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69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D-C-A-B
⑤ A-D-B-C
67. 오른쪽 그림은 지질 시대와 그 시대에 출현했던 생물을 나타낸 것이다.
(1) B 생물은 무엇인가 ?
(2) C 생물은 무엇인가 ?
① 어류
② 양서류
③ 포유류
④ 파충류
⑤ 속씨식물
68. 다음 중 지질 시대별로 대표적인 생물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구분
고 생 대
중 생 대
신 생 대
①
②
③
④
⑤
삼 엽 층
공 룡
삼 엽 층
파 충 류
시 조 새
시 조 새
암모나이트
공 룡
양 서 류
삼 엽 층
양 서 류
포 유 류
포 유 류
포 유 류
포 유 류
69. 다음 보기 중 지층이 형성된 지질시대를 결정하는 데 가장 유용한 화석들만 묶은 것은 ?
A. 공룡
B. 삼엽층
C. 은행나무
D. 산호
E. 고사리
F. 암모나이트
① A, B, F
② A, D, F
③ B, C, E
④ C, D, E
⑤ D, E, F
기출문제 내신문제연구소
1. ③
층리는 퇴적암에서 발견된다.
2. ④
고사리는 환경을 알려주는 시상 화석이다.
3. ⑤
동식물에 관계되는 것만을 화석이라고 한다.
4. ②
겉씨 식물(소철, 은행나무)은 중생대에 번성하였다.
5. ④
지구는 45억년 전에 생겼고, 지각은 38억년 전에 생겼다.
6. ⑤
지질 시대의 어떤 동식물은 멸종된 것도 많았다.
7. ⑤
대륙은 처음에 하나로 붙어있었다가 점점 떨어져 나갔다.
8. ①
남아메리카의 동해안과 아프리카의 서해안의 모습이 비슷하다.
9. ③
10. ④
지질 시대는 지층에 나타난 큰 부정합과 이에 따른 생물계의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11. ①
①은 고생대, ②와 ③은 중생대, ④와 ⑤는 신생대에 살았던 생물 화석이다.
12. ③
13. ②
14. ①
15. ⑤
16. ①, ⑤
17. ④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일수록 작은 알갱이가 퇴적되므로, 깊은 곳에서부터 셰일→사암→역암의 순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셰일층에서만 발견되는 D가 가장 깊은 곳에 살았던 생물이며 A는 셰일층과 사암층에서만 발견되므로 그 다음으로 깊은 곳에서 살았다. 또 B는 셰일층에서는 볼 수 없으므로 가장 얕은 곳에서 살았던 생물이다.
18. ②
삼엽층은 고생대에 번성했던 생물로 지층의 생성 시대를 알려주는 표준 화석이다. 반면에, 고사리는 따뜻하고 습한 지대에 사는 식물로 지층이 생길 당시의 환경을 알려 주는 시상 화석이다.
19. ①
지층의 생성 시대를 알려 주는 화석은 과거의 특정한 기간 동안에 번성하다가 멸종된 생물의 화석이다.
20. ⑤
21. ⑤
지층이 역전되지 않았다면 아래의 지층일수록 오래 된 지층이다.
22. ②
① 지층의 생성 시기를 알려 준다.
② 자연 환경을 알려 준다.
③ 생물의 진화 과정을 알려 준다.
④ 기후 및 수륙 분포의 변화를 알려 준다.
23. ③
어느 일정한 기간 동안에만 생존한 생물의 화석이어야 표준 화석이 될 수 있다.
24. ④
해안선에 가까울수록 퇴적물의 입자가 크다.
25. ③
층리와 화석은 퇴적암의 특징이다.
26. ④
표준 화석으로 지층의 생성 시기를 알 수 있고, 시상 화석으로 퇴적 당시의 자연 환경을 알 수 있다.
27. ①
육상 생물도 화석이 될 수 있다.
28. ④
알갱이가 클수록 육지에서 멀리 가지 못한다.
29. ②
석회암은 해수 속의 석회질 물질이 깊은 바다 밑에 침전되어 굳어진 암석이다.
30. ③
지층에는 화석이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림의 정합은 지각 변동이 일어난 것이 아니다.
31. ①
지층의 생성 원인은 화석으로 알 수 없다.
32. ③
그림은 삼엽층으로 고생대의 표준 화석이다.
33. ②
고사리는 따뜻하고 습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34. ①
생물이 무언가에 의해 빨리 덮여서 썩거나 없어지지 않아야 한다.
35. ③
지층이 생성된 시대(표준 화석)을 알려주는 화석은 일정 기간에만 살아야 한다.(멸종) 넓은 지역에도 분포해야 한다.
36. ④
태양으로 부터의 자외선을 피하기 위해 바다에서 생물이 생겼다.
37. ③
고생대 말까지 한덩어리였던 대륙은 중생대초부터 분열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여러 개의 대륙이 되었다.
38. ④
베게너가 주장한 대륙 이동설의 증거에는 두 대륙의 해안선의 일치, 빙하의 이동 흔적과 분포, 글로솝테리스 화석의 분포 등이 있다.
39. ①
40. ④
41. ②
42. ①
지질 시대를 구분하는 데는 생물의 화석이 이용된다.
43. ②, ③
선캄브리아 시대에는 단세포 생물, 원시 동물과 같은 하등 동물이 바다에서 살았다.
44. ③
그림은 암모나이트를 그린 것이다.
45. ②
암모나이트는 공룡, 시조새 등과 함께 중생대의 표준 화석이다.
46. ②
사과나무와 같은 속씨식물은 신생대에 출현했다.
47. ④
48. ②
49. ②
50. ④
51. ④
52. ②
53. ⑤
지질 시대의 길이는 선캄브리아대>고생대>중생대>신생대 순이다.
54. ①
공룡은 먼 거리를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55. ③
56. ①
57. ③
선캄브리아대에 생긴 화석이 오랜 기간에 걸친 지각 변동으로 없어졌다.
58. ②
최초의 척추 동물인 어류는 고생대 중기에 출현하였다.
59. ④
(가)신생대, (나)고생대, (다)중생대
60. ⑤
지구상에는 속씨 식물(사과나무)이 가장 나중에 출현하였다.
61. ⑤
①, ②, ③, ④는 대륙이 원래 붙어있었다는 증거이다.
62. ②
맨틀은 고체이지만 고온 고압이므로 유동성이 있어 대류가 일어나게 된다.
63. (1) 응회암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암을 찾는다.
(2) ①
역암-사암-셰일로 되었다는 것은 침강했다는 증거이고 다시 사암-토탄은 융기, 그리고 다시 침강했다가 융기한 지형이라고 볼 수 있다.
64. ②
공룡, 시조새, 암모나이트
65. ②
생물의 활동→생물의 유해→퇴적물에 묻힘→퇴적암의 형성
66. ③
신생대 : 포유류의 시대
중생대 : 파충류의 시대
고생대 : 양서류의 시대
67. ④
(1) 삼엽층
B 생물은 고생대에만 살았던 생물이다.
(2) ④
C 생물은 중생대 초기에 번성해서 현재도 살고 있는 생물이다.
68. ③
69. ①
⑤ A-D-B-C
67. 오른쪽 그림은 지질 시대와 그 시대에 출현했던 생물을 나타낸 것이다.
(1) B 생물은 무엇인가 ?
(2) C 생물은 무엇인가 ?
① 어류
② 양서류
③ 포유류
④ 파충류
⑤ 속씨식물
68. 다음 중 지질 시대별로 대표적인 생물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구분
고 생 대
중 생 대
신 생 대
①
②
③
④
⑤
삼 엽 층
공 룡
삼 엽 층
파 충 류
시 조 새
시 조 새
암모나이트
공 룡
양 서 류
삼 엽 층
양 서 류
포 유 류
포 유 류
포 유 류
포 유 류
69. 다음 보기 중 지층이 형성된 지질시대를 결정하는 데 가장 유용한 화석들만 묶은 것은 ?
A. 공룡
B. 삼엽층
C. 은행나무
D. 산호
E. 고사리
F. 암모나이트
① A, B, F
② A, D, F
③ B, C, E
④ C, D, E
⑤ D, E, F
기출문제 내신문제연구소
1. ③
층리는 퇴적암에서 발견된다.
2. ④
고사리는 환경을 알려주는 시상 화석이다.
3. ⑤
동식물에 관계되는 것만을 화석이라고 한다.
4. ②
겉씨 식물(소철, 은행나무)은 중생대에 번성하였다.
5. ④
지구는 45억년 전에 생겼고, 지각은 38억년 전에 생겼다.
6. ⑤
지질 시대의 어떤 동식물은 멸종된 것도 많았다.
7. ⑤
대륙은 처음에 하나로 붙어있었다가 점점 떨어져 나갔다.
8. ①
남아메리카의 동해안과 아프리카의 서해안의 모습이 비슷하다.
9. ③
10. ④
지질 시대는 지층에 나타난 큰 부정합과 이에 따른 생물계의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11. ①
①은 고생대, ②와 ③은 중생대, ④와 ⑤는 신생대에 살았던 생물 화석이다.
12. ③
13. ②
14. ①
15. ⑤
16. ①, ⑤
17. ④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일수록 작은 알갱이가 퇴적되므로, 깊은 곳에서부터 셰일→사암→역암의 순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셰일층에서만 발견되는 D가 가장 깊은 곳에 살았던 생물이며 A는 셰일층과 사암층에서만 발견되므로 그 다음으로 깊은 곳에서 살았다. 또 B는 셰일층에서는 볼 수 없으므로 가장 얕은 곳에서 살았던 생물이다.
18. ②
삼엽층은 고생대에 번성했던 생물로 지층의 생성 시대를 알려주는 표준 화석이다. 반면에, 고사리는 따뜻하고 습한 지대에 사는 식물로 지층이 생길 당시의 환경을 알려 주는 시상 화석이다.
19. ①
지층의 생성 시대를 알려 주는 화석은 과거의 특정한 기간 동안에 번성하다가 멸종된 생물의 화석이다.
20. ⑤
21. ⑤
지층이 역전되지 않았다면 아래의 지층일수록 오래 된 지층이다.
22. ②
① 지층의 생성 시기를 알려 준다.
② 자연 환경을 알려 준다.
③ 생물의 진화 과정을 알려 준다.
④ 기후 및 수륙 분포의 변화를 알려 준다.
23. ③
어느 일정한 기간 동안에만 생존한 생물의 화석이어야 표준 화석이 될 수 있다.
24. ④
해안선에 가까울수록 퇴적물의 입자가 크다.
25. ③
층리와 화석은 퇴적암의 특징이다.
26. ④
표준 화석으로 지층의 생성 시기를 알 수 있고, 시상 화석으로 퇴적 당시의 자연 환경을 알 수 있다.
27. ①
육상 생물도 화석이 될 수 있다.
28. ④
알갱이가 클수록 육지에서 멀리 가지 못한다.
29. ②
석회암은 해수 속의 석회질 물질이 깊은 바다 밑에 침전되어 굳어진 암석이다.
30. ③
지층에는 화석이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림의 정합은 지각 변동이 일어난 것이 아니다.
31. ①
지층의 생성 원인은 화석으로 알 수 없다.
32. ③
그림은 삼엽층으로 고생대의 표준 화석이다.
33. ②
고사리는 따뜻하고 습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34. ①
생물이 무언가에 의해 빨리 덮여서 썩거나 없어지지 않아야 한다.
35. ③
지층이 생성된 시대(표준 화석)을 알려주는 화석은 일정 기간에만 살아야 한다.(멸종) 넓은 지역에도 분포해야 한다.
36. ④
태양으로 부터의 자외선을 피하기 위해 바다에서 생물이 생겼다.
37. ③
고생대 말까지 한덩어리였던 대륙은 중생대초부터 분열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여러 개의 대륙이 되었다.
38. ④
베게너가 주장한 대륙 이동설의 증거에는 두 대륙의 해안선의 일치, 빙하의 이동 흔적과 분포, 글로솝테리스 화석의 분포 등이 있다.
39. ①
40. ④
41. ②
42. ①
지질 시대를 구분하는 데는 생물의 화석이 이용된다.
43. ②, ③
선캄브리아 시대에는 단세포 생물, 원시 동물과 같은 하등 동물이 바다에서 살았다.
44. ③
그림은 암모나이트를 그린 것이다.
45. ②
암모나이트는 공룡, 시조새 등과 함께 중생대의 표준 화석이다.
46. ②
사과나무와 같은 속씨식물은 신생대에 출현했다.
47. ④
48. ②
49. ②
50. ④
51. ④
52. ②
53. ⑤
지질 시대의 길이는 선캄브리아대>고생대>중생대>신생대 순이다.
54. ①
공룡은 먼 거리를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55. ③
56. ①
57. ③
선캄브리아대에 생긴 화석이 오랜 기간에 걸친 지각 변동으로 없어졌다.
58. ②
최초의 척추 동물인 어류는 고생대 중기에 출현하였다.
59. ④
(가)신생대, (나)고생대, (다)중생대
60. ⑤
지구상에는 속씨 식물(사과나무)이 가장 나중에 출현하였다.
61. ⑤
①, ②, ③, ④는 대륙이 원래 붙어있었다는 증거이다.
62. ②
맨틀은 고체이지만 고온 고압이므로 유동성이 있어 대류가 일어나게 된다.
63. (1) 응회암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암을 찾는다.
(2) ①
역암-사암-셰일로 되었다는 것은 침강했다는 증거이고 다시 사암-토탄은 융기, 그리고 다시 침강했다가 융기한 지형이라고 볼 수 있다.
64. ②
공룡, 시조새, 암모나이트
65. ②
생물의 활동→생물의 유해→퇴적물에 묻힘→퇴적암의 형성
66. ③
신생대 : 포유류의 시대
중생대 : 파충류의 시대
고생대 : 양서류의 시대
67. ④
(1) 삼엽층
B 생물은 고생대에만 살았던 생물이다.
(2) ④
C 생물은 중생대 초기에 번성해서 현재도 살고 있는 생물이다.
68. ③
69. ①