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 것들 사이에 불빛이 이동하는 것으로 지각한다.
④ 지각항등성
대상 자극 즉 대상의 크기, 형태, 밝기, 색채가 변화되어도 대상을 일관성 있게 지각하는 것
모양과 크기 항등성
- 모양 항등성: 대상의 실체크기는 변하지 않지만 우리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 형태 가 변화되는 것처럼 보인다. 모양 항등성 덕분에 우리는 망막이 변 화되어도 친숙한 대상이 일정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지각한다.
문이 열릴 때 문이 열려진 각도에 따라서 우 리의 망막에 맺혀진 영상의 형태는 변화되지만 우리는 문이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 로 지각한다.
- 크기 항등성: 대상까지의 거리가 변화되어도 우리는 그 대상이 일정한 크기 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한다.
- 크기와 거리의 관계: 대상의 거리와 망막영상의 크기가 지각되고 나면 우리 는 직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대상의 크기를 추론한다.
⑤ 밝기 항등성
조명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상의 밝기를 일정하게 지각하는 것
지각된 밝기는 대상에서 반사되는 빛과 주변에서 반사되는 빛의 상대적 강도 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자극의 해석
칸트: 지식이라는 것이 감각경험을 조직화하는 생래적인 능력에 의해서 생긴다고 생각
로크: 경험을 통해서 세상을 지각하는 능력을 배우게 된다고 주장
① 지각적 순응: 시각상을 약간 찌그러져 보이도록 하는 안경을 썼다고 히면 2~3 일 내로 적응할 수 있다. 좌우가 바뀌고 위아래가 거구로 보이는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처음에는 힘들어 하지만 8일정도 지나니 적응한다. 도로나 다니는 곳이 이미 그들의 머릿속에 있고 그 러한 세상에서 움직임을 통해서 맥락에 적응하고 그들의 운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학습
② 지각적 갖춤새
우리는 경험, 가정 그리고 기대를 통해서 지각적 갖춤새 또는 마음의 갖춤새 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지각에 많은 영향을 준다.
스키마: 우리가 경험을 통해 형성하는 것. 친숙하지 않은 정보를 조직화 하고 해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맥락효과: 주어진 자극은 서로 다른 스키마 때문에 다른 것으로 지각되기도 하지만, 즉각적인 맥락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지각
이름:
학번:
학과:
과목:
담당교수:
제출날짜:
목차
Ⅰ 지각이론
▶ 구성주의적 접근
▶ 생태학적 접근
Ⅱ 선택적 주의
Ⅲ 지각적 착각
Ⅳ 지각적 조직화
▶ 형태지각
▶ 깊이지각
▶ 운동지각
▶ 지각항등성
▶ 밝기 항등성
Ⅴ 자극의 해석
▶ 지각적 순응
▶ 지각적 갖춤새
④ 지각항등성
대상 자극 즉 대상의 크기, 형태, 밝기, 색채가 변화되어도 대상을 일관성 있게 지각하는 것
모양과 크기 항등성
- 모양 항등성: 대상의 실체크기는 변하지 않지만 우리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 형태 가 변화되는 것처럼 보인다. 모양 항등성 덕분에 우리는 망막이 변 화되어도 친숙한 대상이 일정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지각한다.
문이 열릴 때 문이 열려진 각도에 따라서 우 리의 망막에 맺혀진 영상의 형태는 변화되지만 우리는 문이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 로 지각한다.
- 크기 항등성: 대상까지의 거리가 변화되어도 우리는 그 대상이 일정한 크기 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한다.
- 크기와 거리의 관계: 대상의 거리와 망막영상의 크기가 지각되고 나면 우리 는 직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대상의 크기를 추론한다.
⑤ 밝기 항등성
조명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상의 밝기를 일정하게 지각하는 것
지각된 밝기는 대상에서 반사되는 빛과 주변에서 반사되는 빛의 상대적 강도 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자극의 해석
칸트: 지식이라는 것이 감각경험을 조직화하는 생래적인 능력에 의해서 생긴다고 생각
로크: 경험을 통해서 세상을 지각하는 능력을 배우게 된다고 주장
① 지각적 순응: 시각상을 약간 찌그러져 보이도록 하는 안경을 썼다고 히면 2~3 일 내로 적응할 수 있다. 좌우가 바뀌고 위아래가 거구로 보이는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처음에는 힘들어 하지만 8일정도 지나니 적응한다. 도로나 다니는 곳이 이미 그들의 머릿속에 있고 그 러한 세상에서 움직임을 통해서 맥락에 적응하고 그들의 운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학습
② 지각적 갖춤새
우리는 경험, 가정 그리고 기대를 통해서 지각적 갖춤새 또는 마음의 갖춤새 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지각에 많은 영향을 준다.
스키마: 우리가 경험을 통해 형성하는 것. 친숙하지 않은 정보를 조직화 하고 해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맥락효과: 주어진 자극은 서로 다른 스키마 때문에 다른 것으로 지각되기도 하지만, 즉각적인 맥락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지각
이름:
학번:
학과:
과목:
담당교수:
제출날짜:
목차
Ⅰ 지각이론
▶ 구성주의적 접근
▶ 생태학적 접근
Ⅱ 선택적 주의
Ⅲ 지각적 착각
Ⅳ 지각적 조직화
▶ 형태지각
▶ 깊이지각
▶ 운동지각
▶ 지각항등성
▶ 밝기 항등성
Ⅴ 자극의 해석
▶ 지각적 순응
▶ 지각적 갖춤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