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막염이란
2. 뇌막염의 원인과 증상-바이러스성, 세균성, 결핵성
3. 뇌막염의 진단과 검사
4. 뇌막염의 치료
5. spinal tapping
6. 정상 뇌척수액
2. 뇌막염의 원인과 증상-바이러스성, 세균성, 결핵성
3. 뇌막염의 진단과 검사
4. 뇌막염의 치료
5. spinal tapping
6. 정상 뇌척수액
본문내용
을 피부를 통과하여 척추관에 삽입시켜 지주막하강에 진입한다.
⑦ inserter를 제거하면 바늘로부터 뇌척수액이 방울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⑧ 바늘을 멸균된 압력계에 연결하고 압력을 측정한다. (이 때는 환자의 다리를 곧게 펴고, 몸을 이완시켜 뇌척수액 압력 상승을 막는다. )
⑨ 멸균튜브에 뇌척수액을 5~10ml 담아 검사실로 보낸다.
⑩ 마지막으로 다시 압력을 측정한다.
⑪ spinal needle을 제거한 후 바늘 삽입 부위는 다시 한번 소독하고 반창고를 붙 여준다.
⑫ 그 뒤엔 복강내압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부 밑에 베개를 대고 엎드려 눕힌 다. (척추관 주변 조직에 간접 압박을 가하여 척추관으로부터 뇌척수액이 계속 적으로 새어나오지 않는다.)
⑬ 제거된 뇌척수액을 보충하기 위해 환자에게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⑭ 천자 후에 두통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8시간 동안 베개를 베지 않고 똑바로 눕도록 한다.
4. 금기
① 요추천자 부위에 국소 감염이 있는 경우
② 뇌종양이나 두개강 내 혈종과 같은 두개강 내 공간점유 병소의 가능성의 많을 경우
③ 두개내압 상승 징후 출현시 → 뇌척수액의 급격한 제거시 뇌구조가 대후두공으 로 탈출되어 연수 압박
- 뇌압상승 징후 : 의식수준 저하, 두통, 동공변화, 반대측의 운동 또는 감각상 실, 활력징후 변화(수축기압 상승, 이완기압 감소, 맥압증가, 서맥), 불규칙한 호흡, 발열, 구토, 피질박리자세
5. 정상 뇌척수액
① 압력 : 50-180mmHg (200mmHg↑ : 뇌압상승 의미)
② 맑고 색이 거의 없다.
③ RBC : none
④ WBC : 0-8/㎕ (0-0.008/L)
⑤ specific gravity : 1.007
⑥ pH : 7.35
⑦ protein
- lumbar : 15-45mg/dl (0.15-0.45g/L)
- cisternal : 15-25mg/dl (0.15-0.25g/L)
- ventricular : 5-15mg/dl (0.05-0.15g/L)
⑧ glucose : 45-75mg/dl (2.5-4.2mmol/L)
⑨ microorganism : none
☞ 참고문헌
-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2003), Sigma Theta Tau Lambda 외, 현문사
- 의약품집 (2003), 인하대병원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1999), 최영희 외, 현문사
- www.medcity.com
⑦ inserter를 제거하면 바늘로부터 뇌척수액이 방울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⑧ 바늘을 멸균된 압력계에 연결하고 압력을 측정한다. (이 때는 환자의 다리를 곧게 펴고, 몸을 이완시켜 뇌척수액 압력 상승을 막는다. )
⑨ 멸균튜브에 뇌척수액을 5~10ml 담아 검사실로 보낸다.
⑩ 마지막으로 다시 압력을 측정한다.
⑪ spinal needle을 제거한 후 바늘 삽입 부위는 다시 한번 소독하고 반창고를 붙 여준다.
⑫ 그 뒤엔 복강내압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부 밑에 베개를 대고 엎드려 눕힌 다. (척추관 주변 조직에 간접 압박을 가하여 척추관으로부터 뇌척수액이 계속 적으로 새어나오지 않는다.)
⑬ 제거된 뇌척수액을 보충하기 위해 환자에게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⑭ 천자 후에 두통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8시간 동안 베개를 베지 않고 똑바로 눕도록 한다.
4. 금기
① 요추천자 부위에 국소 감염이 있는 경우
② 뇌종양이나 두개강 내 혈종과 같은 두개강 내 공간점유 병소의 가능성의 많을 경우
③ 두개내압 상승 징후 출현시 → 뇌척수액의 급격한 제거시 뇌구조가 대후두공으 로 탈출되어 연수 압박
- 뇌압상승 징후 : 의식수준 저하, 두통, 동공변화, 반대측의 운동 또는 감각상 실, 활력징후 변화(수축기압 상승, 이완기압 감소, 맥압증가, 서맥), 불규칙한 호흡, 발열, 구토, 피질박리자세
5. 정상 뇌척수액
① 압력 : 50-180mmHg (200mmHg↑ : 뇌압상승 의미)
② 맑고 색이 거의 없다.
③ RBC : none
④ WBC : 0-8/㎕ (0-0.008/L)
⑤ specific gravity : 1.007
⑥ pH : 7.35
⑦ protein
- lumbar : 15-45mg/dl (0.15-0.45g/L)
- cisternal : 15-25mg/dl (0.15-0.25g/L)
- ventricular : 5-15mg/dl (0.05-0.15g/L)
⑧ glucose : 45-75mg/dl (2.5-4.2mmol/L)
⑨ microorganism : none
☞ 참고문헌
-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2003), Sigma Theta Tau Lambda 외, 현문사
- 의약품집 (2003), 인하대병원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1999), 최영희 외, 현문사
- www.medcity.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