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한국영화를 무시하는 분위기가 컸다. 한국영화는 비디오, 외화는 영화관이라는 의식이 팽배했었다. 하지만 이는 한국영화의 참 모습을 모르고 하는 말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대단한 작품들을 가지고 있었다. 단지 그 능력들이 사회의 규제와 국민의 무관심 속에 가려져있었던 것뿐이다. 이런 나의 한국 영화에 대한 자부심은 <이어도>를 통해 더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