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1
✻ 항생제(抗生劑, antibiotics)
✻ 항생제의 기원
❂ 본 론 ........................................... 2 ~ 11
1. 항생제의 종류 ........................................... 2 ~ 5
1) Penicillin계열 항생제
2) Monobactam계열 항생제
3) Carbapenem계열 항생제
4) Cephalosporin계열 항생제
5) Aminoglycoside계열 항생제
6) Macrolide계열 항생제
7) Quinolone계열 항생제
8) Tetracyclines계열 항생제
9) Glycopeptide계열 항생제
10) 기타 항생제
․ Chloramphenicol 항생제
․ polypeptide 항생제
2. 항생제의 작용기전 ....................................... 6
① 세포벽 합성 억제작용
② 단백질 합성 억제작용 및 장애
③ 세포막 변성작용
④ 핵산합성 저해
⑤ 대사물질 유사저해제
⑥ 그 밖의 작용기전이 있다.
3. 항생제의 부작용 및 내성균 등장 ........................................................... 6
① 내성균의 등장
② 슈퍼박테리아
③ 세균의 항생제에 한 작용기전
④ 항생제의 부작용
✻ 천연항생제 프로폴리스 .................................. 6 ~ 11
◈ 주요 효능 ..................................................... 6
◈ 복용방법 ............................................................... 6
◈ 프로폴리스 개요 ............................................................... 7
◈ [프로폴리스의 효능 - 자연이 주는 최고의 항생제] .......... 7 ~ 11
* 항균, 항염증작용
* 진통마취작용
* 면역작용
* 항산화작용
* 항바이러스 작용
* 항암작용
❂ 결 론 ................................................... 12
❂ 참고문헌 .............................................. 13
✻ 항생제(抗生劑, antibiotics)
✻ 항생제의 기원
❂ 본 론 ........................................... 2 ~ 11
1. 항생제의 종류 ........................................... 2 ~ 5
1) Penicillin계열 항생제
2) Monobactam계열 항생제
3) Carbapenem계열 항생제
4) Cephalosporin계열 항생제
5) Aminoglycoside계열 항생제
6) Macrolide계열 항생제
7) Quinolone계열 항생제
8) Tetracyclines계열 항생제
9) Glycopeptide계열 항생제
10) 기타 항생제
․ Chloramphenicol 항생제
․ polypeptide 항생제
2. 항생제의 작용기전 ....................................... 6
① 세포벽 합성 억제작용
② 단백질 합성 억제작용 및 장애
③ 세포막 변성작용
④ 핵산합성 저해
⑤ 대사물질 유사저해제
⑥ 그 밖의 작용기전이 있다.
3. 항생제의 부작용 및 내성균 등장 ........................................................... 6
① 내성균의 등장
② 슈퍼박테리아
③ 세균의 항생제에 한 작용기전
④ 항생제의 부작용
✻ 천연항생제 프로폴리스 .................................. 6 ~ 11
◈ 주요 효능 ..................................................... 6
◈ 복용방법 ............................................................... 6
◈ 프로폴리스 개요 ............................................................... 7
◈ [프로폴리스의 효능 - 자연이 주는 최고의 항생제] .......... 7 ~ 11
* 항균, 항염증작용
* 진통마취작용
* 면역작용
* 항산화작용
* 항바이러스 작용
* 항암작용
❂ 결 론 ................................................... 12
❂ 참고문헌 .............................................. 13
본문내용
용하시기를 권한다. 호전반응에 문제가 없으면 필요에 따라 체중 kg수의 1~2배 방울까지 마시는 경우도 있다. (예: 체중 50kg이면 1회 50~100방울을 1일 수회까지)
보통 미지근한 물에 프로폴리스 몇 방울을 떨어뜨려 마시면 된다. 물 대신에 우유나 주스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유아나 어린이를 위해 먹기 좋게 꿀을 넣어도 좋다.
치유 목적으로 음용할 경우 환자의 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3~4일에 걸쳐 점진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보통의 치유에서는 2~3주간을 경과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에는 치유를 중지하고 다른 치유법을 검토한다. 프로폴리스는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기간이 경과해서 효과가 나타나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프로폴리스의 경우 부작용이 없으므로 조금씩 양을 늘리는 경우 아무런 이상이 없다. 다만 임산부의 경우 혹시나 해서 임신 중에는 피할 것을 권하고, 수유 중에는 마셔도 괜찮다. 위염이 있는 분들은 처음 마셨을 경우 몹시 배가 아픈 경우도 있다. 헐어있는 위벽에 강한 천연항생물질이 들어가 위벽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주의할 점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한다. 화상, 칼로 벤 상처, 벌레에 물린 상처에는 직접 피부에 바르고, 심한 전신의 화상에도 대부분의 경우 흔적이 남지 않고 깨끗이 치유된다. 증상에 따라 1일 수회씩 몇일~10일 정도 계속 한다 (바르는 경우 호전반응의 유무는 작은 부분에 시험해 본다.)
프로폴리스를 음용하시는 동안 염분을 많이 섭취하면 프로폴리스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폴리스의 용도를 제한하면 프로폴리스의 부작용은 거의 없다. 다만 과민성 체질의 사람인 경우에는 일정한 예방책이 필요하다. 그러한 사람들은 이러한 제품들의 흡입(吸入)을 반드시 피해야 한다. 피부알레르기로 고통 받는 사람들은 이러한 조제품들의 국소(局所)사용을 피해야 한다.
프로폴리스는 주의깊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최초 사용할 때에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서 그러해야 한다.
그러므로 어떤 종류의 처치라도 시작하기 전에 잠자리에 들기 전의 소량 사용으로 시험하여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날 아침에 아무런 표시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정규적인 정도의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실제로 다만 일회 사용량을 매우 높인데다 환자의 민감성 때문에 경미한 구강염증이나 설사 같은 내장의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사용을 중지하면 그것들은 별 문제없이 해결된다.
이러한 대단치 않은 부수적인 영향들이라는 예외 이외에 프로폴리스는 아무런 부작용이나 부적응성이 없다. 화분, 로열젤리, 꿀 그리고 다른 벌통 생산품들과 함께 오늘날의 자연치료제 목록에 하나의 산물(産物)로 추천되는 사실은 아무런 부적응성이 없다는 뜻이다.
프로폴리스는 독성이 없고 해롭지 않으며 내약성이 완전하며 각자 사람의 필요에 맞추어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다른 약제나 결합된 치료제와 맞지 않거나 (약성의)수명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등 완전한 자연물질이다.
결 론
항생제는 미생물을 죽이거나 억제해서 자신을 보호하는 물질을 말하는데 사람들의 병을 고치기 위해 항생제를 찾고 계발하기 시작하였다.
여러 종류의 항생제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내성균의 등장, 슈퍼박테리아, 세균의 항생제에 한 작용기전 등 항생제의 부작용이 나타났다. 부작용이 없는 항생제를 개발하기 위해 학자들은 노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미생물이 아닌 동식물 유래의 항생제를 계발하는 것이다. 천연 항생제인 것이다. 특히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나무에서 채취하는 천연 수지를 재료로 한다. 채취된 수지에 꿀벌이 가진 특수 물질을 배합하여 만들어지며, 이 성분이 벌집을 각종 병균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해 준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식물의 면역 체계에 필수적인 천연물질로서 항균, 항바이러스 소염, 항종양, 노화방지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연구 결과 밝혀졌다. 또한 최신 연구에 의하면, 프로폴리스는 인간의 면역체계와 신체의 건강 유지에도 큰 효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의학적으로도 프로폴리스가 상부 호흡기 질환 및 기관지염, 감기, 후두염, 인후염, 독감 등의 각종 질병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로폴리스는 또한 알코올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능을 가졌으며, 목이 아플 경우나 입안의 상처 등에는 강력한 마취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치석 및 잇몸 질환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프로폴리스와 같은 천연 항생제들은 더욱더 많이 개발 될 것이고 모든 질병을 치료, 예방 할 수는 없겠지만 되도록 거기에 근접하기 위해 학자들은 노력할 것이고 또 질병없는 세상에 근접해 질 것이다.
참고문헌
스튜어트 B.레비,The Antibiotic Paradox(Plenum,1992). 남두현 옮김, 항생물질이야기
(서울:전파과학사, 1995)
http://bric.postech.ac.kr
http://khmc.or.kr
http://my.dreamwiz.com
http://www.hankooki.co.kr/sed_news/200110/e200110301814363G510.htm
http://www.buddhapia.co.kr/mem/hyundae/auto/newspaper/229/w-6.htm
http://www.edunet4u.net/~youth/yt/yt12064.htm
http://100.empas.com/entry.html/?i=748790&Ad=sungshi
http://pharm.hallym.ac.kr/lecture/Antibiotics.basic.ptt
http://blog.naver.com/wpsi22/90003531312
http://www.mediver.com/bbs/view.php?id=health&no=124
http://blog.daum.net/tts1950/4770823
http://chemistry.sogang.ac.kr/stone/db/stonefamily/file/항생물질.hwp
http://blog.naver.com/kid5302/17216784
보통 미지근한 물에 프로폴리스 몇 방울을 떨어뜨려 마시면 된다. 물 대신에 우유나 주스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유아나 어린이를 위해 먹기 좋게 꿀을 넣어도 좋다.
치유 목적으로 음용할 경우 환자의 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3~4일에 걸쳐 점진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보통의 치유에서는 2~3주간을 경과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에는 치유를 중지하고 다른 치유법을 검토한다. 프로폴리스는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기간이 경과해서 효과가 나타나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프로폴리스의 경우 부작용이 없으므로 조금씩 양을 늘리는 경우 아무런 이상이 없다. 다만 임산부의 경우 혹시나 해서 임신 중에는 피할 것을 권하고, 수유 중에는 마셔도 괜찮다. 위염이 있는 분들은 처음 마셨을 경우 몹시 배가 아픈 경우도 있다. 헐어있는 위벽에 강한 천연항생물질이 들어가 위벽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주의할 점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한다. 화상, 칼로 벤 상처, 벌레에 물린 상처에는 직접 피부에 바르고, 심한 전신의 화상에도 대부분의 경우 흔적이 남지 않고 깨끗이 치유된다. 증상에 따라 1일 수회씩 몇일~10일 정도 계속 한다 (바르는 경우 호전반응의 유무는 작은 부분에 시험해 본다.)
프로폴리스를 음용하시는 동안 염분을 많이 섭취하면 프로폴리스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폴리스의 용도를 제한하면 프로폴리스의 부작용은 거의 없다. 다만 과민성 체질의 사람인 경우에는 일정한 예방책이 필요하다. 그러한 사람들은 이러한 제품들의 흡입(吸入)을 반드시 피해야 한다. 피부알레르기로 고통 받는 사람들은 이러한 조제품들의 국소(局所)사용을 피해야 한다.
프로폴리스는 주의깊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최초 사용할 때에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서 그러해야 한다.
그러므로 어떤 종류의 처치라도 시작하기 전에 잠자리에 들기 전의 소량 사용으로 시험하여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날 아침에 아무런 표시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정규적인 정도의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실제로 다만 일회 사용량을 매우 높인데다 환자의 민감성 때문에 경미한 구강염증이나 설사 같은 내장의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사용을 중지하면 그것들은 별 문제없이 해결된다.
이러한 대단치 않은 부수적인 영향들이라는 예외 이외에 프로폴리스는 아무런 부작용이나 부적응성이 없다. 화분, 로열젤리, 꿀 그리고 다른 벌통 생산품들과 함께 오늘날의 자연치료제 목록에 하나의 산물(産物)로 추천되는 사실은 아무런 부적응성이 없다는 뜻이다.
프로폴리스는 독성이 없고 해롭지 않으며 내약성이 완전하며 각자 사람의 필요에 맞추어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다른 약제나 결합된 치료제와 맞지 않거나 (약성의)수명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등 완전한 자연물질이다.
결 론
항생제는 미생물을 죽이거나 억제해서 자신을 보호하는 물질을 말하는데 사람들의 병을 고치기 위해 항생제를 찾고 계발하기 시작하였다.
여러 종류의 항생제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내성균의 등장, 슈퍼박테리아, 세균의 항생제에 한 작용기전 등 항생제의 부작용이 나타났다. 부작용이 없는 항생제를 개발하기 위해 학자들은 노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미생물이 아닌 동식물 유래의 항생제를 계발하는 것이다. 천연 항생제인 것이다. 특히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나무에서 채취하는 천연 수지를 재료로 한다. 채취된 수지에 꿀벌이 가진 특수 물질을 배합하여 만들어지며, 이 성분이 벌집을 각종 병균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해 준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식물의 면역 체계에 필수적인 천연물질로서 항균, 항바이러스 소염, 항종양, 노화방지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연구 결과 밝혀졌다. 또한 최신 연구에 의하면, 프로폴리스는 인간의 면역체계와 신체의 건강 유지에도 큰 효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의학적으로도 프로폴리스가 상부 호흡기 질환 및 기관지염, 감기, 후두염, 인후염, 독감 등의 각종 질병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로폴리스는 또한 알코올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능을 가졌으며, 목이 아플 경우나 입안의 상처 등에는 강력한 마취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치석 및 잇몸 질환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프로폴리스와 같은 천연 항생제들은 더욱더 많이 개발 될 것이고 모든 질병을 치료, 예방 할 수는 없겠지만 되도록 거기에 근접하기 위해 학자들은 노력할 것이고 또 질병없는 세상에 근접해 질 것이다.
참고문헌
스튜어트 B.레비,The Antibiotic Paradox(Plenum,1992). 남두현 옮김, 항생물질이야기
(서울:전파과학사, 1995)
http://bric.postech.ac.kr
http://khmc.or.kr
http://my.dreamwiz.com
http://www.hankooki.co.kr/sed_news/200110/e200110301814363G510.htm
http://www.buddhapia.co.kr/mem/hyundae/auto/newspaper/229/w-6.htm
http://www.edunet4u.net/~youth/yt/yt12064.htm
http://100.empas.com/entry.html/?i=748790&Ad=sungshi
http://pharm.hallym.ac.kr/lecture/Antibiotics.basic.ptt
http://blog.naver.com/wpsi22/90003531312
http://www.mediver.com/bbs/view.php?id=health&no=124
http://blog.daum.net/tts1950/4770823
http://chemistry.sogang.ac.kr/stone/db/stonefamily/file/항생물질.hwp
http://blog.naver.com/kid5302/17216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