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40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니, 아버지가 순순히 가르쳐 줄 리 있나? 입을 딱 다물고 죽어도 말 못한다고 버텼지. 아무리 으름장을 놓아도 말을 안 하니까 임금이 시퍼런 칼을 아버지 목에 딱 갖다 대고,
“이래도 말 안 할 테냐?
하는데, 그걸 보니 어머니가 그만 눈앞이 아득해져서 저도 모르게 뒷산 바위 밑에 묻었노라고 말해 버렸어.
(다) 바위를 열고 속을 들여다보려고 해도 도무지 열 재간이 있어야 말이지. 임금이 바위를 이리 쳐다보고 저리 쳐다보고 빙빙 돌기만 하다가 다시 우투리 어머니, 아버지한테로 갔어. 가서
“우투리 낳을 때 뭐 이상한 일이 없었느냐? 바른 대로 대라.”
하는데, 이번에도 칼을 아버지 목에 딱 갖다 대고 으름장을 놓으니 어머니가 그만 눈앞이 아득해 가지고, 탯줄이 안 잘라져서 억새풀로 잘랐노라고 가르쳐 줘 버렸어.
(라) 임금이 다시 뒷산으로 가서 억새풀을 한아름 베어다 바위를 탁 쳤지. 그랬더니 이게 웬일이냐? 우루루 하고 땅이 흔들리면서 바위 한가운데에 금이 쩍 가더니 그 큰 바위가 스르르 두 쪽으로 갈라지지 않겠어?
그 갈라진 틈으로 바위 속을 들여다보니, 야, 참 이런 장관(壯觀)이 없구나. 소문대로 우투리가 죽지 않고 살아, 바위 속에서 병사를 기르고 있었던 게지. 그 사이에 좁쌀 서 되, 콩 서 되, 팥 서 되가 모조리 병사가 되고 말이 되고 투구가 됐어. 투구를 쓴 병사들이 저마다 말을 타고 늘어섰는데, 그 수가 몇천이나 되는지 몇만이나 되는지 몰라.
(마) 바위가 열리고 우투리가 병사들과 함께 사라지던 바로 그 순간, 지리산자락 어느 냇가에 ⓒ날개 달린 말이 나타나 사흘 밤 사흘 낮을 울었대. 그렇게 슬피 울던 말이 냇물 속으로 스르르 들어가 버렸는데, 그 뒤에도 물 속에서는 자주 우는 소리가 들렸대. 백성들은 그 소리를 듣고 우투리가 아직도 죽지 않고 살아 있다고 믿어. 날개 달린 말이 우투리를 태우고 물 속으로 들어갔다고 믿는 게지. ⓓ우투리는 지금도 그 물 속에 살아 있을까?
[글의 전승 과정] ★
위 글과 전승 과정이 다른 것은? ③
①무가②민요③시조
④신화⑤민담
[상징어] ★★★
위 글에서 임금과 관리들의 백성들에 대한 강압적인 힘을 상징하는 낱말을 찾아 1음절로 쓰시오. 칼
[구절의 이해] ★★★
ⓐ에서 독자들이 예측할 수 있는 것은? ①
①삼 년이 되지 않은 시기이므로 큰 불행이 닥칠 것이다.
②백성들은 삼 년 이상을 우투리의 환생을 기다렸을 것이다.
③거의 삼 년이 다 되었으므로 우투리는 이미 환생했을 것이다.
④삼 년 동안 우투리의 부모는 우투리를 까마득히 잊었을 것이다.
⑤삼 년이나 지나서 백성들은 더 이상 영웅에 대한 기대가 없을 것이다.
[구절의 이해] ★★★
ⓑ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③
①백성들의 어리석은 사고 방식
②백성들의 세상에 대한 원망과 분노
③백성들의 영웅 환생에 대한 기대감
④백성들의 새로운 영웅에 대한 기다림
⑤백성들의 끈질기고 소박한 삶의 방식
[글의 소재] ★★★
위 글에서 우투리의 비범한 탄생과 동시에 죽음에 관련된 소재를 찾아 쓰시오. 억새풀
[글의 감상 태도] ★★★
위 글에 대한 감상 태도가 바르지 않은 사람은? ④
①정애 : 날개 달린 말이 사흘 낮을 울었다는 것은 우투리가 정말로 죽었기 때문이야.
②영지 : 그래, 그래서 말도 좌절하고 스스로 냇물 속으로 뛰어들었던 거야.
③예민 : 하지만 물 속에서 말 우는 소리가 들렸다는 걸 보면 완전히 죽은 건 아닌가 봐.
④선주 : 그건 후세 사람들이 꾸며 낸 이야기일 거야. 어떻게 죽은 말과 죽은 사람이 되살아나겠니?
⑤미라 : 그보다 백성들의 영웅에 대한 기대감이 그렇게 표출된 것이라고 봐.
[문단의 이해] ★★★
(가)~(마) 중 이 이야기가 전설임을 보여 주는 문단은? ⑤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구절의 이해]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②
①우투리가 타려고 했던 말이다.
②우투리의 비극적 종말을 예견하고 있었다.
③물 속에서 우투리와 함께 살아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④언젠가 우투리와 함께 환생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다.
⑤뜻을 이루지 못한 영웅의 죽음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있다.
[구절의 이해] ★★★
ⓓ와 같은 결말 처리의 효과로 알맞은 것은? ①
①사람들에게 이야기의 여운을 느끼게 한다.
②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토론의 주제로 삼도록 한다.
③사람들로 하여금 그 지역을 방문하여 확인하게 한다.
④사람들에게 이야기의 내용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한다.
⑤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래도 말 안 할 테냐?
하는데, 그걸 보니 어머니가 그만 눈앞이 아득해져서 저도 모르게 뒷산 바위 밑에 묻었노라고 말해 버렸어.
(다) 바위를 열고 속을 들여다보려고 해도 도무지 열 재간이 있어야 말이지. 임금이 바위를 이리 쳐다보고 저리 쳐다보고 빙빙 돌기만 하다가 다시 우투리 어머니, 아버지한테로 갔어. 가서
“우투리 낳을 때 뭐 이상한 일이 없었느냐? 바른 대로 대라.”
하는데, 이번에도 칼을 아버지 목에 딱 갖다 대고 으름장을 놓으니 어머니가 그만 눈앞이 아득해 가지고, 탯줄이 안 잘라져서 억새풀로 잘랐노라고 가르쳐 줘 버렸어.
(라) 임금이 다시 뒷산으로 가서 억새풀을 한아름 베어다 바위를 탁 쳤지. 그랬더니 이게 웬일이냐? 우루루 하고 땅이 흔들리면서 바위 한가운데에 금이 쩍 가더니 그 큰 바위가 스르르 두 쪽으로 갈라지지 않겠어?
그 갈라진 틈으로 바위 속을 들여다보니, 야, 참 이런 장관(壯觀)이 없구나. 소문대로 우투리가 죽지 않고 살아, 바위 속에서 병사를 기르고 있었던 게지. 그 사이에 좁쌀 서 되, 콩 서 되, 팥 서 되가 모조리 병사가 되고 말이 되고 투구가 됐어. 투구를 쓴 병사들이 저마다 말을 타고 늘어섰는데, 그 수가 몇천이나 되는지 몇만이나 되는지 몰라.
(마) 바위가 열리고 우투리가 병사들과 함께 사라지던 바로 그 순간, 지리산자락 어느 냇가에 ⓒ날개 달린 말이 나타나 사흘 밤 사흘 낮을 울었대. 그렇게 슬피 울던 말이 냇물 속으로 스르르 들어가 버렸는데, 그 뒤에도 물 속에서는 자주 우는 소리가 들렸대. 백성들은 그 소리를 듣고 우투리가 아직도 죽지 않고 살아 있다고 믿어. 날개 달린 말이 우투리를 태우고 물 속으로 들어갔다고 믿는 게지. ⓓ우투리는 지금도 그 물 속에 살아 있을까?
[글의 전승 과정] ★
위 글과 전승 과정이 다른 것은? ③
①무가②민요③시조
④신화⑤민담
[상징어] ★★★
위 글에서 임금과 관리들의 백성들에 대한 강압적인 힘을 상징하는 낱말을 찾아 1음절로 쓰시오. 칼
[구절의 이해] ★★★
ⓐ에서 독자들이 예측할 수 있는 것은? ①
①삼 년이 되지 않은 시기이므로 큰 불행이 닥칠 것이다.
②백성들은 삼 년 이상을 우투리의 환생을 기다렸을 것이다.
③거의 삼 년이 다 되었으므로 우투리는 이미 환생했을 것이다.
④삼 년 동안 우투리의 부모는 우투리를 까마득히 잊었을 것이다.
⑤삼 년이나 지나서 백성들은 더 이상 영웅에 대한 기대가 없을 것이다.
[구절의 이해] ★★★
ⓑ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③
①백성들의 어리석은 사고 방식
②백성들의 세상에 대한 원망과 분노
③백성들의 영웅 환생에 대한 기대감
④백성들의 새로운 영웅에 대한 기다림
⑤백성들의 끈질기고 소박한 삶의 방식
[글의 소재] ★★★
위 글에서 우투리의 비범한 탄생과 동시에 죽음에 관련된 소재를 찾아 쓰시오. 억새풀
[글의 감상 태도] ★★★
위 글에 대한 감상 태도가 바르지 않은 사람은? ④
①정애 : 날개 달린 말이 사흘 낮을 울었다는 것은 우투리가 정말로 죽었기 때문이야.
②영지 : 그래, 그래서 말도 좌절하고 스스로 냇물 속으로 뛰어들었던 거야.
③예민 : 하지만 물 속에서 말 우는 소리가 들렸다는 걸 보면 완전히 죽은 건 아닌가 봐.
④선주 : 그건 후세 사람들이 꾸며 낸 이야기일 거야. 어떻게 죽은 말과 죽은 사람이 되살아나겠니?
⑤미라 : 그보다 백성들의 영웅에 대한 기대감이 그렇게 표출된 것이라고 봐.
[문단의 이해] ★★★
(가)~(마) 중 이 이야기가 전설임을 보여 주는 문단은? ⑤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구절의 이해]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②
①우투리가 타려고 했던 말이다.
②우투리의 비극적 종말을 예견하고 있었다.
③물 속에서 우투리와 함께 살아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④언젠가 우투리와 함께 환생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다.
⑤뜻을 이루지 못한 영웅의 죽음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있다.
[구절의 이해] ★★★
ⓓ와 같은 결말 처리의 효과로 알맞은 것은? ①
①사람들에게 이야기의 여운을 느끼게 한다.
②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토론의 주제로 삼도록 한다.
③사람들로 하여금 그 지역을 방문하여 확인하게 한다.
④사람들에게 이야기의 내용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한다.
⑤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추천자료
시편 23편의 양식 및 구조 연구 - 신뢰시로서의 양식과 통일적인 구조
춘추전국시대의 의미, 춘추전국시대의 변화상, 춘추전국시대의 구조와 정치, 춘추전국시대의 ...
[영국문학][풍자문학][구조주의]영국문학의 역사, 영국문학과 풍자문학, 영국문학과 마르크스...
5)과학-3. 식물의 구조와 기능 - 꽃의 구조와 하는 일 알기
5)과학-3. 식물의 구조와 기능 - 꽃의 구조와 기능
[마음, 마음 개념, 마음 구조, 마음 발전, 마음과 자폐장애마음이론, 마음과 질병, 자폐장애...
<전통 신화의 서사구조 및 현대 신화의 양상과 구조>
[저탄소 녹색성장] 녹색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그린산업의 산업구조 분석, 녹색성장, 녹색산...
교류의 창조는 가족구조를 재구조화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데 교류창조의 기법 중에서 실연화 ...
드라마 구조 분석 -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의 드라마 구조 분석 및 영상 기법 분석
[문학감상] 소설 ‘역마’의 구조주의적 분석 - 구조주의에 대한 이해와 소설 '역마' 분석(줄거...
[문학교육] 영화 Happy Together'의 서사 구조 분석(작품선정과 작품의 영상 스타일 및 내러...
미뉴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이론을 근거로 드라마에 나오는 가족을 택일...
[성격의 구조와 특징] 성격의 구조, 성격의 일관성, 성격의 상호작용론과 성격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