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11
1
0
1
1
0
1
0
0
12
1
1
0
0
0
0
1
1
13
1
1
0
1
0
0
1
0
14
1
1
1
0
0
0
0
1
15
1
1
1
1
0
0
0
0
16
0
0
0
0
1
1
1
1
17
0
0
0
1
1
1
1
0
표 15-2 동기식 카운터 출력상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4 클록 펄스 (
C_P
) 100[㎑]에 대한 출력 파형
(3)그림 15-9의 리플 캐리 카운터 실험회로를 결선하고 다음 순서에 따라 실험하여라.
1)로직 펄서(싱글 펄서) 1을 순간적으로 눌렀다 놓는다(접지시켰다 +5[V]로 연결 또는 개방시켜도 무방 함) 다음 출력 A, B, C, D가 모두 0이 되는지 확인한다.
2)로직 펄서 2 즉 클록 펄스를 인가하여 표 15-3을 완성하여라.
클록펄스 인가수
D
C
B
A
클리어(CLR)
0
0
0
0
1
0
0
0
1
2
0
0
1
0
3
0
0
1
1
4
0
1
0
0
5
0
1
0
1
6
0
1
1
0
7
0
1
1
1
8
1
0
0
0
9
1
0
0
1
10
1
0
1
0
11
1
0
1
1
12
1
1
0
0
13
1
1
0
1
표 15-3 리플 캐리 카운터 출력상태
14
1
1
1
0
15
1
1
1
1
16
0
0
0
0
17
0
0
0
1
그림 15-9 리플 캐리 카운터 실험회로
3)그림 15-9의 실험회로에서 로직 펄서 대신 CK 단자에 구형파 발진기 3을 접속하고 발진기의 출력을 5[
V_P-P
]가 한 후 1[㎑]와 100[㎑]에 대하여 2현상 오실로스코프로 각 부분의 파형을 비교 관측하여 Graph 15-5와 Graph 15-6을 완성하여라. 100[㎑]의 경우는 각 파형 간에 시간의 지연을 면밀히 관찰 할 것이며 가능하면 200[㎑] 이상의 주파수에 대해서도 실험하여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5 클록 펄스 (
C_P
) 1[㎑]에 대한 출력 파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6 클록 펄스 (
C_P
) 100[㎑]에 대한 출력 파형
(4)그림 15-10의 동기식 Modulus 5 카운터 실험회로를 결선하고 다음 순서에 따라 실험하여라.
1)로직 펄서(싱글 펄서) 1을 순간적으로 눌렀다 놓는다(접지시켰다 +5[V]로 연결 또는 개방시켜도 무방함) 다음 출력 A, B, C, D가 모두 0이 되는지 확인한다.
2)로직 펄서 2 즉 클록 펄스를 인가하여 표 15-4를 완성하여라.
클록 펄스 인가 수
C
B
A
클리어(CLR)
0
0
0
1
0
0
1
2
0
1
0
3
0
1
1
4
1
0
0
5
0
0
0
표 15-4 동기식 Mod 5 카운터 출력상태
그림 15-10 동기식 Modulus 5 카운터 실험회로
3)그림 15-10의 실험회로에서 로직 펄서 대신 CK 단자에 구형파 발진기 3을 접속하고 발진기의 출력을 5[
V_P-P
]가 한 후 1[㎑]와 100[㎑]에 대하여 2현상 오실로스코프로 각 부분의 파형을 비교 관측하여 Graph 15-7과 Graph 15-8을 완성하여라. 100[㎑]의 경우는 각 파형 간에 시간의 지연을 면밀히 관찰할 것이며 가능하면 200[㎑] 이상의 주파수에 대해서도 실험하여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7 클록 펄스 (
C_P
) 1[㎑]에 대한 출력 파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8 클록 펄스 (
C_P
) 100[㎑]에 대한 출력 파형
11
1
0
1
1
0
1
0
0
12
1
1
0
0
0
0
1
1
13
1
1
0
1
0
0
1
0
14
1
1
1
0
0
0
0
1
15
1
1
1
1
0
0
0
0
16
0
0
0
0
1
1
1
1
17
0
0
0
1
1
1
1
0
표 15-2 동기식 카운터 출력상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4 클록 펄스 (
C_P
) 100[㎑]에 대한 출력 파형
(3)그림 15-9의 리플 캐리 카운터 실험회로를 결선하고 다음 순서에 따라 실험하여라.
1)로직 펄서(싱글 펄서) 1을 순간적으로 눌렀다 놓는다(접지시켰다 +5[V]로 연결 또는 개방시켜도 무방 함) 다음 출력 A, B, C, D가 모두 0이 되는지 확인한다.
2)로직 펄서 2 즉 클록 펄스를 인가하여 표 15-3을 완성하여라.
클록펄스 인가수
D
C
B
A
클리어(CLR)
0
0
0
0
1
0
0
0
1
2
0
0
1
0
3
0
0
1
1
4
0
1
0
0
5
0
1
0
1
6
0
1
1
0
7
0
1
1
1
8
1
0
0
0
9
1
0
0
1
10
1
0
1
0
11
1
0
1
1
12
1
1
0
0
13
1
1
0
1
표 15-3 리플 캐리 카운터 출력상태
14
1
1
1
0
15
1
1
1
1
16
0
0
0
0
17
0
0
0
1
그림 15-9 리플 캐리 카운터 실험회로
3)그림 15-9의 실험회로에서 로직 펄서 대신 CK 단자에 구형파 발진기 3을 접속하고 발진기의 출력을 5[
V_P-P
]가 한 후 1[㎑]와 100[㎑]에 대하여 2현상 오실로스코프로 각 부분의 파형을 비교 관측하여 Graph 15-5와 Graph 15-6을 완성하여라. 100[㎑]의 경우는 각 파형 간에 시간의 지연을 면밀히 관찰 할 것이며 가능하면 200[㎑] 이상의 주파수에 대해서도 실험하여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5 클록 펄스 (
C_P
) 1[㎑]에 대한 출력 파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6 클록 펄스 (
C_P
) 100[㎑]에 대한 출력 파형
(4)그림 15-10의 동기식 Modulus 5 카운터 실험회로를 결선하고 다음 순서에 따라 실험하여라.
1)로직 펄서(싱글 펄서) 1을 순간적으로 눌렀다 놓는다(접지시켰다 +5[V]로 연결 또는 개방시켜도 무방함) 다음 출력 A, B, C, D가 모두 0이 되는지 확인한다.
2)로직 펄서 2 즉 클록 펄스를 인가하여 표 15-4를 완성하여라.
클록 펄스 인가 수
C
B
A
클리어(CLR)
0
0
0
1
0
0
1
2
0
1
0
3
0
1
1
4
1
0
0
5
0
0
0
표 15-4 동기식 Mod 5 카운터 출력상태
그림 15-10 동기식 Modulus 5 카운터 실험회로
3)그림 15-10의 실험회로에서 로직 펄서 대신 CK 단자에 구형파 발진기 3을 접속하고 발진기의 출력을 5[
V_P-P
]가 한 후 1[㎑]와 100[㎑]에 대하여 2현상 오실로스코프로 각 부분의 파형을 비교 관측하여 Graph 15-7과 Graph 15-8을 완성하여라. 100[㎑]의 경우는 각 파형 간에 시간의 지연을 면밀히 관찰할 것이며 가능하면 200[㎑] 이상의 주파수에 대해서도 실험하여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7 클록 펄스 (
C_P
) 1[㎑]에 대한 출력 파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raph 15-8 클록 펄스 (
C_P
) 100[㎑]에 대한 출력 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