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46번
해답과 풀이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③ 알을 물 속에 낳기 때문에
④ 물 속에서 먹이를 잡기 때문에
⑤ 체외 수정에 물이 필요하므로
23. 다음 중 파충류에 속하는 동물은 ?
① 도롱뇽② 거북
③ 상어④ 고래
⑤ 펭귄
24. 조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철새들은 적당한 환경과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한다.
② 참새나 까치는 일년 내내 한 지역에서 사는 텃새이다.
③ 새들 중에서 날개가 퇴화되어 날지 못하는 종류도 있다.
④ 부리나 다리 모양이 사는 환경과 먹이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⑤ 장이 길어 음식물을 오래 저장하므로 날기에 필요한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25. 거미와 메뚜기의 공통점은 ?
① 다리가 4쌍② 변태를 한다.
③ 피부로 호흡한다.④ 외골격을 가진다.
⑤ 알을 물 속에 낳는다.
26. 개구리의 수컷에서만 관찰할 수 있는 것끼리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① 생식혹, 순막, 물갈퀴② 생식혹, 울음 주머니, 정소
③ 정소, 고막, 횡격막④ 난소, 방광, 간
⑤ 척추, 코, 폐
27. 지렁이는 어떻게 이동을 하는가 ?
① 몸 앞뒤에 있는 빨판을 이용해서
② 몸 전체의 근육을 이용해서
③ 체절마다 있는 다리를 이용해서
④ 환대의 근육을 이용해서
⑤ 환대에 있는 갈고리를 이용해서
28. 지렁이와 메뚜기의 공통적인 특징은 ?
① 체내 수정을 한다.
② 호흡은 피부로 한다.
③ 몸은 외골격으로 되어 있다.
④ 자라면서 탈피한다.
⑤ 피부에 빛을 감각하는 세포가 있다.
29. 보기에서 (가)와 (나)의 동물이 가장 크게 구분되는 기준은 ?
(가) 고등어, 토끼, 도마뱀
(나) 지렁이, 오징어, 가재
30. 다음은 뱀의 생김새를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옳지 못한 것은 ?
① 뱀은 배쪽의 비늘을 움직여 이동한다.
② 뱀은 척추가 없어서 몸을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다.
③ 뱀은 표피가 변한 비늘로 싸여 있어 탈피를 한다.
④ 뱀은 가슴뼈가 없이 먹이를 통째 삼킬 수 있다.
⑤ 머리, 몸통, 꼬리로 구분된다.
31. 파충류가 육상 생활에 적응된 점과 거리가 먼 것은 ?
① 폐로 호흡한다.
② 알이 알껍질로 보호된다.
③ 변온 동물이다.
④ 몸이 비늘이나 골판으로 싸여 있다.
⑤ 다리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32. 뱀은 표피가 변한 비늘로 몸이 덮여 있어 몸이 자람에 따라 새로운 비늘 로 갈아야 한다. 이와 같은 비늘을 벗고 새로운 비늘로 갈아입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변태② 불완전 변태
③ 탈피④ 수정
⑤ 성장
33. 개구리의 겉모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발달하였다.
② 피부는 건조하고 매끈한 피부로 덮여 있다.
③ 암컷은 울음주머니가 귀 밑에 있다.
④ 고막이 겉으로 드러나 있다.
⑤ 피부에는 비늘이 있다.
34. 봄에 우리 나라에 와서 번식을 하고 가을에 돌아가는 철새로 옳은 것은 ?
① 청둥오리, 기러기② 두견이, 제비
③ 청둥오리, 제비④ 꾀꼬리, 기러기
⑤ 참새, 멧새
35. 닭의 속구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호흡 기관은 한 쌍의 폐이다.
② 2심방 2심실의 심장 구조이다.
③ 신장과 방광은 모두 1쌍을 가진다.
④ 척추동물이며 용골 돌기가 발달됐다.
⑤ 체내 수정을 하며 난생이다.
36. 개구리는 알에서 깨어 성체가 될 때까지 몸의 모양이 여러 번 바뀌는 데, 이러한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37. 개구리와 올챙이의 호흡 기관으로 옳게 짝지은 것은 ?
올챙이개구리
① 아가미 폐
② 피부아가미
③ 아가미폐피부
④ 아가미 폐피부
⑤ 폐폐피부
38. 뱀이나 개구리는 몇 달 동안 먹지 않고 겨울잠을 잘 수 있다. 그러나 포유류는 매일 끊임없이 먹이를 먹어야 한다. 그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
① 정온 동물이므로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② 소화 기능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③ 식욕이 좋기 때문에
④ 육상 생활을 하므로
⑤ 번식을 많이 하기 때문에
[39~40] 다음 그림은 메뚜기를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라.
39. 호흡과 관계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a② b
③ c④ d
⑤ a, b
40. C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못한 것은 ?
① 배이다.
② 체절 구조이다.
③ 기문이 있고 내부에 기관이 있다.
④ 다리가 붙어 있다.
⑤ 물이 잘 묻지 않는다.
41. 다음의 특징을 갖는 동물의 무리는 ?
몸이 체절로 되어 있다.
마디로 된 다리가 있다.
난생이며 변온 동물이다.
거미, 메뚜기, 지네 등
① 곤충류② 거미류
③ 다지류④ 환형동물
⑤ 절지동물
42. 붕어의 머리 부분을 관찰한 것이다. 관찰 내용이 잘못된 것은 ?
① 1쌍의 눈에는 눈꺼풀이 없다.
② 코는 입과 통하지 않는다.
③ 아가미는 좌우에 2쌍이 있다.
④ 이가 없어서 먹이를 물과 함께 삼킨다.
⑤ 머리에는 입, 코, 눈, 아가미 뚜껑이 있다.
43. 물고기의 번식 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체외 수정, 난생② 체외 수정, 태생
③ 체내 수정, 난태생④ 체내 수정, 난생
⑤ 체내 수정, 태생
44. 지렁이와 가장 가까운 동물은 ?
① 나비, 파리② 지네, 그리마
③ 거러미, 갯지렁이④ 거미, 전갈
⑤ 가재, 새우
45. 붕어가 끊임없이 입과 아가미를 뻐끔거리는 이유는 ?
① 먹이를 삼키는 것이다.
② 물을 입에서 아가미로 흘려 보내는 것이다.
③ 물의 맛과 온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④ 물을 삼키는 행동이다.
⑤ 다른 동물과 이야기하는 것이다.
46. 다음의 특징을 갖는 동물의 무리는 ?
수중에서 살며 아가미로 호흡한다.
난생이며 체외 수정을 한다.
척추동물이다.
붕어, 상어, 가오리, 명태 등
① 양서류② 포유류
③ 파충류④ 어류
⑤ 조류
모의중간고사
1. ④ 28. ①
2. ③ 29. 척추의 유무
3. ⑤ 30. ②
4. ⑤ 31. ③
5. ① 32. ③
6. ④ 33. ④
7. ① 34. ②
8. ④ 35. ③
9. ① 36. 변태
10. ② 37. ④
11. ② 38. ①
12. 모래주머니 39. ②
13. A, B 40. ④
14. ④ 41. ⑤
15. ④ 42. ③
16. ② 43. ①
17. ③ 44. ③
18. ③ 45. ②
19. 땅 속 46. ④
20. 곤충류
21. ③
22. ④
23. ②
24. ⑤
25. ④
26. ②
27. ②
④ 물 속에서 먹이를 잡기 때문에
⑤ 체외 수정에 물이 필요하므로
23. 다음 중 파충류에 속하는 동물은 ?
① 도롱뇽② 거북
③ 상어④ 고래
⑤ 펭귄
24. 조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철새들은 적당한 환경과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한다.
② 참새나 까치는 일년 내내 한 지역에서 사는 텃새이다.
③ 새들 중에서 날개가 퇴화되어 날지 못하는 종류도 있다.
④ 부리나 다리 모양이 사는 환경과 먹이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⑤ 장이 길어 음식물을 오래 저장하므로 날기에 필요한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25. 거미와 메뚜기의 공통점은 ?
① 다리가 4쌍② 변태를 한다.
③ 피부로 호흡한다.④ 외골격을 가진다.
⑤ 알을 물 속에 낳는다.
26. 개구리의 수컷에서만 관찰할 수 있는 것끼리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① 생식혹, 순막, 물갈퀴② 생식혹, 울음 주머니, 정소
③ 정소, 고막, 횡격막④ 난소, 방광, 간
⑤ 척추, 코, 폐
27. 지렁이는 어떻게 이동을 하는가 ?
① 몸 앞뒤에 있는 빨판을 이용해서
② 몸 전체의 근육을 이용해서
③ 체절마다 있는 다리를 이용해서
④ 환대의 근육을 이용해서
⑤ 환대에 있는 갈고리를 이용해서
28. 지렁이와 메뚜기의 공통적인 특징은 ?
① 체내 수정을 한다.
② 호흡은 피부로 한다.
③ 몸은 외골격으로 되어 있다.
④ 자라면서 탈피한다.
⑤ 피부에 빛을 감각하는 세포가 있다.
29. 보기에서 (가)와 (나)의 동물이 가장 크게 구분되는 기준은 ?
(가) 고등어, 토끼, 도마뱀
(나) 지렁이, 오징어, 가재
30. 다음은 뱀의 생김새를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옳지 못한 것은 ?
① 뱀은 배쪽의 비늘을 움직여 이동한다.
② 뱀은 척추가 없어서 몸을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다.
③ 뱀은 표피가 변한 비늘로 싸여 있어 탈피를 한다.
④ 뱀은 가슴뼈가 없이 먹이를 통째 삼킬 수 있다.
⑤ 머리, 몸통, 꼬리로 구분된다.
31. 파충류가 육상 생활에 적응된 점과 거리가 먼 것은 ?
① 폐로 호흡한다.
② 알이 알껍질로 보호된다.
③ 변온 동물이다.
④ 몸이 비늘이나 골판으로 싸여 있다.
⑤ 다리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32. 뱀은 표피가 변한 비늘로 몸이 덮여 있어 몸이 자람에 따라 새로운 비늘 로 갈아야 한다. 이와 같은 비늘을 벗고 새로운 비늘로 갈아입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변태② 불완전 변태
③ 탈피④ 수정
⑤ 성장
33. 개구리의 겉모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발달하였다.
② 피부는 건조하고 매끈한 피부로 덮여 있다.
③ 암컷은 울음주머니가 귀 밑에 있다.
④ 고막이 겉으로 드러나 있다.
⑤ 피부에는 비늘이 있다.
34. 봄에 우리 나라에 와서 번식을 하고 가을에 돌아가는 철새로 옳은 것은 ?
① 청둥오리, 기러기② 두견이, 제비
③ 청둥오리, 제비④ 꾀꼬리, 기러기
⑤ 참새, 멧새
35. 닭의 속구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호흡 기관은 한 쌍의 폐이다.
② 2심방 2심실의 심장 구조이다.
③ 신장과 방광은 모두 1쌍을 가진다.
④ 척추동물이며 용골 돌기가 발달됐다.
⑤ 체내 수정을 하며 난생이다.
36. 개구리는 알에서 깨어 성체가 될 때까지 몸의 모양이 여러 번 바뀌는 데, 이러한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37. 개구리와 올챙이의 호흡 기관으로 옳게 짝지은 것은 ?
올챙이개구리
① 아가미 폐
② 피부아가미
③ 아가미폐피부
④ 아가미 폐피부
⑤ 폐폐피부
38. 뱀이나 개구리는 몇 달 동안 먹지 않고 겨울잠을 잘 수 있다. 그러나 포유류는 매일 끊임없이 먹이를 먹어야 한다. 그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
① 정온 동물이므로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② 소화 기능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③ 식욕이 좋기 때문에
④ 육상 생활을 하므로
⑤ 번식을 많이 하기 때문에
[39~40] 다음 그림은 메뚜기를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라.
39. 호흡과 관계 있는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a② b
③ c④ d
⑤ a, b
40. C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못한 것은 ?
① 배이다.
② 체절 구조이다.
③ 기문이 있고 내부에 기관이 있다.
④ 다리가 붙어 있다.
⑤ 물이 잘 묻지 않는다.
41. 다음의 특징을 갖는 동물의 무리는 ?
몸이 체절로 되어 있다.
마디로 된 다리가 있다.
난생이며 변온 동물이다.
거미, 메뚜기, 지네 등
① 곤충류② 거미류
③ 다지류④ 환형동물
⑤ 절지동물
42. 붕어의 머리 부분을 관찰한 것이다. 관찰 내용이 잘못된 것은 ?
① 1쌍의 눈에는 눈꺼풀이 없다.
② 코는 입과 통하지 않는다.
③ 아가미는 좌우에 2쌍이 있다.
④ 이가 없어서 먹이를 물과 함께 삼킨다.
⑤ 머리에는 입, 코, 눈, 아가미 뚜껑이 있다.
43. 물고기의 번식 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체외 수정, 난생② 체외 수정, 태생
③ 체내 수정, 난태생④ 체내 수정, 난생
⑤ 체내 수정, 태생
44. 지렁이와 가장 가까운 동물은 ?
① 나비, 파리② 지네, 그리마
③ 거러미, 갯지렁이④ 거미, 전갈
⑤ 가재, 새우
45. 붕어가 끊임없이 입과 아가미를 뻐끔거리는 이유는 ?
① 먹이를 삼키는 것이다.
② 물을 입에서 아가미로 흘려 보내는 것이다.
③ 물의 맛과 온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④ 물을 삼키는 행동이다.
⑤ 다른 동물과 이야기하는 것이다.
46. 다음의 특징을 갖는 동물의 무리는 ?
수중에서 살며 아가미로 호흡한다.
난생이며 체외 수정을 한다.
척추동물이다.
붕어, 상어, 가오리, 명태 등
① 양서류② 포유류
③ 파충류④ 어류
⑤ 조류
모의중간고사
1. ④ 28. ①
2. ③ 29. 척추의 유무
3. ⑤ 30. ②
4. ⑤ 31. ③
5. ① 32. ③
6. ④ 33. ④
7. ① 34. ②
8. ④ 35. ③
9. ① 36. 변태
10. ② 37. ④
11. ② 38. ①
12. 모래주머니 39. ②
13. A, B 40. ④
14. ④ 41. ⑤
15. ④ 42. ③
16. ② 43. ①
17. ③ 44. ③
18. ③ 45. ②
19. 땅 속 46. ④
20. 곤충류
21. ③
22. ④
23. ②
24. ⑤
25. ④
26. ②
27.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