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강의 조직관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및 목적

2.실험방법

3. 실험 결과

4. 고찰 및 토의

본문내용

것을 알 수 있는데 흰 부부으로 보이는 부분이 페라이트 부분이며 검은 빛을 띠고 있는 부분이 펄라이트 부분이다. 이번 시편은 아공석강으로 실행하였으며 고탄소강의 경우나 탄소와 같은 불순물 입자가 거의 없는 순철과 같은 경우는 조직이 다른게 나타난다.
즉, 순철의 경우 거의 순수한 철의 단일상이 나타날 것이고, 탄소 함유량이 더 많은 재료일 경우 펄라이트의 양이 많아 검은 부분이 더 많이 관찰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500배율에서의 조직 사진
200배율에서의 조직사진
4. 고찰 및 토의
우리는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 주변에서 흔히 건축용 자재로 사용되는 아공석강의 미세 구조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또한 미세구조를 보기 위한 준비과정을 통해 연마작업(polishing)과 마운팅작업(mounting)등을 배워 볼 수 있었다.
최초 시편을 절삭시 절삭날의 파열로 인해 시험자들이 많은 고충을 겪었고 그래서 특히 더 조심스럽게 실험에 임하였다.
절삭된 시편을 연마할 때 무리한 힘을 주거나 힘의 분배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표면이 변형되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본 실험자를 포함한 실험자들이 애를 먹기도 하였다. 연마가 끝난 시편의 부식을 할 경우에도 개개인에 따라 부식의 정도가 달라 현미경 관찰시 각각 다른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본 실험자 역시 실험의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실험한 다음주에 다시 시편을 연마하고 실험을 한차례 더 해 지금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에칭의 경우 과에칭을 방지하기 위해 세차례에 걸쳐 에칭을 실시하기도 했다.
에칭을 하고 나선 물로 바로 세척하고 알콜로 다시 세척후 air pressure로 건조시켰다. 세척이 늦을 경우 과에칭현상으로 사진상 탄것과 같은 검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에 조심스럽게 실험에 임하였다.
우리의 실험에서 사용한 강의 다양한 특성은 최근 여러 새로운 재료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강의 여러 성질들은 강의 미세조직을 조작함으로써 우리가 원하는 강의 성질을 얻을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미세구조의 관찰을 통해 이론상으로 그 동안 배운 여러 가지 재료의 특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실험이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강의 조직과 특성의 관계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며 그 외에도 polishing이나 mounting, 에칭, 실제 광학현미경의 사용법과 같은 책으로는 배울 수 없는 실험을 통해서만 익힐 수 있는 새로운 지식을 경험하게 된 것이 이번 실험의 또 다른 이득이 되었다 할 수 있겠다.
5. 참고 문헌
☞기초 철강 지식(한국 철강신문:1996)- 기초철강지식 편찬위원회
27~30, 34~37 page
☞재료과학과 공학(사이텍 미디어:2000)- William F. Smith 109~112
☞철강 공학(사이텍 미디어사:2004)- 윤종규, 심재동 174~182 page
☞금속재료학(남양문화사)- 박일선 122~125, 148~150 page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1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