤리는 기독교적 윤리운동의 부분적인 방편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기독교 윤리운동의 목표가 될 수없다. 기독교 윤리운동을 전개하여 나갈 때 동서양의 도덕철학을 무조건 배격 할 수 없으나 그것들과 기독교 윤리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는 각 시대의 다양한 장소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진리의 말씀을 계시하시기 위하여 많은 통로를 사용하신다.
결론
한국적인 상황에서는 동양의 윤리인 삼강오륜을 받아들이는 기성세대와 서양의 윤리를 취사선택하여 합리적인 지식으로 이미 받아들인 젊은 세대와의 사고의 차이를 어떻게 좁혀가며 이 시대에 맞는 것으로 재해석하며 적응시켜 나갈 것인가가 최대의 관건일 것이다.
키워드 : 기독교 윤리, 아가페사랑, 중용의 도, 행복의 조건, 공리론자의 윤리와 행복의 개념, 동양의 윤리-삼강오륜, 기독교윤리 운동사, 독교 윤리와 윤리철학
6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6.21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