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전압과 똑같다는 것을 증명하였따. 유도에 따라 노턴의 정리는 다음과 같다.
VL = IN ( RN ∥ RL )
즉, 부하전압은 노턴 전류에 부하저항과 노턴 저항의 병렬을 곱한 값이다. 앞에서 노턴 저항과 테브닌 저항이 같다고 하였다. 그러나 저항의 위치가 다르다. 즉, 테브닌 저항은 전압원과 항상 직렬이고, 노턴 저항은 전류원과 항상 병렬이다.
- 유 도
쌍대성 원리로부터 노턴의 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전기회로 해석에서 어떤 정리는 본래의 양을 쌍대량으로 치환하면 쌍대정리가 된다.
2. 실 험 절 차
1. 전압측정
목적 : 회로의 전압과 저항값을 바꾸어 테브닌 전압을 직접 구해보고 이론값과 비교하 여 본다.
같은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저항과 전원을 사용한다. 다음과 같은 회로를 구성한라.
A. 전원전압이 정확히 10V가 되도록 조절한다. RA와 RB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라. 만약 계측기가 정확한 값을 준다면 이 두 전압의 합은 정확히 10V가 되어야 한다. RA = RB 이므로 측정된 전압의 값은 같아야 한다. 만약 같지 않다면 평균값이 얼 마인지 기록하라.
Ra(V) = 5V, Rb(V) = 5V
B. 1㏁ 저항들을 모두 100㏀ 저항들로 바꾼다. 이번에도 전원전압이 정확히 10V가 되도 록 조절한 후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라. 만약 서로 같지 않다면, 평균값을 기록하라. 10㏀ 저항들을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하라.
Ra(V) = 5V, Rb(V) = 5V
B-1. 10㏀ 저항들을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하라.
Ra(V) = 5V, Rb(V) = 5V
2. 전류측정
목적 : 노튼회로를 구성하여 보고 측정해본 후 이론값과 비교하여 본다.
다음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라.
+
10V
-
A. 전원의 전압이 정확히 10V가 되도록 조절한다. 측정할 수 있는 최대전류를 2mA로 multimeter를 설정해 놓고 회로의 1이라고 표시된 곳에 흐르는 전류(I1)를 측정하 라. 계속해서 2, 3점에 흐르는 전류(I2, I3)를 측정하라. 만약 두 100Ω저항의 크기 가 정확하게 같다면 I2, I3는 같아야 한다. multimeter가 없이 회로를 이론적으로 회로를 살펴보면 I1은 I2에 I3를 합한 값이어야 한다. 그러나 multimeter의 내부저 항 rm 때문에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전류를 20mA로 multimeter를 설정해 놓고 위 실험을 반복하라
3. 등가회로
목적 : 등가회로에서의 테브닌 /노튼 전압 및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회로를 구성하여 전압과 저항값을 달리하여 측정해본다.
1/4W 짜리 저항 4개( 1 ㏀ 에서 10 ㏀ 사이 )를 골라서 각각 R1, R2, R3, R4라 하고, multimeter를 사용하여 각 저항값을 측정하라. 다음과 같은 회로를 구성한 다.
+
-
10V
그림 5.11
전원전압을 10V로 한다. 두 단자 a와 b사이의 전압 Vab를 측정하고 이론치와 비교분석 하라. multimeter에 흐르는 전류 I는 VAB/RM이 될것이다. 그림 5,12와 같이 multimeter 에 병렬로 dexade resistance box를 연결한다.
그림 5.12
저항을 여러단계로 변화시키면서 전압과 저항값을 기록하여 표를 만들어라. 6 내지 7번 정도 저항을 변화시키면 충분할 것이나, 얻은 전압값이 multimeter만 회로에 부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값과 0사이에 어느정도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전원을 제거하고 그 부분의 회로를 단락시킨다(short-circuit). decade resistance box도 제거하고 단자 a와 b 사이의 저항을 multimeter로 측정하라.
VL = IN ( RN ∥ RL )
즉, 부하전압은 노턴 전류에 부하저항과 노턴 저항의 병렬을 곱한 값이다. 앞에서 노턴 저항과 테브닌 저항이 같다고 하였다. 그러나 저항의 위치가 다르다. 즉, 테브닌 저항은 전압원과 항상 직렬이고, 노턴 저항은 전류원과 항상 병렬이다.
- 유 도
쌍대성 원리로부터 노턴의 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전기회로 해석에서 어떤 정리는 본래의 양을 쌍대량으로 치환하면 쌍대정리가 된다.
2. 실 험 절 차
1. 전압측정
목적 : 회로의 전압과 저항값을 바꾸어 테브닌 전압을 직접 구해보고 이론값과 비교하 여 본다.
같은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저항과 전원을 사용한다. 다음과 같은 회로를 구성한라.
A. 전원전압이 정확히 10V가 되도록 조절한다. RA와 RB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라. 만약 계측기가 정확한 값을 준다면 이 두 전압의 합은 정확히 10V가 되어야 한다. RA = RB 이므로 측정된 전압의 값은 같아야 한다. 만약 같지 않다면 평균값이 얼 마인지 기록하라.
Ra(V) = 5V, Rb(V) = 5V
B. 1㏁ 저항들을 모두 100㏀ 저항들로 바꾼다. 이번에도 전원전압이 정확히 10V가 되도 록 조절한 후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라. 만약 서로 같지 않다면, 평균값을 기록하라. 10㏀ 저항들을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하라.
Ra(V) = 5V, Rb(V) = 5V
B-1. 10㏀ 저항들을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하라.
Ra(V) = 5V, Rb(V) = 5V
2. 전류측정
목적 : 노튼회로를 구성하여 보고 측정해본 후 이론값과 비교하여 본다.
다음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라.
+
10V
-
A. 전원의 전압이 정확히 10V가 되도록 조절한다. 측정할 수 있는 최대전류를 2mA로 multimeter를 설정해 놓고 회로의 1이라고 표시된 곳에 흐르는 전류(I1)를 측정하 라. 계속해서 2, 3점에 흐르는 전류(I2, I3)를 측정하라. 만약 두 100Ω저항의 크기 가 정확하게 같다면 I2, I3는 같아야 한다. multimeter가 없이 회로를 이론적으로 회로를 살펴보면 I1은 I2에 I3를 합한 값이어야 한다. 그러나 multimeter의 내부저 항 rm 때문에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전류를 20mA로 multimeter를 설정해 놓고 위 실험을 반복하라
3. 등가회로
목적 : 등가회로에서의 테브닌 /노튼 전압 및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회로를 구성하여 전압과 저항값을 달리하여 측정해본다.
1/4W 짜리 저항 4개( 1 ㏀ 에서 10 ㏀ 사이 )를 골라서 각각 R1, R2, R3, R4라 하고, multimeter를 사용하여 각 저항값을 측정하라. 다음과 같은 회로를 구성한 다.
+
-
10V
그림 5.11
전원전압을 10V로 한다. 두 단자 a와 b사이의 전압 Vab를 측정하고 이론치와 비교분석 하라. multimeter에 흐르는 전류 I는 VAB/RM이 될것이다. 그림 5,12와 같이 multimeter 에 병렬로 dexade resistance box를 연결한다.
그림 5.12
저항을 여러단계로 변화시키면서 전압과 저항값을 기록하여 표를 만들어라. 6 내지 7번 정도 저항을 변화시키면 충분할 것이나, 얻은 전압값이 multimeter만 회로에 부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값과 0사이에 어느정도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전원을 제거하고 그 부분의 회로를 단락시킨다(short-circuit). decade resistance box도 제거하고 단자 a와 b 사이의 저항을 multimeter로 측정하라.
추천자료
전자전기회로실험] 실험기구 사용법
[전자회로실험] 공통 이미터 주파수 응답 결과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JFET 드레인 특성곡선
[전자회로실험] 접합, 제너 다이오드 특성 발표자료입니다.
[전자회로실험] 반파 및 전파정류회로 발표자료입니다.
[전자회로실험] 차동증폭기 발표자료입니다.
[전자회로실험]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실험] MOSFET의 특성 예비보고서
[전자회로실험] 접합 다이오드의 특성 예비보고서
전자회로_실험_4장
전자회로실험실험 20. 능동필터 예비
[전자회로실험] (결과) 버퍼(Buffer) &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 OP Amp이용하...
[전자회로실험] 윈-브리지 발진기 결과
[전자회로실험] 푸쉬풀 증폭기 : B급 동작을 정의하고, 푸쉬풀 전력증폭기의 원리를 이해하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