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목(합판 , 통재)
1) 원목 관련용어
2) 원목의 측정 관련 용어
3) 원목형질 관련 용어
2. 제재,건조
2-1. 제재목 관련 용어
2-2. 건조 관련 용어
3. 접착
4. 가공
5. 도장 (PAINTING)
1) Veneer 용어정리
2) 단판 절삭법
6. 조립(ASSEMBLY)
7. 조율,조정(TUNNING,REGULATION)
8. 완성,검사(FINISH & INSPECTION)
1) 원목 관련용어
2) 원목의 측정 관련 용어
3) 원목형질 관련 용어
2. 제재,건조
2-1. 제재목 관련 용어
2-2. 건조 관련 용어
3. 접착
4. 가공
5. 도장 (PAINTING)
1) Veneer 용어정리
2) 단판 절삭법
6. 조립(ASSEMBLY)
7. 조율,조정(TUNNING,REGULATION)
8. 완성,검사(FINISH & INSPECTION)
본문내용
적으로 생산된다. 기 계 형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단판이 한 장씩 절삭될 때마다 칼날이나 단판 절삭용 목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일정한 두께만큼 전진하게 된다.
반원상의 원목으로부터 생산된 판목슬라이스드단판은 장식장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단판은 접선방향으로 제재한 판목판과 동일한 무늬를 지니게 된다.
정목슬라이싱 (Quarter-cut cutting)
→ 방사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인상적이면서도 매력적인 무늬를 나타내게 되는 원목 은 정목이나 정목에 매우 가까운 단판 절삭용 목편으로 조재한 다음 정목단판의 생 산량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가능한 방사조직이 단판의 절삭 방향과 일치하도록 고 정한 상태에서 단판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를 정목(柾目)슬라이싱(quarter-cut slicing)이라고 부른다.
정확한 판목슬라이싱 (tangential flat slicing)
→ 정확한 판목슬라이싱(tangential flat slicing)은 재면에 대한 나이테의 각도가 0° 에 가깝도록 접선방향으로 정확히 절삭하여 판목슬라이스드단판을 생산하는 방법인 데 4분목 형상의 단판 절삭용 목편을 역시 고정해 절삭할 수가 있다. 반원상의 원목 으로부터 생산된 단판보다도 폭은 좁지만 매력적인 무늬를 나타내게 된다.
5-2.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로부터의 내장재 보호와 각종 해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1) 곰팡이 : 곰팡이에 의한 마감재료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온난하고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는 방미제를 지니는 밑칠도막을 새로운 목재면에 먼저 도장해 주고 그위에 산화아연과 방미제가 첨가된 윗칠용 페인트를 칠하여 곰팡이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먼저 도장해 준 도막면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있는 경우 그 면을 깨끗하게 조 정해 주지 않고 그대로 윗칠도장을 하게 되면 곰팡이가 새로운 도막층을 뚫고 나와 자라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페인트 도막 전체를 벗겨내고 새로 재도 장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2) 박리와 균열
도막층 사이의 박리
→ 페인트의 도막박리는 적절한 공정으로 깨끗하게 면을 조정해 주고 페인트로 도장을 실시해 주면 예방할 수 있다.
교주균열
→ 페인트 도막이 너무 두꺼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균열로 오래된 페인트 도막을 완 전히 제거하고 소지면에 새로 도장을 실시해 주는 길 밖에 없다. 비닐계나 아크릴계 라텍스 페인트가 교주균열에 의한 도막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포발생
→ 온도에 의한 기포발생
: 온도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시간내에 가열될 표면에 도장해 주는 것을 피해야만 된다. 만약 기포가 발생하였다면 며칠간 페인트를 건조한 다음 기포부분을 긁어내고 긁어낸 부분의 모서리를 사포로 평활하게 연 삭하고 페인트를 칠해 보수해 주면 된다.
→ 수분에 의한 기포발생
: 수분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는 페인트 도막의 표면에서 거품모양으로 부풀어 오르는 결함을 일컫는 것이다. 예방책은 수분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 제거해 주는 방법이 가장 좋다.
변색
→ 확산에 의한 변색
: 다공성 또는 두께가 얇은 페인트에 비나 이슬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하게 된 다. 적절한 도장공정에 따라 도장을 실시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 다.
→ 줄무늬상의 변색
: 목재내에 수용성 추출물이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추출물에 의해 발생 하는 변색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수분과 관련된 문제점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변색이 발생한 경우 곧바로 세제로 닦아 주어야 한다. 1gallon의 온수에 4∼ 16oz의 수산(oxalic acid)을 용해하여 제조한 용액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왁스 번짐
→ 번짐이 일어난 면을 세제와 물로 닦아내게 되면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표면을 완전히 닦아내고 씻어낸 다음 다시 밑칠도장과 윗칠도장을 실 시해 주어야 한다
청변
→ 청변은 모든 목재 수종의 변재에 흔히 침입하게 되는 미생물인 균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목재의 함수율을 20% 이하로만 유지해 준다면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청변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5%의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영구적인 방법은 되지 못하고 있다. 영구적으로 변색을 제거해 주기 위해서 는 수분과 관련된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해 주어야만 한다
옹이위의 갈변
→ 적절한 도장공정에 따라 페인트를 칠해 주게 되면 옹이위에 생긴 갈변을 제거할 수 있다. 소지 목재에 먼저 적절한 밑칠을 도장하고 그 다음으로 2층의 윗칠도장을 실 시해 주면 된다. 도장을 실시해 준 밑칠 페인트 위에 고품질의 윗칠용 아크릴계 라 텍스페인트를 도장해 주게 되면 최대의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물에 의한 변색
→ 물에 의해 발생한 변색은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강하지 않은 세제와 물로 가끔 닦아 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평활한 재면인 경우에는 가벼운 연삭이 효과적인 방법 이 될 수 있다. 가정용 표백제 용액이나 수산용액과 같은 표백제를 사용하여도 효과 를 볼 수 있다.
6. 조립(ASSEMBLY)
선공정에서 만들어진 반제품(스켈톤,건반,액숀,해머,외장 등의 SUB-ASSEMBLY) 이 모여 조합되므로서 최초의 피아노 형태를 갖추는 과정이다.
7. 조율,조정(TUNNING,REGULATION)
액숀과 건반의 각 부품이 제 위치에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렬하고 높이,깊이,거리 등을 맞추며 현의 장력을 조절하여 원하는 음을 낼 수 있도록 작업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3~4회의 조율 과정을 거치게 되며 피아노의 구조적인 기술에 조율, 조정의 소프트웨어적 기술이 결합되어 일반인들이 접하게 되는 피아노 소리가 탄생하게 된다.
8. 완성,검사(FINISH & INSPECTION)
각종 부품이 조립되고 조율, 조정 작업이 완료된 피아노는 최종적으로 내장 부품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는 없는지를 점검하고 외장의 마무리를 손질하여 제품으로서의 결함이 없도록 하는 FINISH 과정이다.
이렇게 완성된 피아노는 1주일간의 시즈닝을 거친 후 재조정이라는 최종 작업과 검사를 완료함으로서 공장내에서의 모든 제조 과정을 마치게 된다.
반원상의 원목으로부터 생산된 판목슬라이스드단판은 장식장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단판은 접선방향으로 제재한 판목판과 동일한 무늬를 지니게 된다.
정목슬라이싱 (Quarter-cut cutting)
→ 방사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인상적이면서도 매력적인 무늬를 나타내게 되는 원목 은 정목이나 정목에 매우 가까운 단판 절삭용 목편으로 조재한 다음 정목단판의 생 산량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가능한 방사조직이 단판의 절삭 방향과 일치하도록 고 정한 상태에서 단판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를 정목(柾目)슬라이싱(quarter-cut slicing)이라고 부른다.
정확한 판목슬라이싱 (tangential flat slicing)
→ 정확한 판목슬라이싱(tangential flat slicing)은 재면에 대한 나이테의 각도가 0° 에 가깝도록 접선방향으로 정확히 절삭하여 판목슬라이스드단판을 생산하는 방법인 데 4분목 형상의 단판 절삭용 목편을 역시 고정해 절삭할 수가 있다. 반원상의 원목 으로부터 생산된 단판보다도 폭은 좁지만 매력적인 무늬를 나타내게 된다.
5-2. 외부 충격이나 기후 변화로부터의 내장재 보호와 각종 해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1) 곰팡이 : 곰팡이에 의한 마감재료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온난하고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는 방미제를 지니는 밑칠도막을 새로운 목재면에 먼저 도장해 주고 그위에 산화아연과 방미제가 첨가된 윗칠용 페인트를 칠하여 곰팡이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먼저 도장해 준 도막면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있는 경우 그 면을 깨끗하게 조 정해 주지 않고 그대로 윗칠도장을 하게 되면 곰팡이가 새로운 도막층을 뚫고 나와 자라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페인트 도막 전체를 벗겨내고 새로 재도 장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2) 박리와 균열
도막층 사이의 박리
→ 페인트의 도막박리는 적절한 공정으로 깨끗하게 면을 조정해 주고 페인트로 도장을 실시해 주면 예방할 수 있다.
교주균열
→ 페인트 도막이 너무 두꺼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균열로 오래된 페인트 도막을 완 전히 제거하고 소지면에 새로 도장을 실시해 주는 길 밖에 없다. 비닐계나 아크릴계 라텍스 페인트가 교주균열에 의한 도막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포발생
→ 온도에 의한 기포발생
: 온도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시간내에 가열될 표면에 도장해 주는 것을 피해야만 된다. 만약 기포가 발생하였다면 며칠간 페인트를 건조한 다음 기포부분을 긁어내고 긁어낸 부분의 모서리를 사포로 평활하게 연 삭하고 페인트를 칠해 보수해 주면 된다.
→ 수분에 의한 기포발생
: 수분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는 페인트 도막의 표면에서 거품모양으로 부풀어 오르는 결함을 일컫는 것이다. 예방책은 수분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 제거해 주는 방법이 가장 좋다.
변색
→ 확산에 의한 변색
: 다공성 또는 두께가 얇은 페인트에 비나 이슬이 침투함에 따라 발생하게 된 다. 적절한 도장공정에 따라 도장을 실시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 다.
→ 줄무늬상의 변색
: 목재내에 수용성 추출물이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추출물에 의해 발생 하는 변색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수분과 관련된 문제점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변색이 발생한 경우 곧바로 세제로 닦아 주어야 한다. 1gallon의 온수에 4∼ 16oz의 수산(oxalic acid)을 용해하여 제조한 용액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왁스 번짐
→ 번짐이 일어난 면을 세제와 물로 닦아내게 되면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표면을 완전히 닦아내고 씻어낸 다음 다시 밑칠도장과 윗칠도장을 실 시해 주어야 한다
청변
→ 청변은 모든 목재 수종의 변재에 흔히 침입하게 되는 미생물인 균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목재의 함수율을 20% 이하로만 유지해 준다면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청변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5%의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영구적인 방법은 되지 못하고 있다. 영구적으로 변색을 제거해 주기 위해서 는 수분과 관련된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해 주어야만 한다
옹이위의 갈변
→ 적절한 도장공정에 따라 페인트를 칠해 주게 되면 옹이위에 생긴 갈변을 제거할 수 있다. 소지 목재에 먼저 적절한 밑칠을 도장하고 그 다음으로 2층의 윗칠도장을 실 시해 주면 된다. 도장을 실시해 준 밑칠 페인트 위에 고품질의 윗칠용 아크릴계 라 텍스페인트를 도장해 주게 되면 최대의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물에 의한 변색
→ 물에 의해 발생한 변색은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강하지 않은 세제와 물로 가끔 닦아 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평활한 재면인 경우에는 가벼운 연삭이 효과적인 방법 이 될 수 있다. 가정용 표백제 용액이나 수산용액과 같은 표백제를 사용하여도 효과 를 볼 수 있다.
6. 조립(ASSEMBLY)
선공정에서 만들어진 반제품(스켈톤,건반,액숀,해머,외장 등의 SUB-ASSEMBLY) 이 모여 조합되므로서 최초의 피아노 형태를 갖추는 과정이다.
7. 조율,조정(TUNNING,REGULATION)
액숀과 건반의 각 부품이 제 위치에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렬하고 높이,깊이,거리 등을 맞추며 현의 장력을 조절하여 원하는 음을 낼 수 있도록 작업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3~4회의 조율 과정을 거치게 되며 피아노의 구조적인 기술에 조율, 조정의 소프트웨어적 기술이 결합되어 일반인들이 접하게 되는 피아노 소리가 탄생하게 된다.
8. 완성,검사(FINISH & INSPECTION)
각종 부품이 조립되고 조율, 조정 작업이 완료된 피아노는 최종적으로 내장 부품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는 없는지를 점검하고 외장의 마무리를 손질하여 제품으로서의 결함이 없도록 하는 FINISH 과정이다.
이렇게 완성된 피아노는 1주일간의 시즈닝을 거친 후 재조정이라는 최종 작업과 검사를 완료함으로서 공장내에서의 모든 제조 과정을 마치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