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 [Johannes Kepler]의 일생,업적과 과학적기여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

2. 주요업적
1) 케플러초신성
*참고:초신성이란?
2) 케플러의 법칙
- 궤도의 법칙
-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
- 주기의 법칙
3) 케플러식 망원경
*참고 : 그 외 망원경

3. 과학적 기여도

본문내용

이 있다. 반면, 빛이 대물렌즈를 통과하면서 색수차가 생기고, 이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 초점길이를 연장하기 때문에 비교적 상이 어둡다. 또 같은 규격의 반사 망원경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행성 관측에 유리하며, 다른 종류의 망원경이 비해 경통의 길이가 길어서 대형 망원경에는 부적합하다. 굴절 망원경에는 갈릴레이식 망원경과 케플러식 망원경이 있다.
① 갈릴레이식 망원경
대물렌즈에 볼록렌즈를, 접안렌즈에 오목렌즈를 사용한 방식의 망원경을 갈릴레이식 망원경이라 한다. 망원경을 통해 보는 상은 육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정립상이 되어 보이므로 지상의 물체를 보는 데는 편리하나, 접안렌즈가 오목렌즈이기 때문에 시야를 넓게 할 수 없어 천체망원경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인류가 처음으로 천체 망원경을 통해서 우주를 본 것은 바로 이 갈릴레이식 망원경이나 현재는 거의 제작되지 않고 있다.
▷ 반사망원경
렌즈를 이용해 빛이 모이도록 설계한 굴절망원경은 색수차를 갖는 결점을 갖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거울을 이용해 빛이 모이도록 설계한 반사망원경이 개발되었다. 반사망원경은 색수차가 없고, 굴절망원경에 비해 큰 구경을 만들 수 있으며, 제작이 쉽다. 그리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구면 수차로 인해 주변부의 상이 좋지 않으며, 경통 속의 대류로 인해 상이 불안정 하다. 성운, 성단 관측에 유리하며 대형망원경으로 제작하기에도 적합하다. 반사망원경의 종류에는 뉴턴식, 카세그레인식, 쿠드식, 나스미식, 그레고리식 등이 있다.
① 뉴턴식 망원경
반사망원경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다. 주경은 오목면 거울로 되어 있다. 주경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을 사경에서 꺾어 경통의 옆면에서 보는 망원경이다. 굴절망원경과 틀려서 관측자는 관측하는 대상물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다른 곳을 향해 보아야 하고, 대형의 망원경이 되면 접안부의 위치가 바닥에서 몹시 높아진다.
② 카세그레인식 망원경
2차경에 평면경을 사용하지 않고 볼록면경을 사용해서 주경에서 반사된 빛을 다시 주경쪽으로 반사시켜 주경의 중앙에 뚫려있는 구멍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한 방식의 망원경이다.
③ 전파망원경
우주공간에 있는 천체로부터 복사되는 전파를 관측하는 장치이다. 인공위성으로부터 보내오는 신호전파를 관측하는 경우에도 쓰인다. 접시모양으로 만들어진 대형의 안테나로 전파를 수신하는데, 안테나의 지름이 클수록 성능이 좋다.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기 위해 안테나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참고사이트***
(1)http://home.bawi.org/~yogybear/stevo/ste_3acont.html
(2)
http://science.kongju.ac.kr/highschool/phys/4/mechanic/gravi/k5.html
http://visualphysics.chonbuk.ac.kr/general-physics/classical-mechanics/CM-gravity/kepler-3.html
http://contents.edu-i.org/gongmo/2001/jdh7196/%C7%D0%BD%C0%B3%BB%BF%EB/%C4%C9%C7%C3%B7%AF%B9%FD%C4%A2/kepler-law.htm
http://www.3byul.net
(3)
http://www.dgedu.net/edu/2002/46/2tamgujang/2-22.%B1%A4%C7%D0%20%B8%C1%BF%F8%B0%E6.htm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100img&query=%B8%C1%BF%F8%B0%E6
3. 과학적 기여도
Platon이래 천문학의 목표가 "현상을 구하는"데 있었다면 케플러야 말로 그것을 실현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비록 그의 세 법칙이 행성끼리의 인력 때문에 정확하지 않고 뉴튼 법칙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도 않으나 근대 과학의 선구적인 사실로 만유인력 발견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과학의 초기 형태를 성립시켰고 경험적 연구에 있어서 계속적인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우주론이 다루어야 할 영역의 광활함을 암시해 주었다. 한 뛰어난 이론과 아이디어를 창안하였다.
케플러가 발견한 세 법칙은 여러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에 따르면, 우주는 결국 아무 차별없이 일률적으로 단순하게 움직이고 있으므로 전통적 위계사상에 동요를 일으켰다. 그리고 우주는 절대자의 의도나 섭리에서가 아니라 이 법칙에 의해서 질서가 잡힌다는 것이므로 목적론 사상을 후퇴시키는 대신 기계론 사상의 승리를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제 우주는 위계적인 것도 이질적인 것도 아닌 동질적인 것이 되었다. 이러한 사상은 점차 다른 분야에까지 침투하여 중세의 세계관을 근본부터 동요시켰다. 특히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 태양계 행성 중의 하나의 행성에 불과하다는 사상이 대두됨으로서 우주를 보는 인간의 시야가 넓어졌다. 특히 이 법칙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대수가 천문계산에 이용되고, 그 결과를 수식으로 표현한 점은 자연의 연구방법을 개선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한편 1596년 케플러의 저서 『우주의 신비』는 신비의 베일에 싸인 저서이다. 수의 신비를 주장한 피타고라스 학파의 사상은 플라톤에게 전해지고, 15세기 무렵에는 다시 신플라톤주의를 통하여 부활하였다. 케플러는 바로 이 신플라톤주의의 열렬한 신봉자였다. 그는 자연은 더없이 조화로 가득차 있다고 보았는데, 그 예로서 "천구의 음악"을 내세웠다. 행성들은 서로 지나칠 때 그 각속도에 따라서 다른 소리를 낸다. 토성은 베이스, 수성은 소프라노, 화성은 도와 솔, 지구는 미(misery, 고통)와 파(famine, 굶주림)를 낸다. 이 소리가 화음을 이룬다고 하였다. 결국 천체의 운동이나 궤도를 나타내는 수식 사이에 간단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굳게 믿었다. 그의 이러한 신비사상으로부터 나온 조화의 법칙은 뉴튼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끌어내는 바탕이 되었다.
참고 자료 - [인터넷] http://home.daegu.net/~sn0707/
〔인터넷〕http://web.edunet4u.net/~simm/study2.htm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1.0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