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부부속의 재혼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혼부부속의 재혼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Ⅰ. 문제 제기

· 본 론
Ⅱ. 재혼가족의 개념과 특성
1. 재혼가족의 개념
2. 재혼가족의 유형
3. 재혼 증가의 원인
4. 재혼가족의 구조적 특성
5. 재혼가족의 문제점

III. 재혼모의 역할과 그의 문제점
1. 재혼모의 역할 기능
2. 재혼모의 역할기능과 관련된 요인
3. 재혼모가 경험하는 가정생활의 문제


· 결 론

본문내용

부, 전처가 남편의 자녀들을 데리고 사는가 여부 등이다.
< 표5 > 남편의 전처관련요인과 역할긴장간의 Peason's r
변 인
전처 생존여부
전처 재혼여부
전처의 양육권행사여부
역할긴장
-.07
-.10
-.03
위의 <표5>에 드러나듯이 전처와 관련된 3개의 변인중 그 어느 것도 재혼모의 역할긴장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재혼모가 가정생활영역에서 전처와 관련되어서는 거의 문제로 인식하지 않는 것과 일관된 결과로서 전처관계가 재혼생활의 질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서구사회와는 매우 다른 현상이다. 이것은 부부가 이혼한 뒤에는 거의 관계가 단절되는 우리 사회의 문화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3. 재혼모가 경험하는 가정생활의 문제
재혼모가 느끼는 가정생활 영역별 문제의식의 정도를 1에서 10점의 척도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다.
재혼모가 경험하는 가정생활별 문제의식의 정도
문 제 영 역
영역별평균점수(표준편차)
전처자녀의 양육과 교육
전처자녀들과의 의사소통
자녀양육과 교육에 대한 남편의 간섭
나와 전처자녀들과의 갈등
전처자녀에 대한 남편의 편애
남편과 전처와의 관계
전처자녀들과 전처와의 관계
전남편과 나사이의 자녀와 남편의 갈등
이복, 이붓형제들간의 갈등
계모에 대한 주의의 부정적 시선
나에 대한 주위의 지나친 기대
자녀양육과 교육에 대한 시댁의 간섭
경제적 문제
5.5 (3.5)
5.3 (3.1)
4.2 (2.7)
5.0 (3.1)
4.5 (2.7)
2.3 (2.3)
3.2 (2.9)
3.9 (2.3)
3.2 (2.4)
3.3 (2.4)
3.8 (2.5)
3.8 (2.9)
5.1 (3.2)
전체문항합산평균
4.1 ( .9)
조사결과 영역을 모두 합산하여 평균점수를 산출한 결과 4.1로 중간 5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비교적 문제의식을 크게 느끼지 않는 쪽으로 기우러진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5.0을 넘어 문제로 인식하는 쪽으로 기우러진 영역은 ‘전처자녀의 양육과 교육’, ‘전처자녀들과의 의사소통’, ‘전처자녀들과의 갈등’ 등 주로 전처자녀와 관련되어 있어서 계모로서의 역할이 가장 어려운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자녀양육에 대한 남편의 간섭, 전처자녀에 대한 남편의 편애도 우선순위에서는 상위에 위치하고 있어 역시 계자녀문제가 재혼모에게는 다른 무엇보다도 문제로 느끼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외에 ‘경제적 문제’도 5.1로 집계되어 다소간 문제로 여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시댁의 간섭, 이복이붓형제간의 갈등, 주의의 부정적 시선 등은 그다지 문제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재혼생활에 전처가 거의 방해가 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은 이혼후에는 전처와의 관계가 거의 단절되는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이해된다.
Ⅳ. 결 론
재혼가정이 엄연한 가족유형중의 하나로 존재하고 그 숫자가 현저히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에 관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은 매우 저조한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그 결과 검증 안된 사회적 통념과 편견만이 난무하고, 재혼가족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사실적 규명과 이에 대한 적절한 사회복지적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저희 조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재혼가정에 대한 경험조사를 실시하여 재혼가정, 특히 재혼모의 역할기능의 어려움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고, 또한 재혼가족의 특성과 재혼모가 인식하는 재혼생활의 문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이혼후 재혼’이 새로운 가족문화로 정착하고 있으며, 여성의 재혼이 더 이상 사회적 금기가 아님이 확인되었다. 결혼만족도도 높게 나와서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나 일반적 인식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결혼생활별 문제인식도도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계자녀와 관련된 영역들은 문제인식도가 높아 기존연구들과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재혼모의 역할기능은 ‘조금’ 어려운 정도로 드러났으며 초혼일수록, 결혼에 불만족할 수록, 시댁과의 관계가 힘들수록, 계자녀와 갈등관계일수록 역할수행이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재혼가족이 증가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무엇보다 재혼가족, 그중에서도 재혼모에 대한 진지한 사회적 관심의 재고와 수용적이며 지지적인 태도로의 변화가 요망된다. 특히 계모는 아직까지 부정적인 사회문화적 선입견이나 편견이 가장 많은 가족이며, 동시에 우리 사회에서 여러 재혼가족의 유형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이 큰 현실을 감안 할 때 계모에 대한 편견, 선입견을 불식하며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계모 및 계모가족에 대해 보다 열린 마음으로 인정하고 지지해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참 고 문 헌 】
동아일보(1996년 5월15일), “아내 재혼 - 남편 초혼 16%” 가정법률상담소.
________(1997년 1월31일), “40대 이상 중년남녀 『혼자되면 재혼하겠다』50%넘어”.
임춘희(1996), “재혼가족내 계모의 스트레스와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전춘애유계숙천혜정(1998), 「재혼가족에 대한 실태연구」,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개소5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pp. 3-66.
통계청(1996), 「인구동태동계연보」
통계청(1998), 「통계로 보는 여성」
한국여성개발원(1997), 「여성통계연보 1997」, 서울.
hhttp://www.goodwelfare.net/
http://www.kwf-daegu.or.kr/
http://www.holtdaegu.or.kr/
통계청 http://www.nso.go.kr
혜림원 http://www.haerimwon.or.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
대구 여성의 전화 http://www.dwhotline.or.kr/index.html
여성부 http://www.moge.go.kr/
경북여성정책개발원 http://www.forwoman.or.kr/
삼성여성의 쉼터 http://www.woman1366.or.kr/
여성신문 http://www.womannews.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10.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