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직의 수행력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직의 수행력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조직수행력이론

2.조직 수행력

3. 사회복지조직과 효과성

본문내용

진다. 하지만 모든 서비스나 프로그램의 결과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목적이 성취되었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모두가 인정 할 수 잇는 객관적인 비교의 척도를 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직이 성취하려는 목적이 불분명하다든지 또는 목적들 사이에 갈등이 일어난다고 했을 때 역시 효과성을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 된다.
②다중구성원
다중구성원 모델은 조직과 관련되어 있는 이해당사자 (client, 사회복지사, 후원자, 정부기관 등)들이 만족한다면 그 조직은 효과성을 산출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목적을 완전하게 성취하였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조직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에 대해 관련이해 당사자들이 만족한다면 그 조직은 당연히 효과성을 담보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다중구성모델은 두 개의 단계를 거친다고 하는데 첫 번째 단계는 구성원들을 확인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조직 수행력에 대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만족이 평가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다중구성원모델에 따르면 효과성의 판단은 개개인들이나 집단이 조직을 위해서 유지하고 있는 평가된 가치와 선호에 기초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가정은 강점과 약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약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와 선호는 집단에 따라서 다양하고 그리고 그러한 다양성에 의해서 나타나는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집단의 선호는 때때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셋째, 선호는 시간을 뛰어넘어 다양하다.
넷째, 때때로 한 집단에서도 양립하는 선호가 존재한다.
다섯째, 평가에 참여하기 위해 구성원들을 확인하는 방법이 불명확하다.
③제도적 모델
조직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도적 모델이 사용되기도 한다. 제도적 모델은 조직의 효과성을 결과의 산출물보다 조직의 신념이나 규정 또는 규칙 그리고 조직의 구조나 결과물을 생산해내는 과정이 그들이 나아가야 할 방행으로 나아가는 가를 기준으로 조직효과성을 측정하는 모델이다. 제도주의이론가들은 조직적 환경 안에서 폭넓게 유지되는 신념과 규정들은 그 조직의 구조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조직이 강력한 신념과 규정 하에 그들이 나아 가야할 방향으로 기대하는 만큼 나아간다고 한다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에 기초한 조직의 효과성 평가보다도 훨씬 바람직한 평가가 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결국 제도적 이론에서는 조직이 우리의 기대에 순응할 수 있는 구조와 과정을 가지고 있는가가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물이나 산출물을 측정하기보다는 구조나 과정을 측정하는 것이 강조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도적 이론은 조직의 효과성이 조직의 구조와 과정에 관해 폭넓게 유지된 기대로 순응하는 것에 의해서 평가되며 더 나아가 조직의 생존과 자원의 획득이 구조와 과정에 대한 순응 그리고 조직에게 부여되는 정당성에 의존한다고 강조한다.
참고문헌
지은구, 2004, 사회복지행정론, 청목출판사
지은구, 2005, 사회복지조직론, 계명대출판부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1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