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과학 2-1학기 기말 04 식물의 구조와 기능(교사용)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뿌리의 구조와 기능
2 줄기의 구조와 기능
3 잎의 구조와 기능
4 꽃의 구조와 기능

본문내용

소의 농도가 낮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③ 광합성은 온도와는 거의 무관하다.
④ 광합성은 50℃ 이상에서 특히 잘 일어난다.
⑤ 빛만 강하다면 이산화탄소가 없어도 광합성이 잘 일어난다.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일정해진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량도 증가하다가 40℃이상에서는 급격히 떨어진다.
[광합성의 과정] ★
다음은 광합성의 과정을 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 ) 안에 들어갈 물질들이 출입하는 통로로 옳은 것은? ③
물 ( ) 포도당 ( )

① 체관② 뿌리털③ 기공
④ 공변 세포⑤ 물관
이산화탄소와 산소는 기공을 통해 교환된다.
[광합성과 호흡] ★★
다음 중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을 비교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②
광합성 호흡
① 엽록체 살아 있는 세포

② 낮 밤
③ 무기물 → 유기물유기물 → 무기물
④ 에너지 저장 에너지 방출
⑤흡수, 방출흡수, 방출
호흡은 낮과 밤 모두 일어난다.
.
[호흡과 광합성] ★★
식물의 호흡과 광합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④
① 낮에는 광합성만, 밤에는 호흡만 일어난다.
② 낮에만 광합성과 호흡이 일어난다.
③ 밤, 낮 모두 광합성과 호흡이 일어난다.

④ 낮에는 광합성과 호흡이, 밤에는 호흡만 일어난다.
⑤ 호흡의 결과 산소가 배출되고 이산화탄소가 흡입된다.
광합성은 빛이 있는 낮에만 일어나고 호흡은 항상 일어나며 호흡 결과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꽃의 구조와 기능
[꽃과 열매] ★
다음은 꽃과 열매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④
① 꽃은 종자 식물의 번식 기관이다.
② 수정 후 밑씨는 종자, 씨방은 열매로 된다.
③ 꽃은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으로 구성된다.

④ 화분이 암술머리로 옮겨지는 현상을 수정이라 한다.
⑤ 완두는 떡잎에 배가 싹틀 때 필요한 양분을 저장한다.
④ 수정→수분
[꽃의 구조와 기능] ★★
다음은 꽃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못한 것은? ①

① 화분의 핵이 밑씨와 결합하는 것을 수분이라 한다.
② 꽃은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로 있다.
③ 암술은 암술머리, 암술대, 씨방으로 되어 있다.
④ 씨방 안에는 밑씨가 들어 있다.
⑤ 꽃밥에는 화분이 들어 있다.
① 수분→수정
[식물의 성장] ★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①식물의 종자는 자라서 식물체가 되는 배와, 싹틀 때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는 배젖으로 되어있다.
② 수술의 꽃밥에서 만들어진 화분이 암술머리에 붙는 것을 수정이라고 한다.
③수정이 일어나면 씨방은 자라서 종자가 되고, 밑씨는 자라서 열매가 된다.
④꽃은 종자를 만들어서 자손을 번식하는 데 관여하는 영양 기관이다.
⑤ 옥수수는 떡잎에 양분을 저장한다.
② 수정→수분 ③ 씨방→밑씨, 밑씨→씨방 ④ 영양기관→생식기관 ⑤ 떡잎→배젖
[꽃의 구조] ★
다음 중 꽃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① 암술의 씨방 속에는 장차 씨가 될 밑씨가 들어 있다.
② 수술의 수는 여러 개로 꽃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③ 수분은 화분이 암술머리에 옮겨지는 과정이다.
④ 열매 내부에 있는 씨의 수는 밑씨의 수와 같다.

⑤ 배젖은 자라서 어린 식물이 될 부분이다.
배젖은 배가 싹터 어린 식물이 되기까지 필요한 양분이 저장되어 있다.
[식물의 구조와 기능] ★★
감자나 고구마는 서로 다른 식물의 기관이지만 둘 다 식물체에 있어서 같은 기능을 한다. 감자와 고구마에 포함된 가장 많은 물질은 다음 중 어디로부터 왔을까? ③

① 뿌리② 줄기③ 잎
④ 꽃⑤ 열매
감자와 고구마는 주성분의 녹말로 잎의 광합성 산물이다.
[열매의 구조] ★
꽃의 씨방이 자라서 열매가 된 참열매인 식물은? ⑤
① 사과② 배③ 딸기

④ 석류⑤ 복숭아
사과와 배는 꽃받침과 꽃받기, 딸기는 꽃받기, 석류는 꽃받침이 자라서 열매가 된 헛열매이다.
[식물의 생식기관] ★
식물의 생식 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 두 가지는? ①, ③

① 배는 종자가 싹터서 어린 식물이 될 부분이다.
②배젖은 식물이 자랄 때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는 떡잎을 말한다.

③ 식물은 수분 후 밑씨 속에서 수정이 이루어진다.
④씨방과 꽃받기가 함께 자라서 된 열매를 참열매라 한다.
⑤ 사과는 씨방만 자라서 된 열매이다.
② 배젖과 떡잎은 양분은 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다른 조직이다. 떡잎은 배의 일부로 어린 식물이 될 부분이다.
④ 참열매→헛열매 ⑤ 사과는 씨방과 꽃받기, 꽃받침이 함께 자라서 된 열매이다.
[열매의 구조] ★
다음 그림은 감과 콩 종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싹이 틀 때, 필요한 양분이 저장되는 곳과 그 명칭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⑤
<감 종자> <콩 종자>
① A-떡잎, C-배젖② B-떡잎, C-배젖
③ A-떡잎, D-배젖④ B-배젖, C- 떡잎

⑤ A-배젖, D-떡잎
B와 C는 자라서 어린 식물이 될 배이고 A는 배젖, D는 떡잎으로 싹틀 때 필요한 양분이 저장된다.
[열매의 구조] ★★★
다음 그림은 사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씨방이 자라서 된 곳의 기호는? C
사과는 헛열매로 우리가 먹는 과육 부분은 꽃받침이나 꽃받기가 변해서 된 것이다.
C
[식물의 생식기관] ★
식물의 생식 기관으로만 짝지은 것은? ②

① 뿌리, 줄기② 꽃, 열매③ 잎, 꽃
④ 열매, 뿌리⑤ 줄기, 잎
뿌리, 줄기, 잎은 영양 기관이다.
[열매의 구조] ★
일반적으로 꽃에서 수분이 일어나고 수분된 화분이 씨방 속의 밑씨와 수정하게 되면, 씨방은 자라서 ( ① )이(가) 되고, 밑씨는 자라서 ( ② )이(가) 된다. ① 열매 ② 종자
① 열매 ② 종자
[꽃의 구조] ★★★
그림은 일반적인 꽃의 구조이다. 수정 후 자라서 열매가 될 부분의 기호와 이름을 옳게 짝지은 것은? ⑤
① (가)-암술
② (나)-수술
③ (다)-꽃받침
④ (라)-씨방
⑤ (마)-씨방

수정 후 밑씨는 자라서 종자가 되고 씨방은 자라서 열매가 된다. (라) 밑씨
A는 배젖으로 배가 싹터 어린 식물이 되기까지 필요한 양분이 저장된 곳이다.
[열매의 구조] ★★
다음은 종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싹이 터서 장차 어린 식물이 될 부분의 기호와 이름을 쓰시오. B, 배
B, 배

키워드

뿌리,   줄기,   ,   ,   엽록체,   암술,   수술,   단면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