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의 기원(갑골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자의 기원(갑골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작하며

본 론
1. 갑골문의 개항
2. 갑골문 그 우연한 발견
3. 서안(西安) 반파유적
4. 왜 갑골문이라 하는가?
가)갑골문의 기록
나)갑골의 재료
5. 갑골문 발견시기 은나라
가)은나라 사람들 그들은 갑골에 무엇을 남겼나?

마 치 며

본문내용

농기구, 곡물의 명칭, 수확, 목축, 수렵, 수렵 대상 동물, 수렵 방법, 수렵지, 어업, 어로 방법 등.
사회: 해와 달의 관측, 별자리 관측, 일기 관측, 10간 12지의 활용, 질병의 치료, 분만, 음식, 놀이, 청동 주물, 병기 제조, 농기구 제조, 거북의 조공과 처리 등.
문화: 애니미즘, 토템, 왕실 제사, 제사의 종류, 제사의 방법, 제사 장소, 제물의 선택, 제물의 처리, 무의 역할 등.
이 내용들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때로는 하나의 문장 안에 혼합되어 있기도 하고, 때로는 구분이 모호한 경우도 있다. 또 동일한 종족과의 교류가 시기별로 때로는 전쟁으로 때로는 화친으로 변하는 등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한두 문장을 들어 전체를 설명하는 일은 대단히 위험하다.
예를 들에 제라는 명칭의 경우, 초기에는 이것이 절 대신을 의미하지만 조갑이라는 인물 이후에는 모두 사라져 버린다. 그리고는 은나라 말기에 들어 불과 두세 번 다시 출현하는데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후대 문헌에만 의존해 은대의 원시 종교 문화를 해석할 경우, 은대 273년 전 기간에 절 대신에 대한 숭배가 변함없이 존재했던 것처럼 해석하는 오류를 저지르게 된다.
또 기록들을 보면서 느낄 수 있지만 그 당시에도 현대인들과 다름없이 희노애락으로 점철된 삶이 이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갑골문의 실록을 통해 크게 두 가지 소득을 올릴 수 있는데, 하나는 고대 문화의 진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고대 문헌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다는 점이다.
한동안 공자와 후대 중국유기들에 의해 과거 미화가 진행되면서 은대는 신비한 신화 속으로 숨어들고 말았다. 공자는『논어』에서 ?은대의 예는 증거가 부족해 알기 어렵다고 언급한 일이 있다. 물론 이 말은 이미 의미 없는 표현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상당한 시간 동안 동양학계로 하여금 동양학을 경험적 연구 범주에 머물도록 하는 걸림돌 역할을 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또 경학적 차원에 머문 연구는 우리로 하여금 고대 문헌이 지닌 수많은 진실을 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우리 귀에 익숙한 『논어』의 한 구절인 有朋自遠方來(유붕자원방래),不亦樂乎(부역낙호)를 보자.
적지 않은 해석본들은 붕(朋)을 친구로 보지만 갑골문과 청동기 문자 그리고 현대 중국어들을 통해 보면, 붕(崩)은 원래사람이 당시 고대의 화폐인 조개를 양손에 든 모습이 변한 것으로 우(友)와 달리, 단순한 친구가 아닌 특정한 목적의 이익 집단이며, 때로는 그 이익 집단 구성원을 뜻하는 단어다. 또 방(方)을 흔히 지역 정도로 해석하지만 갑골문과 후대 금문을 통해 보면,『논어』의 방(方)은 한 족이나 부족들이 이룬 하나의 나라를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논어』의 위 구절은 ?어떤 먼 나라에서 온 그러나 자신과 뜻을 같이 하는 집단, 또는 그 집단의 구성원들이 찾아 왔으니 얼마나 즐겁겠는가 는 뜻이다.
짧은 예지만, 갑골문들의 기록을 이해하는 일들이 왜 의미 잇는 것인가를 깨닫게 하는 데는 충분하리라고 본다.
마 치 며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문자의 역사는 숭고하고 찬란함을 알 수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만 가지고 있었다면 어떻게 문자가 생겨났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고, 정도(正度)라고 생각했던 것들을 자기 자신만이 아니 널리 후세에까지 알리고자 갖은 방법을 통하여 기록하고, 표기하는 행동은 다른 여타 동물들이 소리 소문 없이 사라져간 역사 속에서 유구함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내게 해준 원동력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다시 한 번 우리 선현들에게 고개 숙여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9.29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