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부 감각이란?
*Mechanoreceptor란?
*Thermoreceptor란??
*Nociceptors란?
*실습 준비물
*방법
*결과
실습 D조 평균적인 실험 결과
맛보기 실험 결과
고찰
*Mechanoreceptor란?
*Thermoreceptor란??
*Nociceptors란?
*실습 준비물
*방법
*결과
실습 D조 평균적인 실험 결과
맛보기 실험 결과
고찰
본문내용
는 3군에 속하는 얇은 유수섬유이고, 온각수용체 섬유는 4군 무수섬유이다. ④ 통각은 외상수용체에 의하여 감지되는데 이의 조직학적 구조는 유리신경말단이다. 외상수용체의 적당자극은 기계적, 열적, 혹은 화학적인 조직 손상이나 조직손상의 위험을 주는 자극이다. 외상수용체는 순응을 잘 하지 않는데 이는 그 기능상 매우 합당하다. 만약 외상수용체가 순응을 잘하면 지속적인 동통자극을 감지할 수 없어 조직 손상이 오기 쉽다.
-Processing of sensory adaptation
: 수용체에 일정한 강도의 적합자극을 지속적으로 가하면, 감각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자극으로 인한 임펄스 발사 빈도가 차츰 줄어들어서 마침내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임펄스 발사 자체가 완전히 중지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감각 순응이라고 한다. 이것을 일으키는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능성으로는 ① 일부 수용체 세포의 세포막에는 자극 에너지와 반응함으로써 세포막의 투과성을 바꾸어 수용체 전압을 일으키는 수용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런데, 이것의 분자 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자극이 지속되면 더 이상 반응할 수 있는 분자가 없게 되고, 그 결과 순응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② 자극이 지속되면, 수용체 세포의 전기적 성질이 변한다는 것이다. ③ 수용체에서 발사된 임펄스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뉴론의 상호작용으로 임펄스의 빈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순응이 일어난다. ④ 보조적 구조물을 갖고 있는 수용체에서는 자극이 지속되는 동안에 이 구조물에 변화가 일어나서 순응이 일어나게 된다.
-Processing of sensory adaptation
: 수용체에 일정한 강도의 적합자극을 지속적으로 가하면, 감각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자극으로 인한 임펄스 발사 빈도가 차츰 줄어들어서 마침내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임펄스 발사 자체가 완전히 중지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감각 순응이라고 한다. 이것을 일으키는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능성으로는 ① 일부 수용체 세포의 세포막에는 자극 에너지와 반응함으로써 세포막의 투과성을 바꾸어 수용체 전압을 일으키는 수용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런데, 이것의 분자 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자극이 지속되면 더 이상 반응할 수 있는 분자가 없게 되고, 그 결과 순응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② 자극이 지속되면, 수용체 세포의 전기적 성질이 변한다는 것이다. ③ 수용체에서 발사된 임펄스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뉴론의 상호작용으로 임펄스의 빈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순응이 일어난다. ④ 보조적 구조물을 갖고 있는 수용체에서는 자극이 지속되는 동안에 이 구조물에 변화가 일어나서 순응이 일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