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류붐의 현주소
2. 국가별 한류현황
3. 한류유사사례
4. 기업들의 한류활용
5. 한류의 원천
6. 한류지속과 활용방안
2. 국가별 한류현황
3. 한류유사사례
4. 기업들의 한류활용
5. 한류의 원천
6. 한류지속과 활용방안
본문내용
기업들의 한류 활용
현지에서 스타를 키워 시장을 공략
- 동방신기와 같은 인기그룹에 중국 현지멤버를 포함
한국 제작사가 직접 중국에 진출하여 ‘중국제(Made in China)’
한류 드라마를 제작
- 2005년 10월부터 중국에서 방영되는 「7월의 아침(7月的朝宸)」
온라인게임 등 디지털컨텐츠의 수출이 활발
- 북미시장에도 진출
현지유통을 개척하기 위해 현지기업과 전략적으로 제휴
음식, 화장품, 의류, 패션, 미용 등의 문화연관상품 수출이 활발
- 대형 음식점들이 한국 궁중음식 체험 등의 상품을 개발
- 한국인이 美人의 기준으로 부각되면서 중국 상하이, 베이징 일대에는
한국인 의사가 운영하는 성형외과 성업중
- 드라마를 통해 한국의 세련된 생활패턴을 인지한 대만 시청자들이
한국산 주방가구를 구매
- 한국의 인기 의류브랜드들이 중국 백화점 내 매장들을 개설
한류관광객들이 크게 증가
- 1/4분기동안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총 146만 명(전년 동기15% 증가)
- 겨울연가 촬영지인 남이섬과 춘천이 대표적 한류관광지로 부상
- 미용ㆍ패션체험(41.8%), 겨울연가 촬영지 방문(40.4%), 음식만들기 및
시식체험(29.5%) 등의 순
- 그러나 단순 구경거리에 그치고 있는 실정
관광업계와 지자체가 한류관광객 유치에 노력
- 관광공사의 ‘한류관광의 해’
- 경기도의 ‘한류우드’
- 대한항공의 ‘겨울연가 전세기(2005.1~3)’
* 관련 이미지화일 및 분석자료 다수 수록!!
현지에서 스타를 키워 시장을 공략
- 동방신기와 같은 인기그룹에 중국 현지멤버를 포함
한국 제작사가 직접 중국에 진출하여 ‘중국제(Made in China)’
한류 드라마를 제작
- 2005년 10월부터 중국에서 방영되는 「7월의 아침(7月的朝宸)」
온라인게임 등 디지털컨텐츠의 수출이 활발
- 북미시장에도 진출
현지유통을 개척하기 위해 현지기업과 전략적으로 제휴
음식, 화장품, 의류, 패션, 미용 등의 문화연관상품 수출이 활발
- 대형 음식점들이 한국 궁중음식 체험 등의 상품을 개발
- 한국인이 美人의 기준으로 부각되면서 중국 상하이, 베이징 일대에는
한국인 의사가 운영하는 성형외과 성업중
- 드라마를 통해 한국의 세련된 생활패턴을 인지한 대만 시청자들이
한국산 주방가구를 구매
- 한국의 인기 의류브랜드들이 중국 백화점 내 매장들을 개설
한류관광객들이 크게 증가
- 1/4분기동안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총 146만 명(전년 동기15% 증가)
- 겨울연가 촬영지인 남이섬과 춘천이 대표적 한류관광지로 부상
- 미용ㆍ패션체험(41.8%), 겨울연가 촬영지 방문(40.4%), 음식만들기 및
시식체험(29.5%) 등의 순
- 그러나 단순 구경거리에 그치고 있는 실정
관광업계와 지자체가 한류관광객 유치에 노력
- 관광공사의 ‘한류관광의 해’
- 경기도의 ‘한류우드’
- 대한항공의 ‘겨울연가 전세기(2005.1~3)’
* 관련 이미지화일 및 분석자료 다수 수록!!
추천자료
한국문화예술단한중자매도시순회공연(한류문화컨텐츠)기획서
한류 글로벌 시대의 문화경쟁력
중국 대중문화의 발전과정과 한류
한류 - 아시아의 문화고리
한일간 대중문화의 수용과 일본내 한류열풍을 통해 본 한일관계의 변화
문화 커뮤니케이션과 한류
한류를 통해서 본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행정과 문화(소비문화, 양심적 병역거부, 한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문화의 정체성과 지속성 유지를 위한 전략
[세계의풍속과문화] 세계속의 한류 현상 내용과 성격
중국문화의 이해 - 중국의 한류 문화
중동의 한류 韓流 문화 파워POWER를 이루다
친디아의 성장과 한류문화와의 관계
동아시아 문화 소통의 장- 한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