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사회 1-1학기 기말 04 남부지방의 생활(교사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륙의 관문
2 북부 지방의 중심지 관서 지방

본문내용

족 ② 지형 조건과 강수량
③ 밭작물의 소비 증가 ④ 논농사에 대한 기술 부족
⑤ 밭농사 기계의 발달
기후와 생활 : 춥고 긴 겨울은 생활에 영향을 줌
① 농업 : 밭농사 중심
② 가옥 구조 : 폐쇄적인 가옥 구조
[북부 지방의 지역]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의 위치를 기호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②
강수량이 적다.
일조량, 증발량이 풍부하다.
넓은 간석지 발달
천일 제염업 발달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광량만 :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아 천일 제염업 발달
[서해 갑문] ★★★
서해 갑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을 고르면? ④
① 청천강 하구에 설치된 둑이다.
②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어려워졌다.
③ 육상 교통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④ 하천을 이용한 물자 수송이 가능하다.
⑤ 서해 갑문 설치 이후 하천의 수위가 불안정해졌다.
서해갑문 : 대동강 하구에 건설된 하구둑, 갑문 위로 도로와 철도가 건설되어 물자의 운송에 많은 도움, 내륙 수로 교통이 원활, 농업 용수와 공업 용수를 공급
[북부 지방의 환경]
북부 지방의 평양과 원산은 비슷한 위도대에 위치하고 있어나, 평양의 겨울철 기온이 더 낮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③
① 함경 산맥과 대륙의 영향 때문이다.
② 멸악 산맥과 대륙의 영향 때문이다.

③ 낭림 산맥과 동해안의 난류의 영향 때문이다.
④ 평양은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기 때문이다.
⑤ 원산은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낭림산맥이 북서계절풍을 차단하고 동해의 난류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의 평양보다 원산이 더 따뜻하다.
※ 다음 지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16~17)
[북부 지방의 지역]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을 위 지도에서 고르면? ③
평양의 외항, 관서 지방의 관문이다.
서해 갑문이 건설되어 있다.
일제 강점기에 물자 수탈을 위한 항구 도시였다.

① A② B③ C
④ D⑤ E
남포 : 평양의 외항, 평양의 관문 구실, 서해 갑문 조성, 관서 지방 각종 산물의 집산지, 국제 무역항, 연근해 어업의 중심
[관북 지방의 도시]
관북 지방의 주요 도시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을 고르면? ①

① (가) - 외국과의 경제 협력을 위해 개방한 지역
② (나) - 금강산 관광의 요지
③ (다) - 관북 지방의 문화, 행정 중심지
④ (라) - 관북 지방 제1의 무역항
⑤ (마) - 함경 북도의 행정 중심지
나진 - 선봉 자유 경제 무역 지대
→ 제한적인 문호 개방으로 선진국의 자본과 기술 도입
[북부의 공업] ★
지도에 나타난 철도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공통된 목적은? ①
① 삼림자원 운반
② 관광객 수송
③ 수산자원 운반
④ 지하자원 운반
⑤ 일본의 대륙 침략

목재 생산지 : 개마고원 일대의 침엽수림
운반 방법 : 삼림 철도(혜산선, 만포선), 뗏목
목재 집산지 : 혜산, 길주(제재제지 공업)
※ 다음 지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19~20)
위의 지도는 UN의 두만강 개발 계획에 관한 지도이다. 지도에 표시된 지역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입지 조건은? ①

① 동북 아시아의 교통 요지 ② 첨단 과학 기술
③ 풍부한 공업 용수 ④ 인접한 넓은 소비 시장
⑤ 풍부한 북한 자본
북한, 중국 및 러시아의 3개국이 서로 접해있는 두만강 지역의 개발 계획은 동북아시아의 지역 협력을 구축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관북의 지역 개발]
위의 지도에서 (가)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을 고르면? ⑤
① 관광 산업 진흥 계획의 중심지
② 삼림 개발을 위한 삼림 철도 건설
③ 북한 최대의 공업 지역으로 중화학 공업 발달
④ 두만강 물을 동해 쪽의 급사면으로 돌려 발전소 건설

⑤ 자유 경제 무역 지대를 만들어 외국인과의 합작 투자 및 무역 도모
웅기(선봉), 나진, 청진을 잇는 개발 계획은 한국, 일본의 선진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낙후된 북한의 경공업 수준과 소비자 생산을 육성함으로써 침체된 북한 경제를 되살리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북부 지방의 생활] ★★
다음 <보기>에서 북한 주민이 식량 부족을 겪게 된 원인을 모두 고르면? ④
㉠ 집단 농장 체제
㉡ 좁은 경지 면적과 빈번한 자연 재해
㉢ 식량 수입을 위한 외화 부족
㉣ 농업 기술의 낙후 및 비료, 농약의 부족
㉤ 계단식 경작지인 다락밭 개간
① ㉠, ㉡ ② ㉠, ㉢ ③ ㉠, ㉡, ㉤

④ ㉠, ㉡, ㉢, ㉣ ⑤ ㉠, ㉡, ㉣, ㉤
어려운 식량 사정 대책 : 다락밭 개간, 식량 수입, 대외 개방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