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의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무용의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무당춤 개요

2.승천무 공연내용

3.살풀이개요

4.흥춤 공연내용

5.곳 공연내용

6.진도북춤 개요

본문내용

을 어깨에 매고 한 손으로 북채를 들고 치기 때문에 원박 가락에 충실하고 소리가 웅장하다. 양북치기는 진도에 한해서 전승되고 있는데,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장구를 치듯 하기 때문에 잔가락이 많이 활용되면서 멈춤과 이어짐이 민첩하고 가락이 다양하다. 특히 북가락이 갖는 시간적 소리와 몸짓이 갖는 공간적 움직임이 어우러져 흥을 돋군다. 북춤은 농경사회에서 일꾼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 추던 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농사일에서 뿐만 아니라 마을의 축제 및 종교의식, 마을 주민들의 경사, 오락 등에서 북춤을 추어왔다. 소리와 춤사위로 이루어진 북춤은 수 백년 동안 소리와 춤이 감흥을 같이하여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뤄 생성된 것이며, 이러한 사실은 진도의 북춤 역시 다르지 않다. 진도 북춤은 원래 두레굿에서 풍물로 발전되고 다시 춤으로 발전하였다
진도북춤 공연내용
<안무>
안무개념- 보통북춤은 한손으로 채를 사용하지만 진도북춤은 쌍북채를 이용하여 강하면서 유연하게 춤을춘다.
안무가의 기술-
공간: 5명이서 대각선으로 서서 등장한다.
시간: 리듬이 활발하다. 북을 치면서 무대 위를 뛰어다니다시피 하니 매우 빠르다.
기타: 무용수간 자리이동이 자주있고 흥을 돋아주는 동작을 한다.
<무용수>
무용수 테크닉의 질적 요소, 확산과 실행, 춤에 대한 적응력-
북소리와 춤사위가 하나되어 이루어진다. 무대가 좁다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넓게 이동하며 춤을 춘다.
<제작>
의상- 3명은 갈색 2명은 남색 한복을 입는다. 북을 가지고 춤을 춘다.
조명- 전체가 환한 느낌이다.
음악- 다른 무용처럼 음악을 사용하지 않고 북소리 하나만 사용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