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김산의 생애
2. 김산의 사상
3. 인상깊었던 부분
맺음말
1. 김산의 생애
2. 김산의 사상
3. 인상깊었던 부분
맺음말
본문내용
로 인한 부당한 처형이였다. 따라서 1983년 1월 27일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조직국은 공식적으로 김산의 처형은 특수한 역사 상황 아래서 발생한 잘못된 조치이므로 그에게 덮어씌워졌던 불명예가 제거되며 그가 지녔던 명예를 모두 그에게 되돌린다고 결의하여 그의 당원자격은 복권되게 된다.
김산은 자신의 신념과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자신의 일생을 바친 인물이다. 진정한 혁명을 위해 한때 결혼도 절대 하지 않겠다고 맹세할 정도로 개인의 욕망은 배제한 채 오직 그가 가려는 길을 걸어간 것이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한 개인이 온 몸으로 쌓아올린 역사적 성실성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그동안 우리의 민족운동사는 철저하게 민족주의계열의 독립운동만을 서술하여 왔고 공산주의계열의 독립운동은 일체 인정하지 않았다. 최근에 와서야 김일성 가짜설의 진상이 밝혀질 정도였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공산주의계열의 민족운동 또한 결코 우리가 배제 할 부분은 아니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이들은 비단 김산과 이 책에 나온 인물들만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우리가 현재 이름조차도 기억하지 못하는 수많은 이들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다가 희생되었을 것이다. 그들을 단지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 배척한다는 것은 분명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며 의롭게 사라져간 이들에 대한 예의도 분명히 아닐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남한의 민족운동을 인정하지 않던 북한 학계에도 해당될 것이다. 더 나아가 남북이 하나가 되는 것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수많은 이들이 그토록 바라던 진정한 독립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김산은 자신의 신념과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자신의 일생을 바친 인물이다. 진정한 혁명을 위해 한때 결혼도 절대 하지 않겠다고 맹세할 정도로 개인의 욕망은 배제한 채 오직 그가 가려는 길을 걸어간 것이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한 개인이 온 몸으로 쌓아올린 역사적 성실성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그동안 우리의 민족운동사는 철저하게 민족주의계열의 독립운동만을 서술하여 왔고 공산주의계열의 독립운동은 일체 인정하지 않았다. 최근에 와서야 김일성 가짜설의 진상이 밝혀질 정도였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공산주의계열의 민족운동 또한 결코 우리가 배제 할 부분은 아니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이들은 비단 김산과 이 책에 나온 인물들만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우리가 현재 이름조차도 기억하지 못하는 수많은 이들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다가 희생되었을 것이다. 그들을 단지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 배척한다는 것은 분명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며 의롭게 사라져간 이들에 대한 예의도 분명히 아닐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남한의 민족운동을 인정하지 않던 북한 학계에도 해당될 것이다. 더 나아가 남북이 하나가 되는 것이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수많은 이들이 그토록 바라던 진정한 독립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