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본 론
1) 그림형제
2) 그림형제의 생애
3) 그림형제의 작품
◆ 결 론
◆ 본 론
1) 그림형제
2) 그림형제의 생애
3) 그림형제의 작품
◆ 결 론
본문내용
진실이라고 속삭입니다.
그림형제가 쓴 이백 가지가 넘는 그 이야기 속에서는 이 땅을 떠받치고 있는 온 백성들이 주인공이 되어 수없이 나옵니다.
그림형제의 이야기야말로 가난한 사람들이 설 수 있는 마지막 성새의 하나였던 것이다. 그들은 이 성에 서서 부한 자를 상대로 용감하게 싸워서 언제나 승리를 거두었던 것이다. 어린이들도 또한 그 성을 굳게 지키고 있다. 그것은 어린이들의 본능이다.
◆ 결 론
옛이야기는 민중의 문학이고, 승리의 문학입니다. 민중이라는 것이 꼭 프롤레타리아는 아닙니다. 제가 보기에 옛이야기 속의 민중이란 계급으로 프로레탈리아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힘없고 억눌린 사람들입니다. 어른한테 억눌리는 어린이들, 아무 힘도 없이 이 알 수 없는 무서운 세상에서 혼자 커 나가야 하는 어린이들, 부자한테 억눌리는 가난한 사람들, 남편한테 시달리는 아내, 식구들을 먹여 살려야 하는 아버지, 젊은 사람들한테 미움받는 할아버지 할머니들, 똑똑한 사람들한테 억눌리는 바보들, 큰 나라에 종처럼 살아가는 힘없는 나라들, 이들이 주인공이고 이들이 끝내 승리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바람이지요. 그렇게 될 수 있다는 힘이지요. 우리는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도 이야기의 주인공처럼 씩씩하게 한발한발 걸어 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것이 옛이야기입니다.
권선징악, 이건 케케묵은 옛날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의 문제입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양이나 물을 것 없이 살아 가는데서는 언제어디서나 가장 중요한 것으로 살아 내려온 것입니다. 그래서 옛이야기 속에 가장 깊이 가장 뚜렷하게 남아 있는 것이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한테도 살아갈수록 더욱더 깊이 다가오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동화는 바로 옛이야기 속에서 태어난 것이기 때문에 옛이야기의 민중성, 그리고 승리의 구조를 닮지 않는다면 동화라고 할 수 없습니다. 옛이야기는 우리가 바라는 것, 이 세계가 나아갈 곳이고 우리가 버리면 안되는 목숨이고 우리의 영혼입니다. 그래서 민담과 신화, 시와 동화들이 한데 섞여 꿈틀거리던 초기 동화의 시대에 노발리스는 동화에 환상을 무대로 한 것은 모두 집어 넣으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동화는 생의 감정을 고양시키거나 자연, 사회 가운데의 생을 올바르게 평가하며 세상을 제대로 보게 되는 동화를 보며 어떻게 살아가고 배울지에 대한 힘을 얻습니다
* 참고 문헌
그림형제 생애와 동화 문학세계 이성훈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그림형제가 쓴 이백 가지가 넘는 그 이야기 속에서는 이 땅을 떠받치고 있는 온 백성들이 주인공이 되어 수없이 나옵니다.
그림형제의 이야기야말로 가난한 사람들이 설 수 있는 마지막 성새의 하나였던 것이다. 그들은 이 성에 서서 부한 자를 상대로 용감하게 싸워서 언제나 승리를 거두었던 것이다. 어린이들도 또한 그 성을 굳게 지키고 있다. 그것은 어린이들의 본능이다.
◆ 결 론
옛이야기는 민중의 문학이고, 승리의 문학입니다. 민중이라는 것이 꼭 프롤레타리아는 아닙니다. 제가 보기에 옛이야기 속의 민중이란 계급으로 프로레탈리아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힘없고 억눌린 사람들입니다. 어른한테 억눌리는 어린이들, 아무 힘도 없이 이 알 수 없는 무서운 세상에서 혼자 커 나가야 하는 어린이들, 부자한테 억눌리는 가난한 사람들, 남편한테 시달리는 아내, 식구들을 먹여 살려야 하는 아버지, 젊은 사람들한테 미움받는 할아버지 할머니들, 똑똑한 사람들한테 억눌리는 바보들, 큰 나라에 종처럼 살아가는 힘없는 나라들, 이들이 주인공이고 이들이 끝내 승리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바람이지요. 그렇게 될 수 있다는 힘이지요. 우리는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도 이야기의 주인공처럼 씩씩하게 한발한발 걸어 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것이 옛이야기입니다.
권선징악, 이건 케케묵은 옛날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의 문제입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양이나 물을 것 없이 살아 가는데서는 언제어디서나 가장 중요한 것으로 살아 내려온 것입니다. 그래서 옛이야기 속에 가장 깊이 가장 뚜렷하게 남아 있는 것이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한테도 살아갈수록 더욱더 깊이 다가오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동화는 바로 옛이야기 속에서 태어난 것이기 때문에 옛이야기의 민중성, 그리고 승리의 구조를 닮지 않는다면 동화라고 할 수 없습니다. 옛이야기는 우리가 바라는 것, 이 세계가 나아갈 곳이고 우리가 버리면 안되는 목숨이고 우리의 영혼입니다. 그래서 민담과 신화, 시와 동화들이 한데 섞여 꿈틀거리던 초기 동화의 시대에 노발리스는 동화에 환상을 무대로 한 것은 모두 집어 넣으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동화는 생의 감정을 고양시키거나 자연, 사회 가운데의 생을 올바르게 평가하며 세상을 제대로 보게 되는 동화를 보며 어떻게 살아가고 배울지에 대한 힘을 얻습니다
* 참고 문헌
그림형제 생애와 동화 문학세계 이성훈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해치와 괴물 4형제
[이중섭][이중섭의 창작 기법][이중섭의 작품 소개][이중섭에 대한 평가]이중섭의 생애, 이중...
[연암 박지원][일야구도하기][방경각외전][허생전]연암 박지원의 생애, 연암 박지원의 사상과...
문학적 접근법 활동계획안) 동화 '999마리 개구리 형제 이사'
허균, 시대의 문제에 대해 홍길동전으로 답하다 -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
[복음비평사] 복음비평사의 과도기 - 바이세Christian (마가복음 우월성, 두 문서설, 결론),...
[마틴 루터 킹과 민권 운동]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 생애, 몽고메리 운동, 버...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 ...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유아발달의 영향요인] 부모의 양육태도, 형제관계, 또래관계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기 가족관계] 청소년 자녀와 부모관계, 청소년기 형제자매관계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