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오드 클리퍼와 클램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이오드 클리퍼와 클램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직렬 클리퍼

2. 병렬 클리퍼

3. 리미터

4. 클램퍼

■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리가 실제로 실험을 통하여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출력파형을 관찰한다면 이상적인 출력 파형과 비교하여 다음 세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1) 클리퍼 레벨이 기준 레벨과 약간 다르다. 어느 곳에서는 약간 높고, 어느 곳에서는 약간 낮다.
→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때문...
(2) 클리퍼된 부분이 완전히 직선적으로 되어있지 않다.
(3) 파형의 클리핑이 시작되는 굴곡점(break point)이 뚜렷하지 않다.
이러한 차이점은 물론 실제의 다이오드의 특성이 이상적(ideal)인 것이 아니라는 데서 오는 결과이다. 즉, 다이오드 전압이 0.7V 정도이고 다이오드 저항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양이기 때문이다.
오실로 스코프로 실험결과를 관찰할 때 입력신호 스위치를 DC에 놓고 실험하도록 해야 올바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만약 AC에 놓고 한다면 DC 부분은 잘려서 나올 것이다.
교류신호의 끝단을 맞추기 위해서 또는 기준 레벨에 교류전압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회로를 리미터라고 하며, 다이오드가 신호 전송회로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면 직렬리미터,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면 병렬 리미터라 하며, 슬라이서, 진폭선택회로, 클리퍼도 이에 속한다.
클리퍼는 입력 되는 파형의 특성 레벨 이상이나 이하를 잘라내는 회로를 말합니다. Clipper라고 쓰는데 클리핑 회로라고도 하고, 리미터(limiter)라고도 하고 진폭제한 회로라고도 하지요. "clip"이라는 단어가 "자르다,베다"라는 뜻이 있지요. 가장 간단한 클리퍼 회로는 저항은 직렬로, 다이오드는 회로에 병렬로 연결만해도 클리핑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다이오드의 연결 방향에 따라 잘라지는 파형의 위치가 바뀌지요.
회로에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고 다이오드는 순방향 병렬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특정 레벨 이상을 잘라내는 클리퍼입니다. 이를 반대로 다이오드는 역방향 직렬로 연결하고 저항은 병렬로 연
결해도 효과는 같습니다.
회로에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고 다이오드는 역방향 병렬로 연결하는 것은 특정 레벨 이하를 잘라내는 클리퍼입니다. 잘 쓰이지는 않지요. 이를 반대로 다이오도는 순방향 직렬로 연결하고 저항은 병렬로 연결해도 효과는 같습니다.
클램퍼 회로는 입력 파형의 형태는 변화시키지 않고 입력 파형을 어떤 다른 레벨에 고정(clamp)시키는 회로이다. 클램퍼 회로는 기본적으로 다이오드, 캐패시터,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램퍼 회로의 해석시 주의할 것은 클램퍼 회로의 동작은 항상 다이오드의 순방향 바이어스 인가시부터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파 정류 회로의 일종으로, 다이오드 4개를 브리지 모양으로 접속하여 정류하는 회로. 중간 탭이 있는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
2.브리지 정류방식::(회로(4)참조)
1)장점:
가)트랜스의 중간탭이 필요없다
나)브리지다이오드 1개로 회로가 간단하다
2)단점:
가)일반다이오드를 사용할경우 4개가 필요하다
나)다이오드에서 드롭되는 전압이 2개분(1.2~1.8V)이므로 전압손실이 크다.
다)따라서 다이오드 발열량이 크다(중간탭 방식에 비해)

키워드

다이오드,   클리퍼,   클램퍼,   리미터,   결과,   직렬,   병렬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1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